$\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해조류 5종의 아미노산 조성 및 계통 다양성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the Amino Acid Composition and Phylogenetic Diversity of Five Seaweed Species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34 no.3, 2024년, pp.145 - 152  

손승원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독성평가연구부 약리마약연구과) ,  이혜영 (동의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해조류는 풍부한 필수 영양소 공급으로 인해 귀중한 해양 자원으로 여겨지며 특히 단백질과 아미노산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한국에서는 500종 이상의 해조류가 서식하며 그 중 50종 이상이 식품용으로 이용되어 일상 식단의 중심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가장 흔히 섭취되는 해조류 5종(매생이, 톳, 김, 다시마, 미역; Capsosiphon fulvescens, Hizikia fusiforme, Porphyra yezoensis, Saccharina japonica, Undaria pinnatifida)의 단백질 구성 아미노산을 분석하였다.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분석 결과,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알라닌, 류신이 가장 풍부한 아미노산 성분임을 알 수 있었다. 주성분 분석에서는 이 다섯 종류의 해조류가 아미노산 구성에 따라 세 개의 군집으로 분류될 수 있었고, 이는 부분적으로 계통 분류 결과와 일치하였다. 다양한 아미노산 중에서도 글루탐산, 아스파르트산, 알라닌이 구분을 주도하는 주요 아미노산이였다. 특히, 가까운 계통적 근접성을 보이는 Undaria pinnatifida와 Capsosiphon fulvescens는 뚜렷하게 유사한 아미노산 프로필을 나타내었다. 그에 비해 Porphyra yezoensis와 Saccharina japonica는 계통적 관계를 공유하더라도 다른 아미노산 구성을 보였다. Hizikia fusiforme는 두 분석 모두에서 독특한 군집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aweeds represent a widely harnessed marine resource that are valued for their abundant supply of essential nutrients, particularly proteins and amino acids. In Korea, where over 500 species of seaweed thrive and more than 50 are utilized for culinary purposes, seaweed has become a staple in regula...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제안 방법

  • Many researchers have analyzed the amino acid composition of seaweeds [1, 13, 14, 18]; however, a systematic investigation comparing the profiles of these amino acids is lacking. In this study, we conducted amino acid analysis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and employed chemometric tools to identify similarities and commonalities among the amino acid compositions of the five most widely consumed seaweed species in Korea. These findings were then compared with a dendrogram constructed based on genetic data, specifically data from cytoplasmic ribosomes, which are fundamental components of eukaryotic cells.
  • The study reveals remarkable concordance between amino acid composition and 18S rRNA-based phylogeny for five seaweed species, with fine-scale resolution exceeding taxonomic classification. Notably, conspecifics Undaria pinnatifida and Capsosiphon fulvescens exhibit virtually identical amino acid profiles, confirming their close evolutionary relationship.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Dawczynski, C., Schubert, R. and Jahreis, G. 2007. Amino acids, fatty acids, and dietary fibre in edible seaweed products. Food Chem. 103, 891-899.? 

  2. Fleurence, J. 1999. Seaweed proteins: biochemical, nutritional aspects and potential uses. Trends Food Sci. Technol. 10, 25-28.? 

  3. Gressler, V., Fujii, M. T., Martins, A. P., Colepicolo, P., Mancini-Filho, J. and Pinto, E. 2011. Biochemical composition of two red seaweed species grown on the Brazilian coast. J. Sci. Food Agric. 91, 1687-1692.? 

  4. Holdt, S. L. and Kraan, S. 2011. Bioactive compounds in seaweed: functional food applications and legislation. J. Appl. Phycol. 23, 543-597.? 

  5. Kim, D., Park, J. and Lee, T. K. 2013. Analysis of biochemical compositions and nutritive values of six species of seaweeds. J. Life Sci. 23, 1004-1009.? 

  6.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23. Fisheries Production Trends Survey: Statistics by Fishery Type, Species, and Fishing Method.? 

  7. Long, W., 2017. Automated amino acid analysis using an Agilent Poroshell HPH-C18 column. Application note, Agilent Technologies, Inc. Publication Number 5991-5571 EN.? 

  8. MacArtain, P., Gill, C. I. R., Brooks, M., Campbell, R. and Rowland, I. R. 2007. Nutritional value of edible seaweeds. Nutr. Rev. 65, 535-543.? 

  9. Milinovic, J., Mata, P., Diniz, M. and Noronha, J. P. 2021. Umami taste in edible seaweeds: The current comprehension and perception. Int. J. Gastron. Food Sci. 23, 100301.? 

  10. Mohamed, S., Hashim, S. N. and Rahman, H. A. 2012. Seaweeds: A sustainable functional food for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Trends Food Sci. Technol. 23, 83-96.? 

  11. Murakami, S., Hirazawa, C., Mizutani, T., Yoshikawa, R., Ohya, T., Ma, N., Owaki, Y., Owaki, T., Ito, T. and Matsuzaki, C. 2023. The anti-obesity and anti-diabetic effects of the edible seaweed Gloiopeltis furcata (Postels et Ruprecht) J. Agardh in mice fed a high-fat diet. Food Sci. Nutr. 11, 599-610.? 

  12. Nunes, N., Ferraz, S., Valente, S., Barreto, M. C. and Pinheiro de Carvalho, M. A. A. 2017. Biochemical composition, nutritional value,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seven seaweed species from the Madeira Archipelago. J. Appl. Phycol. 29, 2427-2437.? 

  13. Pangestuti, R. and Kim, S.-K. 2015. Chapter 6 Seaweed proteins, peptides, and amino acids, pp. 125-140. In: Tiwari, B.K. and Troy, D.J. (eds). Seaweed Sustainability. Academic Press: San Diego, the United States.? 

  14. Shin, D. M., An, S. R., In, S. k. and Koo, J. G. 2013. Seasonal variation in the dietary fiber, amino acid and fatty acid contents of Porphyra yezoensis. Kor. J. Fish Aquat. Sci. 46, 337-342.? 

  15. Tamura, K., Stecher, G. and Kumar, S. 2021. MEGA11: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Version 11. Mol. Biol. Evol. 38, 3022-3027.? 

  16. Thiviya, P., Gamage, A., Gama-Arachchige, N. S., Merah, O. and Madhujith, T. 2022. Seaweeds as a source of functional proteins. Phycology 2, 216-243.? 

  17. Tiwari, B. K. and Troy, D. J. 2015. Chapter 1 Seaweed sustainability - food and nonfood applications, pp. 1-6. In: Tiwari, B.K. and Troy, D.J. (eds). Seaweed Sustainability. Academic Press: San Diego, the United States.? 

  18. Yang, H. C., Jung, K. M., Gang, K. S., Song, B. J., Lim, H. C., Na, H. S., Mun, H. and Heo, N. C. 2005. Physicochemical composition of seaweed fulvescens (Capsosiphon fulvescens). Kor. J. Food Sci. Technol. 37, 912-917.? 

  19. Zheng, L. X., Chen, X. Q. and Cheong, K. L. 2020. Current trends in marine algae polysaccharides: The digestive tract, microbial catabolism, and prebiotic potential. Int. J. Biol. Macromol. 151, 344-354.? 

  20. Zhou, A. Y., Robertson, J., Hamid, N., Ma, Q. and Lu, J. 2015. Changes in total nitrogen and amino acid composition of New Zealand Undaria pinnatifida with growth, location and plant parts. Food Chem. 186, 319-32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