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두개골 측방향 X-선 촬영에서 정확도 향상을 위한 촬영 보조 기구의 유용성 평가
Evaluation of Usefulness of Assertive Devices to Improve the Accuracy in Skull lateral X-ray Projection 원문보기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18 no.2, 2024년, pp.153 - 159  

장보석 (가야대학교 방사선학과)

초록

일반 X-선 촬영에서 경험이 없는 비숙련자의 경우, 검사 실패의 경험을 통해 숙련되는 과정을 겪는다. 이것은 불필요한 의료 피폭 가중의 문제를 유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배치 전 비숙련 방사선사가 임상 숙련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 시각적, 공간적 보조 장치를 이용한 두개골 측방향 촬영 실습을 통해, 촬영 보조장치 사용에 따른 정확도와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육안적 관찰과 학습에 의존해서 촬영한 경우 영상 왜곡을 나타내는 회전 이격도 7.85 ± 1.45 mm, 기울임 이격도 4.84 ± 0.5 mm였다. 시각적 보조 장치를 이용해서 실습한 경우 회전 이격도 4.4 ± 0.76 mm, 기울임 이격도 3.01 ± 0.87mm였다. 공간적 보정 기구를 이용해서 실습한 경우 회전과 기울임 이격도는 5.2 ± 0.69 mm, 3.33 ± 0.61 mm로 나타났다. 배치 후 작업 환경과 동일한 조건에서 경험적 촬영 실습에 의한 영상 왜곡은 5.4% 감소하였으나, 기울임에 의한 영상 왜곡은 1.2% 증가하였다. 시각적 보조 장치를 이용해서 실습한 경우, 경험적 촬영 실습보다 회전이격도 40.1% 기울임 이격도 30.7% 감소하였다. 공간적 보정 기구를 사용할 경우, 기존의 경험적 실습 방식보다 회전 이격도 41.7%, 기울임 이격도 23.7% 감소하였다. 따라서 비숙련 방사선사의 배치 전 시각적, 공간적 촬영 보조 기구를 이용한 실습은 배치 후 검사 정확도 향상과 재촬영률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X-ray projection, Unskilled radiologists become skilled through fail exam. This causes the patient to be exposed to unnecessary radiation. In this study, pre-position unskilled radiologic technologist presented ways to improve clinical proficiency. presented a skull lateral x-ray projection pract...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제안 방법

  • C 그룹은 LAI를 제거한 상태에서 측두골과 하학골이 IR의 수평면과 공간적 왜곡이 발생하는 부위에 대해서 공간 보정 기구 SCT에 대한 사용법을 듣고 촬영을 진행하였다. 3그룹 모두 각자의 그룹에 맞는 교육을 10분간 받은 상태에서, 30분 뒤 1인당 1회 팬텀을 이용한 두개골 측방향 촬영 실습을 시행하였다. 배치 전 촬영 보조 기구 실습에 따른 유의성 평가를 위해 3일 뒤 2차 실험을 진행하였다.
  • Fig. 4는 영상 왜곡 정도를 양측 하악골의 관절 돌기(condylar process)의 앞뒤의 간격을 측정하여 두개골의 회전에 따른 이격 정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양측 하악골 관절 돌기의 상하 간격 길이를 측정하여 두개골 기울임에 의한 차이 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 실험 대상으로 방사선사 면허를 취득하고, 취업을 준비 중인 임상 경험이 전혀 없는 비숙련 방사선사를 30명을 대상으로 10명씩 3개 그룹으로 나누어 1차 실험을 진행하였다. A 그룹은 현재 대부분 병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촬영 보조 장비가 배제된 상태에서 촬영 방법에 대한 교육만 받고, 선임 방사선사가 촬영하는 행위를 육안으로 관찰한 후 촬영을 진행하였다. B 그룹은 시각적 보조 장치 LAI 이용해서 X축 라인 레이저가 표시되는 부위에 MSP을 맞추고 Y축 IOML이 맞춰지도록 교육을 받은 이후 촬영을 진행하였다.
  • A 그룹은 현재 대부분 병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촬영 보조 장비가 배제된 상태에서 촬영 방법에 대한 교육만 받고, 선임 방사선사가 촬영하는 행위를 육안으로 관찰한 후 촬영을 진행하였다. B 그룹은 시각적 보조 장치 LAI 이용해서 X축 라인 레이저가 표시되는 부위에 MSP을 맞추고 Y축 IOML이 맞춰지도록 교육을 받은 이후 촬영을 진행하였다. C 그룹은 LAI를 제거한 상태에서 측두골과 하학골이 IR의 수평면과 공간적 왜곡이 발생하는 부위에 대해서 공간 보정 기구 SCT에 대한 사용법을 듣고 촬영을 진행하였다.
  • B 그룹은 시각적 보조 장치 LAI 이용해서 X축 라인 레이저가 표시되는 부위에 MSP을 맞추고 Y축 IOML이 맞춰지도록 교육을 받은 이후 촬영을 진행하였다. C 그룹은 LAI를 제거한 상태에서 측두골과 하학골이 IR의 수평면과 공간적 왜곡이 발생하는 부위에 대해서 공간 보정 기구 SCT에 대한 사용법을 듣고 촬영을 진행하였다. 3그룹 모두 각자의 그룹에 맞는 교육을 10분간 받은 상태에서, 30분 뒤 1인당 1회 팬텀을 이용한 두개골 측방향 촬영 실습을 시행하였다.
  • 검사자는 촬영 테이블에 세팅된 X축과 Y축을 시각적으로 표시해 주는 레이저 축 표시기(LAI; Laser Axis Indicator)의 기준선을 이용하여 두개골 위치 조정하면 정측면(True lateral Plane) 자세를 찾을 수 있다. LAI의 X축에 시상면(MSP: Mid Sagittal Plane), Y축에 안와 하이공선(IOML; Infra-Orbito Meatal Line)과 평행하게 조정한 후 촬영을 시행하였다.
  • 1과 같이 X축과 Y축을 시각적으로 표시해 주는 라인 레이저 모듈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임상에서 일반 X-선 두개골 촬영을 위한 기준선 표시 장치가 없으므로, 해부학적 기준선을 시각적으로 표시해 주는 촬영 보조 기구의 막대를 3D 프린팅을 통해 제작하였다.
  • 두개골 정측면 영상에 대한 정확도 평가는 두개골 회전과 기울림의 차이 정도를 평가하였다. Fig.
  • 또한, 양측 하악골 관절 돌기의 상하 간격 길이를 측정하여 두개골 기울임에 의한 차이 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두개골 측방향 촬영에서 배치 전 촬영 보조 장치를 사용한 실습의 유용성 평가를 위해 1) 경험치만 이용한 방법, 2) 시각적 보조 장치 LAI를 이용한 방법 3) 공간적 보정 기구를 이용한 방법 등 3그룹으로 분류하여, 촬영 보조 장치를 이용한 실습의 교육적 효과를 각 A, B, C 그룹 사이에 회전 이격도와 기울임 이격도를 비교하여 배치 전 촬영 보조 장치 사용에 따른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 IR의 수평면과 두개골의 굴곡진 외측면이 접촉할 때 회전 또는 기울임에 의한 영상의 왜곡이 발생한다. 두개골 측부와 IR의 수평면 사이의 공간이 생기는 부위를 보정하기 위해 원자 밀도가 낮은 스펀지를 이용해서 IR 면과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공간 보정 도구(SCT; Space Calibration Tool)를 제작하였다. Fig.
  • 3은 두개골 측방향 촬영에서 영상의 왜곡을 방지하기 위해 공간 보정 기구를 이용한 모식도이다. 두개골의 해부학적 구조상 IR 수평면과 공간의 왜곡이 발생하는 측두골과 하악골 부위에 스펀지를 위치시켜 공간적 왜곡을 최소화한 후 촬영을 시행하였다.
  • 4는 영상 왜곡 정도를 양측 하악골의 관절 돌기(condylar process)의 앞뒤의 간격을 측정하여 두개골의 회전에 따른 이격 정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양측 하악골 관절 돌기의 상하 간격 길이를 측정하여 두개골 기울임에 의한 차이 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두개골 측방향 촬영에서 배치 전 촬영 보조 장치를 사용한 실습의 유용성 평가를 위해 1) 경험치만 이용한 방법, 2) 시각적 보조 장치 LAI를 이용한 방법 3) 공간적 보정 기구를 이용한 방법 등 3그룹으로 분류하여, 촬영 보조 장치를 이용한 실습의 교육적 효과를 각 A, B, C 그룹 사이에 회전 이격도와 기울임 이격도를 비교하여 배치 전 촬영 보조 장치 사용에 따른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 3그룹 모두 각자의 그룹에 맞는 교육을 10분간 받은 상태에서, 30분 뒤 1인당 1회 팬텀을 이용한 두개골 측방향 촬영 실습을 시행하였다. 배치 전 촬영 보조 기구 실습에 따른 유의성 평가를 위해 3일 뒤 2차 실험을 진행하였다. 촬영 보조 장치를 모두 제거한, 동일한 조건에서 3그룹 모두 각각 1회씩 총 30회 촬영하였다.
  • 보조 장치가 제거된, 배치 후 와 동일한 조건의 2차 실험에서, 각 A, B, C 그룹 사이에 회전과 기울임 이격도를 비교하여, 시각적, 공간적 보조 기구를 이용한 촬영 실습의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이에 대한 내용은 Box Plot으로 제시하였다(Fig.
  • 배치 전 촬영 보조 기구 실습에 따른 유의성 평가를 위해 3일 뒤 2차 실험을 진행하였다. 촬영 보조 장치를 모두 제거한, 동일한 조건에서 3그룹 모두 각각 1회씩 총 30회 촬영하였다. X-선 촬영장치(Model; UD1 50L-40E, SHIMADZU Co, Japan)을 사용하였으며, IR 상수상기는 간접 영상 획득방식(CR; Computed Radiography)의 Image plate 10 × 12 inch 크기의 평면 패널 검출기를 사용하였다.

대상 데이터

  • 또한, Fig. 2와 같이 설치된 막대 위에 기준선을 시각적으로 표시해 줄 수 있는 라인 레이저 모듈(5 eV-line-LD) 4개를 설치하였다. 검사자는 촬영 테이블에 세팅된 X축과 Y축을 시각적으로 표시해 주는 레이저 축 표시기(LAI; Laser Axis Indicator)의 기준선을 이용하여 두개골 위치 조정하면 정측면(True lateral Plane) 자세를 찾을 수 있다.
  • X-선 촬영장치(Model; UD1 50L-40E, SHIMADZU Co, Japan)을 사용하였으며, IR 상수상기는 간접 영상 획득방식(CR; Computed Radiography)의 Image plate 10 × 12 inch 크기의 평면 패널 검출기를 사용하였다.
  • 실험 대상으로 방사선사 면허를 취득하고, 취업을 준비 중인 임상 경험이 전혀 없는 비숙련 방사선사를 30명을 대상으로 10명씩 3개 그룹으로 나누어 1차 실험을 진행하였다. A 그룹은 현재 대부분 병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촬영 보조 장비가 배제된 상태에서 촬영 방법에 대한 교육만 받고, 선임 방사선사가 촬영하는 행위를 육안으로 관찰한 후 촬영을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B. J. Ahn, "A Study on Dose Reduction in Infant?Skull Radiograph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of Radiology, Vol. 11, No. 5, pp. 386-392, 2017.?http://dx.doi.org/10.7742/jksr.2017.11.5.387 

  2. K. R. Park, J. H. Cho, D. G. Kim, H. W. Kwon,?Y. J. Choi, M. J. Lee, S. K. Lee, I. S. Choi, J. H.?Park, "Craniometric Analysis Using Cranial Index?(CI) and Petrous Ridge-midline Angle (PMA) in the?Korean Population: Postmortem Computed?Tomography-based Study", Anatomy & Biological?Anthropology, Vol. 35, No. 3, pp. 85-92, 2022.?https://doi.org/10.11637/aba.2022.35.3.85 

  3. J. P. Lee, Y. G. Park, "The Several Measurements?and Results of Plain Skull X-ray in Korea Adults",?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 25,?No. 2, pp. 360-364, 1996. 

  4. S. M. You, "Development of non-contact patient?head alignment device (HEAD) for X-ray imaging?for skull true lateral projection", Journal of the?Korean Physical Society, Vol. 78, No. 6, pp.?550-556, 2021.?http://dx.doi.org/10.1007/s40042-021-00108-z 

  5. M. N. Lee, S. M. Kwon, K. S. Chen, "Analysis of?Noise Power Spectrum According to Flat-Field?Correction in Digital Radiography", Journal of the?Korean Society of Radiology, Vol. 7, No. 3, pp.?227-236, 2013.?https://doi.org/10.7742/jksr.2013.7.3.227 

  6. B. J. Ahn, "A Study on Dose Reduction in Infant?Skull Radiograph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of Radiology, Vol. 11, No. 5, pp. 386-392, 2017.?https://doi.org/10.7742/jksr.2017.11.5.387 

  7. Y. H. Sung, "Usefulness Evaluation of Merchant?Auxiliary Equipment of Body Type Changing?Suitable for X-ray Table Integral Type", Journal of?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Vol. 14, No. 6, pp. 2773-2779, 2013.?http://dx.doi.org/10.5762/KAIS.2013.14.6.277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