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들뢰즈의 '되기' 운동으로 바라본 고등학생들의 천체 관측 활동 경험
The Experiences of High School Students about Astronomical Observation Activities Seen through the Movement of Deleuzian "Becoming"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45 no.2, 2024년, pp.147 - 156  

홍석영 (한국교원대학교부설고등학교) ,  곽영순 (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과학 실천은 학습 소재에 해당하는 대상이나 관찰과 측정을 위한 도구와 같은 '이질적인 것'들과 새로운 관계를 맺는 과정이다. 최근 전공 교과에 대한 과학 실천이 점차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천체 관측이라는 지구과학 교과의 특유한 과학 실천을 새롭게 들여다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천체 관측을 경험한 학생들과 수많은 물질들이 만들어 낸 의미를 '-되기'의 경험으로 바라보았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A고등학교의 천체 관측 활동에 참여하는 17명의 학생들이 작성한 활동 일지, 사진 자료 등을 수집하고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상황 분석 방법을 재구성하여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학생들의 존재-인식론적 '-되기'의 과정으로 1) 반복을 통해 새로움을 발견하는 과정, 2) 천체 관측 활동의 정동을 전달하기 위한 '설명 기계'가 되어가는 과정, 3) 안정적인 영토를 벗어나 문턱을 넘는 과정을 발견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구과학교육과 교육 연구를 위한 교사의 실천과 새로운 접근 방식에 대해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cience practice is a process of establishing new relationships with 'foreign things' such as learning objects or tools for observation and measurement. Since the practice of science in major subjects has been increasingly emphasized, we sought to understand the meaning co-created by students and nu...

주제어

참고문헌 (18)

  1. Ahn, H., and Oh, J. (2019). Territorialization, Deterritorialization?and Reterritorialization in Early Childhood Science?Education for Pre-Service Teachers Through the?Vegetable-Flower Gardening Project. International?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5(2), 127-141. 

  2. Baek, S. H., and Lee, J. (2015). Development and?Application of Remote Observatory System for?Elementary School Gifted Students in Science. Journal?of Gifted/Talented Education, 25(5), 697-709. 

  3. Barad, K. (2007). Meeting the Universe Halfway. London:?Duke University Press. 544 p. 

  4. Choi, D-Y., and Ahn, Y. (2021). Development of Design?Principles for Astronomical Observing Education?Program Based on Authentic Inquiry. The Journal of?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42(6), 752-769. 

  5. Clarke, A. E. (2007). Grounded Theory: Critiques, Debates,?and Situational Analysis. In Turner, S. P., & Outhwaite,?W. (Eds.), The SAGE Handbook of Social Science?Methodology (pp. 423-442). London: SAGE. 

  6. De Freitas, E. (2016). Gilles Deleuze. In de Freitas, E., &?Walshaw, M. (Eds.), Alternative theoretical frameworks?for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Theory meets data?(pp. 93-120). Cham: Springer. 

  7. Deleuze, G. (2001). Spinoza-philosophie pratique (translated?by Park, K.). Seoul: Minums, 176 p. 

  8. Deleuze, G., and Guattari, F. (2011). Mille plateaux:?capitalisme et schizophrenie 2 (Kim, J-Y. Trans.). Seoul:?Saemulgyul, 1000 p. 

  9. Eom, H., and Shim, H. (2022). A Phenomenological Study?on Earth Science Teachers' Experiences of Astronomical?Observation Activitie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46(2), 195-211. 

  10. Haus, J. M. (2020). Performative intra-action of a paper?plane and a child: Exploring scientific concepts as?agentic playmate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50,?1305-1320. 

  11. Jackson, A. Y., & Mazzei, L. (2011). Thinking with theory?in qualitative research: Viewing data across multiple?perspectives. Abingdon: Routledge, 170 p. 

  12. Roth, W. (2021). Gardener-becoming-tree, tree-becoming-gardener: growing-together as a metaphor for thinking?about learning and development. Cultural Studies of?Science Education, 16, 915-930. 

  13. Sellers, M. (2018). Young Children Becoming Curriculum?(Translated by Sohn, Y. et al.) Seoul: Changjisa, 240 p. 

  14. Shim, H., Jeong, H., and Eom, H. (2020). Designing of?Inquiry Program about the Parallax-Distance Relation?for Asteroids. School Science Journal, 14(3), 337-352. 

  15. Shin, M-.R, and Lee, Y-S. (2011). The Effect of PBL-based Astronomical Observation Program on Science?Process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s in Elementary?Science-Gifted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of Earth Science Education, 4(1), 20-31. 

  16. Simondon, G. (2017). L'individuation a la lumiere des?notions de forme et d'information (translated by Hwang,?S-Y.). Seoul: Greenbee, 571 p. 

  17. Song, Y-H., and So, K. H. (2018). The Effect of Science?Classes using Astronomical Observation Software on?Scientific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of Elementary Student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42(2), 230-241. 

  18. Taylor, C. A. (2013) Mobile Sections and Flowing Matter?in Participant-Generated Video: Exploring a Deleuzian?Approach to Visual Sociology. In Coleman, R., &?Jessica, R. (Eds.), Deleuze and research methodologies?(pp. 42-60). Edinburgh: Edinburgh University Press,?246p.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