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천문 교구를 활용한 HTE-STEAM 별자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시공간 개념을 통한 미래 사회 핵심역량 함양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HTE-STEAM Constellation Education Program Using Astronomical Teaching Aid: Focused on Cultivating Core Competencies for Future Society through the Concept of Space and Time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17 no.1, 2024년, pp.34 - 48  

조아라 (충북대학교 천문우주학과) ,  김용기 (충북대학교 천문우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세계적으로 역량중심 교육이 주목됨에 따라, 교육부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창의융합형 인재가 갖춰야 할 미래 사회 핵심역량 6가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미래 사회 핵심역량을 함양하고, 천문 영역 실험·실습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HTE-STEAM 별자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그 효율성을 파일럿 테스트를 통해 확인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은 학교 밖 교육 현장인, 충청북도 청주시 소재의 G 도서관에서 초등 3~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HTE-STEAM 별자리 교육 프로그램은 STEAM 태도 검사의 '자아 개념'을 제외한 모든 구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이공계 진로선택', '배려', '소통'에서 높은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미래 사회 핵심역량 중 '창의적 사고 역량'과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 역량'의 함양에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하였다. 둘째, HTE-STEAM 별자리 교육 프로그램은 시공간이라는 어려운 개념을 다루었으나, 수업 내용의 난이도가 쉽다고 응답한 학생들이 많고, 배운 공간개념을 응용하여 교구를 활용한 것으로 보아, 학생들의 하늘과 우주의 공간 구조에 대한 이해에 효과적이었다. 덧붙여, 본 프로그램은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추가된 하늘의 공간적 구조에 대한 성취기준을 충족하는 교육 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HTE-STEAM을 기반으로 한 별자리 교육 프로그램은 미래 사회 핵심 역량의 함양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으며, 학교 환경에서 천문 영역의 야간 관측 실습을 보완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the global rise in interest in competency-based education,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outlined six core competencie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essential for future society's 'creative and convergent talent'. This study introduces an HTE-STEAM constellation educatio...

주제어

표/그림 (14)

참고문헌 (23)

  1. 교육부(2016).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해설(초등학교).?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2. 교육부(2022). 2022 개정 초.중등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고시 제2022-33호. 

  3. 김영흥, 김진수(2017). 국내 STEAM 교육 연구 논문의 현황 분석. 대한공업교육학회지, 42(1), 140-159. 

  4. 김용기, 김형범, 조규동, 한신(2018). HTE-STEAM(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자유학기제 수업?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11(3), 224-236. 

  5. 김현종(2021). 2022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지구과학 내용 구성 방안 탐색: 천문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1(6), 441-454. 

  6. 김현진(2017). 초등학교 역량기반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연구. 교원교육, 33(4), 95-111. 

  7. 김희수, 서창현, 이항로(2003). 천문학적 공간개념 수준에?관한 검사도구 개발. 한국지구과학회지, 24(6), 508-523. 

  8. 노승현(2014). 역량기반 교육과정 비판적 분석: 2012 경기도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인격교육, 8(1), 23-42. 

  9. 설아침, 김형범, 김용기, 허윤정(2021). 블렌디드 러닝을?통한 HTE 창의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창의적?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21(7), 488-499. 

  10. 윤혜경(2008). 과학 실험 실습 교육에서 초등 교사가 느끼는 딜레마. 초등과학교육, 27(2), 102-116. 

  11. 이승우, 백종일, 이정곤 (2013). 융합인재교육(STEAM)을?적용한 초등 수학영재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효과. 초등수학교육, 16(1), 35-55. 

  12. 이주연, 이근호, 이변천, 가은아(2017). 역량기반 학교 교육과정의 실천 사례 특징 분석: 교육과정 연구학교를 중심으로. 교육과정평가연구, 20(1), 1-30. 

  13. 이태성(2018). 역량 중심 사회과 수업 모형의 설계: '4Cs'를 중심으로. 사회과수업연구, 6(1), 109-138. 

  14. 장미, 박승빈, 황동옥, 서경민(2021). 구글 티처블머신을?활용한 보이스피싱 예방 STEAM 프로그램 개발.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4(6), 107-117. 

  15. 최예경, 전종규, 김흥규, 최현주(2015). 첨단기술을 활용한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수업 적용. 현장과학교육, 9(2), 101-112. 

  16. 최유현, 이은상, 김동하(2013). 중학생을 위한 STEAM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로봇, 신소재, 우주탐사를 중심으로.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3(1), 152-177. 

  17. 한국과학창의재단(2018). 2017년 융합인재교육(STE-AM)?사업 성과분석 연구[AD18030006]. 

  18. 한신, 김용기, 김형범(2019). 자연재해 주제를 활용한 창의융합 HTE-STEAM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개발?및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2(3), 291-301. 

  19. 한혜정, 이주연(2018). 핵심역량과 교과 역량의 관점에서?2015 개정교육과정 분석 및 결과 활용 방안 탐구.?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1), 139-162. 

  20. 홍원표, 곽은희(2014). 역랑기반 교육과정의 국내 사례?분석: 두 교사의 수업 변화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32(2), 163-186. 

  21. Arcand, K. K., & Watzke, M. (2011). Creating public science?with the from earth to the universe project. Science?Communication, 33(3), 398-407. 

  22. Arcand, K. K., & Watzke, M. (2014). Here, there & everywhere: Science through metaphor, near and far. Science?Communicating Astronomy with the Public Journal,?15(1), 8-9. 

  23. Kim, H., & Chae, D. H. (2016).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STEAM program based on traditional Korean?culture. Eurasia Journal of Mathematics, Science and?Technology Education, 12(7), 1925-193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