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과학영재 학생을 대상으로 한 데이터 시각화 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Tableau 프로그램 활용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Learning Programs on Visualization of Data for Gifted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 Focusing on Using the Tableau Program -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43 no.1, 2024년, pp.18 - 34  

김형욱 (하주초등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데이터 시각화에 기반한 과학 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과학영재의 과학 탐구 능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총 12차시의 테블로를 활용한 데이터 시각화 과학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 대상은 연구자가 지도하고 있는 3개의 영재학급 학생 61명으로 하였으며, 환경과 상황에 맞게 수정된 과학 탐구 능력 검사지와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지를 사전, 사후에 투입하였다. 연구 결과 데이터 시각화에 기반한 과학 학습은 과학 탐구 능력 중 기초탐구 능력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다만 하위영역 중 추리 영역에서만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반면 기초 탐구 능력과 대조적으로 통합 탐구 능력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5개의 하위영역 중 자료변환, 자료해석, 변인통제 3개의 영역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하지만 변인통제와 연관이 있는 가설설정의 경우 학생들이 변인통제 과정과 가설설정의 정확한 개념을 혼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프로그램 적용을 통해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는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4개의 하위영역 모두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 테블로의 기능을 학생들이 능숙하게 익히게 된 것과 토의 토론하는 협력학습, 절차적 사고를 중시하는 데이터 시각화 프로그램의 주제적 영향이 이와 같은 결과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데이터 시각화에 기반한 과학 학습과 앞으로의 미래교육 방향에 대하여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 science-learning program based on data visualization on the science inquiry and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science-gifted students. Accordingly, this research developed a data visualization science-learning program using Table...

주제어

표/그림 (8)

참고문헌 (55)

  1. 강설주, 박판우, 배영권(2022). 데이터 시각화를 적용한?클라우드 기반 곱셈구구 연습 애플리케이션 개발.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6(4), 285-293. 

  2. 강인애, 이재경, 김미수(2014). 데이터 시각화를 활용한?미술수업에서의 시각적 문해력 증진. 조형교육, 49, 1-28. 

  3. 강호감, 김태훈(2014). 초등과학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영재교육연구, 24(6), 1025-1038. 

  4. 고동국, 홍승호(2021). 문제중심 기반 STEAM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이 초등과학 영재의 과학 탐구 능력,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40(1), 113-125. 

  5. 곽영순, 신영준(2021).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대비한 과학과 통합과학 및 과학탐구실험 교육과정 개선 방안 탐색. 과학교육연구지, 45(2), 143-155. 

  6. 교육부(2015).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세종: 교육부. 

  7. 교육부(2020). 과학.수학.정보.융합 교육 중 과학교육종합계획 보도자료(2020년 5월 26일). 

  8. 교육부(2021)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 보도자료(2021년 11월 24일). 

  9. 권재술, 김범기(1994). 초?중학생의 과학 탐구능력 측정?도구의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3), 251-264. 

  10. 김권숙, 최선영(2012). 과학기반 STEAM 프로그램이 초등과학 영재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31(2), 216-226. 

  11. 김도연, 전영석(2020). 과학 독서록을 통한 초등과학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분석. 과학영재교육, 12(1), 49-62. 

  12. 김명신, 조영환, 금선영(2023). 탐구학습에서 가설 생성과?평가를 위한 데이터 시각화의 효과와 난점.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9(1), 175-199. 

  13. 김민정(2021). 초등학생을 위한 데이터 시각화 리터러시?교육 방안 연구. 한국디자인리서치, 6(1), 294-305. 

  14. 김영신, 권용주, 김용진, 김희백, 서혜애, 손연아, 정은영,?정진수, 차희영(2012). 생명과학교육론. 파주: 자유아카데미. 

  15. 김은하, 권혁순(2016). 과학전람회에 참여하는 초등학생들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36(1), 113-123. 

  16. 김정아, 김민규, 김용민, 유혜진, 김종훈(2019). 파이썬을?활용한 데이터 시각화 교육이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컴퓨팅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3(3), 197-206. 

  17. 김희진, 김희수(2012). 중학교 과학교육에서 변인통제 능력 향상 프로그램 적용 효과. 과학교육연구지, 36(2),?251-262. 

  18. 두경일(2016). 빅데이터의 효과적 시각화를 위한 인포그래픽 연구.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55, 151-162. 

  19. 손미현, 정대홍(2020). 지식정보화 사회에서의 과학탐구?교육 방향성 탐색. 현장과학교육, 14(3), 401-414. 

  20. 손미현, 정대홍, 손정우(2018). 지식정보처리역량 관점에?서 중학생들의 과학탐구활동 어려움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8(3), 441-449. 

  21. 송진웅, 강석진, 곽영순, 김동건, 김수환, 나지연, 도종훈,?민병곤, 박성춘, 배성문, 손연아, 손정우, 오필석, 이준기, 이현정, 임혁, 정대홍, 정종훈, 김진희, 정용재?(2019). 미래세대를 위한 '과학교육표준'의 주요 내용과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3), 465-478. 

  22. 신현화, 김효남(2010). 초등학교 과학과 자유탐구 활동에서 교사와 학생이 겪는 어려움 분석. 초등과학교육, 29(3), 262-276. 

  23. 심상덕, 김현정(2023). 데이터 리터러시로서의 정량적 사고력 증진을 위한 대학 교양교육 운영 방안. 교양교육연구, 17(2), 185-195. 

  24. 엄경화, 김영수(2012). 고등학생의 과학적 가설에 대한 인식과 가설 설정 능력 조사. 생물교육, 40(3), 357-366. 

  25. 우지선, 김갑수(2022).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을 위한 데이터 시각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정보교육학회지, 26(6), 481-490. 

  26. 정은영(2008). Squeak Etoys 기반정보교육이 초등학생의?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정인진, 박경애(2022). 공공 플랫폼 기반 중학교 과학 교과서 해양 조석 데이터 시각화 탐구 활동 개발. 현장과학교육, 16(4), 518-535. 

  28. 조현철(2023). 과학태도 검사의 타당화: 과학영재학생과?일반학생의 비교. 영재와 영재교육, 22(1), 83-106. 

  29. 진영훈, 손정우(2011). 팀기반학습이 영재학생의 창의적?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영재교육연구, 21(3), 703-718. 

  30. 한국교육개발원(2001). 간편 창의적문제해결력검사개발 연구(I).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31. 한효순, 최병순, 강순민, 박종윤(2002). '생각하는 과학' 프로그램의 변인활동이 초등학생의 변인 통제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571-585. 

  32. 홍옥수, 김경미, 이재영, 김율(2022). 지능형 과학실의 개념과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2(2), 177-184. 

  33. 홍현정, 배진호, 소금현(2015). STEAM 기반 야외체험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 및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생물교육, 43(4), 344-354. 

  34. Athanases, S. Z., Bennett, L. H., & Wahleithner, J. M.?(2013). Fostering data literacy through preservice teacher inquiry in English language arts. The Teacher Educator, 48(1), 8-28. 

  35. Azzam, T., Evergreen, S., Germuth, A., & Kistler, S.?(2013). Data visualization and evaluation. New Directions for Evaluation, 2013(139), 7-32. 

  36. Borner, K., Adam, M., Russell, N. B., & Joe, H. (2016).?Investigating aspects of data visualization literacy using?20 information visualizations and 273 science museum?visitors. Information Visualization, 15(3), 198-213. 

  37. Bo wen, M., & Bartley, A. (2014). The basics o f data?literacy: Helping your students (and you!) make sense?of data. Arlington, VA: National Science Teachers?Association. 

  38. Cromley, J. G., Snyder-Hogan, L. E., & Luciw-Dubas, U.?A. (2010). Cognitive activities in complex science text?and diagrams.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5,?59-74. 

  39. Deluca, V. W., & Lari, N. (2011). The GRID C Project:?Developing students' thinking skills in a data-rich environment.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23(1), 5-18. 

  40. Epp, C., & Bull, S. (2015). Uncertainty representation in?visualizations of learning analytics for learners: Current?approaches and opportunities. IEEE Transactions on?Learning Technologies, 8(3), 242-260. 

  41. Erwin Jr, R. W. (2015). Data literacy: Real-world learning?through problem-solving with data sets. American Secondary Education, 18-26. 

  42. Hattwig, D., Bussert, K., Medille, A., & Burgess, J. (2013).?Visual literacy standards in higher education: New opportunities and student learning. Libraries and Academy,?13(1), 61-89. 

  43. KSES. (2019). 미래세대를 위한 과학교육 표준: 모든 한국인을 위한 과학적 소양.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44. Leblanc, D. (2012). Gapminder: Using a world of human?ecology data to teach students critical thinking skills.?Bulletin of the Ecological Society of America, 93, 358-372. 

  45. Martin, E. E., & Howell, P. D. (2001). Active inquiry, webbased oceanography exercises. Journal of Geoscience?Education, 49(2), 158-165. 

  46. Newman, G., & Scholl, J. (2012). Bar graphs depicting?averages are perceptually misinterpreted: The withinthe-bar bias. Psychonomic Bulletin & Review, 19(4),?601-607. 

  47. Onger, S., & Cetin, T. (2018). An investigation into digital?literacy views of social studies preservice teachers in the?context of authentic learning. Review of International?Geographical Education Online, 8(1), 109-124. 

  48. Pearsall, S. H. (1999). Effects of metacognitive exercise on?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reasoning. Unpublished?Ph. D. dissertation, Columbia University, New York,?United States. 

  49. Prado, J. C., & Marzal, M. A. (2013). Incorporating data?literacy into info rmatio n literacy pro grams: Co re co mpetencies and contents. Libri, 63(2), 123-134. 

  50. Rozencwajg, P. (2003). Metacognitive factors in scientific?problem-solving strategies. European Journal of Psychology of Education, 18(3), 281-294. 

  51. Schizas, D., Katrana, E., & Stamou, G. (2013). Introducing?network analysis into science education: Methodological?research examining secondary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decomposition'. International Journal of?Environmental & Science Education, 8(1), 175-198. 

  52. Shreiner, T. L. (2018). Data literacy for social studies:?Examining the role of data visualizations in K-12 textbooks. Theory and Research in Social Education, 46(2),?194-231. 

  53. Swan, K., Vahey, P. J., Rafanan, K., & Stanford, T. (2009).?Challenges to Cross-Disciplinary Curricula: Data Literacy and Divergent Disciplinary Perspectives. TWD AERA?paper draft. Retrieved from https://www.sri.com/sites/default/files/publications/aera_2009_twd.pdf 

  54. Wolters, C. A. (2003). Understanding procrastination from?a self-regulated learning perspectiv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5(1), 179-187. 

  55. Zeidler, D. L., Sadler, T. D., Simmons, M. L., & Ho wes,?E. V. (2005). Beyond STS: A research-based framework?for socioscientific issues education. Science Education,?89(3), 357-377.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