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 행동이 참여자에게 미치는 영향과 고등학교에서 기후 행동 교육이 어려운 이유
Impact of Climate Action on Participants and Why Climate Action Education is Difficult in High Schools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17 no.1, 2024년, pp.70 - 85  

박기락 (신가중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기후 행동이 참여자에게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지, 고등학교에서 기후 행동 교육이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지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기본적 질적 연구(basic qualitative research) 방법을 택하였으며 연구참여자는 활동 당시의 중학생 5명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학생 때의 기후 행동으로 참여자의 진로는 구체적으로 변하였고 기후 소양은 함양되었다. 그리고 고등학교에서 기후 행동 교육은 충분하지 않았다. 기후 행동 교육을 하는 환경 과목은 많은 학생의 선택을 받지 못하여 개설이 어려웠으며 대학 입시에 대한 부담으로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기후 행동 교육을 하는 것은 비현실적이었다. 이 연구의 논의점은 다음과 같다. 기후 행동은 진로를 구체화하고 기후 소양을 함양하는 데 일조하기 때문에 중학생에게 장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기후 행동은 지속성이 중요하기 때문에, 기후 소양을 꾸준히 유지할 수 있도록 초·중·고등학교의 교육과정에 기후 행동 교육을 전문적으로 할 수 있는 과목을 개설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at impact climate action has on study participants and why climate action education is difficult in high schools. For this purpose, a basic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selected, and the study participants were five middle school students at the time of...

주제어

표/그림 (5)

참고문헌 (52)

  1. 고문정, 박재용(2022). 시각 예술 자료를 활용한 기후변화?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기후변화 소양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81, 55-55. 

  2. 교육부(2015a).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9]. 

  3. 교육부(2015b). 고등학교 교양 교과(환경)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9]. 

  4. 교육부(2015c).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제2015-74호 [별책 42]. 

  5. 교육부(2015d). 중학교 선택 교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제2015-74호 [별책 18]. 

  6. 교육부(2022a).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22-33호 [별책 9]. 

  7. 교육부(2022b). 사회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22-33호 [별책 7]. 

  8. 권정민(2021). 코로나 시대 초등원격수업이 부실한 원인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초등교육, 32(1), 399-424. 

  9. 권정민(2022). 자폐성장애 아동의 부모는 왜 사이비 치료를 선택하는가? 자폐성장애연구, 22(2), 115-151. 

  10. 김순식, 이용섭(2022). PBL을 적용한 환경글쓰기 수업이?초등학생들의 기후소양 및 환경감수성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5(3), 345-353. 

  11. 김장환, 신원섭, 신동훈(2015).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을 활용한 에너지 교육이 초등학생의 에너지 기후변화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에너지기후변화교육, 5(2), 185-191. 

  12. 김진철, 장봉석(2019).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진로 공동교육과정 참여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교육혁신연구, 29, 357-378. 

  13. 남경미, 박재연(2023). 고3 수험생 어머니의 자녀 대학입시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정서적.신체적.행동적 경험을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9(4), 371-394. 

  14. 문수란, 이석희(2021). 예비교사의 환경교육 수업이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과 환경소양에 미치는 영향. 에너지기후변화교육, 11, 311-319. 

  15. 박우용, 서은정(2021). 중학생의 기후변화 위험인식 유형별 특징에 관한 연구. 환경교육, 34(1), 63-80. 

  16. 박재근(2021). 중.고등학교 환경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제시된 에너지 교육 내용 분석. 에너지기후변화교육, 11, 251-260. 

  17. 백성희, 김찬종(2021). 고등학생의 기후변화 대응 실천역량에 대한 부모 관련 변인과 기후변화 관련 경험의?영향. 에너지기후변화교육, 11, 227-238. 

  18. 서은정(2016). 중등학교 환경교과 선택 및 교사 임용율을?둘러싼 환경교육과정 운영 실태에 대한 연구. 환경교육, 29(3), 251-262. 

  19. 소금현, 하나윤(2016). 동아리 활동을 위한 기후변화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 태도 및 환경적 세계관에 미치는 영향. 에너지기후변화교육, 692, 139-147. 

  20. 송인발, 강혜영(2016). 중학생의 학교 진로교육 참여활동이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10), 140-149. 

  21. 신원섭, 전예름, 신동훈(2020). 2015 개정 초중등 교육과정에서 기후변화교육내용 분석. 에너지기후변화교육, 10(2), 121-129. 

  22. 유기웅, 정종원, 김영석, 김한별(2018). 질적 연구방법의?이해. 서울: (주)박영사. 

  23. 유화영(2018). 농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자아탄력성, 진로정체감, 진로성숙도 간의 관계. 한국청소년상담학회지, 3, 63-81. 

  24. 윤마병(2019). 잎화석의 CLAMP 탐구를 통한 고등학교?기후변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2(1), 27-39. 

  25. 이경하, 박진, 윤화영, 이경선, 이선경(2015). 초등학생을?위한 체험중심 기후변화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적용. 에너지기후변화교육, 5(2), 211-226. 

  26. 이도영(2019). 창의적 체험활동 경험에 대한 중학생 인식?연구: 자율활동을 중심으로. 교육종합연구, 17, 107-136. 

  27. 이명원, 신현정(2021).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기후변화대응 실천역량 탐색. 환경교육, 34(3), 288-305. 

  28. 이봉우, 이세연, 조헌국(2022). 초중등학생의 기후변화에?대한 인식과 태도 분석. 에너지기후변화교육, 12(2),?153-163. 

  29. 이세연, 조헌국, 이봉우(2021). 고등학생들의 기후변화 소양 조사. 에너지기후변화교육, 11, 273-285. 

  30. 정연화, 이석희(2018). 부산기후변화체험교육관을 활용한 기후변화교육이 초등학생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지식.태도, 환경민감도, 환경태도에 미치는 영향.?에너지기후변화교육, 8(2), 113-127. 

  31. 정지현, 김순식(2023). EBS 프로그램을 활용한 환경수업이 초등학생의 환경감수성 및 환경책임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6(2), 224-233. 

  32. 조성화, 정호선, 이성희, 김문옥, 이윤미, 안새롬, 최선경,?손유란(2018). 2018년 대한민국 환경교육 현황조사?연구. 한국환경교육학회 학술대회, 49-52. 

  33. 조아라, 조욱상(2022). 자유학기제 체육수업이 중학생의?수업만족도와 진로탐색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61(6), 139-149. 

  34. 주형선, 김남수, 전푸름, 이선경(2021).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 환경교육 경험 및 요구 조사. 환경교육,?34(4), 428-451. 

  35. 차주영, 이희찬(2017).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이 기후변화대응 수요에 미치는 영향. 환경정책, 25(4), 63-77. 

  36. 채유정(2022). 환경교육 정책 제안을 위한 교사들의 환경 인식 조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22), 523-534. 

  37. 학교알리미(2023). 표시과목별 교원현황(과목별). https://www.schoolinfo.go.kr/ng/go/pnnggo_a01_l2.do. 

  38. 한겨례(2022). 우주에서 본 '악몽의 여름'...두 호수의 엇갈린 운명. 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asiapacific/1058213.html. 

  39. 환경부(2021). 환경백서. 환경부. 

  40. Akitsu, Y., Ishihara, K. N., Okumura, H., & Yamasue, E.?(2017). Investigating energy literacy and its structural?model for lower secondary students in Japan. International?Journal of Environmental and Science Education, 12(5),?1067-1095. 

  41. Beyer, R. M., Manica, A., & Mora, C. (2021). Shifts in global?bat diversity suggest a possible role of climate change?in the emergence of SARS-CoV-1 and SARS-CoV-2.?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767, 145413. 

  42. Birt, L., Scott, S., Cavers, D., Campbell, C., & Walter, F.?(2016). Member checking: A tool to enhance trustworthiness or merely a nod to validation? Qualitative?Health Research, 26(13), 1802-1811. 

  43. Creswell, J., & Poth, C. (2016).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Newbury Park?CA: Sage Publications. 

  44. Dodd, V., Hanson, J., & Hooley, T. (2022). Increasing students'?career readiness through career guidance: Measuring the?impact with a validated measure. British Journal of?Guidance & Counselling, 50(2), 260-272. 

  45. Dunlop, L., Atkinson, L., Stubbs, J. E., & Diepen, M. T.?V. (2021). The role of schools and teachers in nurturing?and responding to climate crisis activism. Children's?Geographies, 19(3), 291-299. 

  46. Hernandez, J., Scherr, R., German, M., & Horowitz, R. (2022).?Place-based education in high school science: Situating?energy and climate change in students' communities.?Sustainability and Climate Change, 15(1), 58-67. 

  47. IPCC (2021). Climate change 2022: Impacts, adaptation and?vulnerability. https://www.ipcc.ch/report/ar6/wg2/ 

  48. Merriam, S. B., & Tisdell, E. J. (2015). Qualitative research:?A guide to design and implementation. John Wiley &?Sons. 

  49. Mittenzwei, D., Bruckermann, T., Nordine, J., & Harms, U.?(2019). The energy concept and its relation to climate?literacy. Eurasia Journal of Mathematics Science and?Technology Education, 15(6), em1703. 

  50. The Guardian (2019). It's a crisis, not a change': The six?Guardian language changes on climate matters. https://www.theguardian.com/environment/2019/oct/16/guardian-language-changes-climate-environment 

  51. U.S. Global Change Research Program (2009). Climate literacy:?The essential principles of climate science: A guide for?individuals and communities. https://www.climate.gov/teaching/essential-principles-climate-literacy/essential-principles-climate-literacy 

  52. van Kessel, C. (2020). Teaching the climate crisis: Existential?considerations.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Research,?2(1), 129-14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