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국제교류와 융합교육 =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relations & interdisciplinary education, v.4 no.1, 2024년, pp.57 - 83
정연숙 (세종학당재단 샤르자 거점 세종학당)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scores on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TOPIK) among foreign exchange students on academic adaptation. Recruited students, approved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totaled seven, and their interview contents were analyzed using a comprehens...
교육부. (2014). 전략적 유학생 유치 및 정주 지원방안.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m020602&smoe&page102&boardID339&boardSeq52802&lev0&opTypeN
교육부. (2019). 외국인 유학생 및 어학연수생 표준 업무처리요령. https://www.moe.go.kr/boardCnts/boardCnts/view.do?boardID350&lev0&statusYNW&smoe&m0309&opTypeN&boardSeq77521
김대현, 강이화(1999). 교사양성 교육을 받고 있는 대학생들의 고등학교 시절의 선생님과 성적의?의미-자서전적 방법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17(1), 351-371.
김대현, 김현주(2003). 입학초기 중학생의 삶. 교육과정연구, 21(4), 1-24.
김도혜(2019). 교육 수혜자에서 초국적 청년 이주자로-해외 유학생 연구 동향을 통해 본 한국의?외국인 유학생 연구의 과제와 추진 방향. 다문화콘텐츠연구, 31, 39-68.
김명광(2021). COVID-19 와 유학생 유치 정책에 대한 일고. 현대사회와다문화, 11(2), 35-67.
김지혜(2017). 외국인 유학생 대상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 방안 연구. 교양교육연구, 11(2),?537-562.
김한나, 우한솔, 이승호(2016) 한.중.일 3국의 외국인 유학생 유치 정책 비교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Asian Journal of Education), 17(4), 311-337.
류선숙(2019). 대학 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입학 전 한국어 수준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연구. 교양교육연구, 13(6), 245-270.
문정현(2022). 학부 외국인 유학생 대상의 글쓰기 비교과 프로그램 실제: P 대학교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13(4), 1749-1764.
민장배, 송진영(2020). 외국인 유학생 대상 상호동료튜터링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 S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6(2), 865-885.
박석준(2008). 국내 대학의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 현황 분석-입학 후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어교육, 19(3), 169-200.
박소연, 최은경(2020).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맞춤형 비교과 프로그램 설계: D대학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6(4), 381-405.
박수현(2019). 한국어능력시험의 학문 목적 사용에 관한 타당화-평가사용논증 모형을 중심으로.?한국어교육, 30(3), 21-49.
박진욱, 박은영(2016).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학업적응 검사 도구 개발을 위한 예비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국제학술발표논문집, 2016, 532-540.
사키야 미호, 야나세 히로이치(2018). 대학의 위기, 뒤집어 보면 기회다. (김대식 감역). 초판, 서울: 매일경제신문사.
서영인(2012)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 관리 및 지원 체제 강화 방안 연구 (RR2012-15). [KEDI] 연구보고서, 1-390.
서영주(2020).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대학생활경험 내러티브 탐구: 부산 A 대학 아시아 유학생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다문화교육연구, 13(1), 35-58.
송나리(2020). 대학의 비교과교육과정 개발.운영모형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학술논문
윤지원, 김상욱(2017). 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연구: 중국인 유학생을 중심으로: 중국인 유학생을 중심으로. 중국과 중국학, (32), 29-56.
윤지원, 심혜령(2019). 대학 내 외국인 유학생 대상 상호동료튜터링 프로그램 연구-실제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53, 101-124.
이동성, 김영천(2014). 질적 자료 분석을 위한 포괄적 분석절차 탐구: 실용적 절충주의를 중심으로. 교육종합연구, 12(1), 159-184.
이미혜(2018. 한국어능력시험 (TOPIK) 의 어휘.문법 능력 평가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문법교육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8(2), 71-77.
이상률(2010). 외국인 유학생 유치 정책의 변천과정에 대한 소고. 한국어문화교육, 4(1), 195-218.
이상일(2023). 한국 정부의 외국인 유학생 유치 정책의 통시적 고찰. 문화와융합, 45(9), 501-513.
이상화(2019). 쓰기 평가 문항의 타당도 분석에 대한 연구- 한국어능력시험 기출 문항을 대상으로-.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이선영, 나윤주(2018). 외국인 유학생의 학업적응 실태조사: 교양교과목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교양교육연구, 12(6), 167-193.
이인혜(2020). 외국인 학부 유학생의 대학 생활 적응에 관한 혼합 연구. 한국어 교육, 31(4),?276-309.
이천운, 이일용(2014). 중국과 한국의 외국인 유학생 유치.관리 정책에 대한 비교 분석 중국-외국인 유학생 정책에 주는 시사점. 비교교육연구, 24(1), 31-52.
이현주, 이미정(2019).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국내 지원 정책 연구, 인문사회21, 10(4), 235-25
임천순(2015). 고등교육의 국제화 역량제고 및 지원조직 개선방안. 교육부. 교육부. 1-163.
장상필, 김지일(2015). 비교과 교육을 통한 융합적 사고력 증진 방안 연구: 대학생의 다문화 수용성, 인문학적 소양을 중심으로. 교육종합연구, 13(4), 135-156.
전은주(2008). 국가 수준 "국어/언어 능력 검사" 의 비판적 검토; 한국어 능력 시험 평가 문항의 내용타당도 분석-제 12 회 일반 한국어 (S-TOPIK) 의 쓰기, 듣기, 읽기 영역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연구, 31, 129-165.
정원희, 박창남, 정헌식(2017). 외국인 유학생 비교과 프로그램 만족도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7(1), 531-537.
조성해(2022). 유학생의 한국어 듣기 평가를 위한 한국어능력시험의 내용 타당도 분석 연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64, 149-177.
주월랑, 강병헌(2022).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적응과 한국어능력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인문사회?21, 13(1), 231-246.
책리하 박창언 천단(2018). 한국어 실력이 왕초보인 박사과정 유학생의 학업적응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6(3), 157-175.
최성호, 장경원(2018). 외국인유학생의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분석. 교육문화연구, 24(2), 615-639.
한국교육개발원(KEDI). (2023) 2023년 국내 고등교육기관 내 외국인 유학생 현황(excel 자료).
한나, 최선진(2022). 온라인 기반 내.외국인 교류 비교과 프로그램 사례 효과성 연구. 언어와 문화, 18(4), 267-287.
홍영숙(2019). 캐나다의 한국계 이민 가정 자녀의 언어 중개 (Language Brokering) 경험 탐구: 부모와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5(4), 703-725.
황두경, 소려나, 박창언(2016). 학사경고를 받은 공과계열 중국인 유학생의 학업적 적응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4(3), 53-73.
황석현, 김석우(2019). 학사경고 대학생들을 위한 학업증진프로그램이 학업성취도 및 학업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교사교육연구, 58(1), 131-147.
Kevin Carey. (2016). 대학의 미래. (공지민, 옮김). 서울: 지식의 날개.(원서출판 2015).
대학알리미 https://www.academyinfo.go.kr/index.do
TOPIK 한국어능력시험 www.topik.go.kr/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