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교상담자의 경험에 기반한 중·고등학생의 비자살적 자해행동: 정서홍수모델을 중심으로
The Non-suicidal Self-injury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School Counselor's Experience: Focusing on the Emotional Cascade Model 원문보기

한국심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문화 및 사회문제, v.30 no.2, 2024년, pp.193 - 220  

김성연 (성균관대학교) ,  박효은 (성균관대학교) ,  이보라 (성균관대학교) ,  이동훈 (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 외상심리건강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학교상담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중·고등학생의 비자살적 자해 현상을 Selby와 Joiner (2009)의 정서홍수모델(Emotional Cascade Model)에 비추어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비자살적 자해 중·고등학생을 상담한 경험이 있는 학교상담자 56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Braun과 Clarke (2012)가 제안한 주제분석 절차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학교상담자가 경험한 중·고등학생의 비자살적 자해경험은 정서홍수모델에 따라 '부정정서 경험',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정서홍수상태 경험', '정서홍수상태의 심화', '일시적인 심리적 고통 해소', '자해행동에서 비롯된 정서적 고통', '자해의 악순환', '자해와 공발하는 조절곤란행동'으로 분류되어 8개 범주와 16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중·고등학생의 여러 체계들을 통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위치에 있는 학교상담자의 관점을 통해 중·고등학생 자해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켰다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 향후 수행되어야 할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by applying Selby and Joiner (2009)'s Emotional Cascade Model to the phenomenon of non-suicidal self-injury of adolescents, focusing on the school counselor's counseling experience. To this end, a focus group interview(FGI) was conducted with 56 counselors who had experience...

주제어

표/그림 (4)

참고문헌 (59)

  1. 구훈정, 우성범, 이종선 (2015). 외상적 사건과?자해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조절의 매개효과와 적응적 인지조절의 조절효과: 성차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4(1), 173-199. 

  2. 권호인, 김선진 (2023). 일상생활에서의 비자살적 자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생태순간?평가 일기법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및 사회문제, 29(3), 321-340. 

  3. 김민향, 김동민 (2015). 학교상담자 역할에 대한 Wee 클래스 상담자의 인식 분석. 상담학연구, 16(6), 447-463. 

  4. 김성연, 조영희, 김지윤, 이동훈 (2020). 비자살적 자해 공개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상담학연구, 21(6), 87-119. 

  5. 김소연, 라영선, 현명호 (2020). 스트레스, 부정정서 그리고 자기자비가 비자살적 자해에?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5(5),?891-909. 

  6. 김수진, 김봉환 (2017). 존재의 여정에서 경험한 비자살적 자해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상담학연구, 18(4), 125-148. 

  7. 김영자, 라수현, 김나진, 김영희 (2021). 비자살적 자해 청소년 상담의 개입방안에 대한 수퍼바이저의 인식연구. Crisisonomy,?17(1), 117-140. 

  8. 김지윤, 김성연, 황희훈, 허소정, 이동훈 (2020).?심리적 디스트레스와 비자살적 자해 심각도의 관계에서 반추의 매개효과: 정서홍수모델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및 심리치료, 32(4), 2065-2089. 

  9. 김화정, 송현주 (2019). 청소년의 비자살적 자해와 수치심경향성, 죄책감경청소년의 비자살적 자해와 수치심경향성, 죄책감경향성의 관계향성의 관계. 한국심리치료학회지, 11(1), 1-20. 

  10. 박경은, 이동훈 (2023). 청소년 자해, 자살 사고, 자살 시도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5(2),?727-755. 

  11. 박세란 (2016). 기질적 특성이 자살사고 및 자해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을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3(2), 125-150. 

  12. 백연우, 유지영, 전화연 (2022). 청소년의 비자살적 자해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연구. 청소년학연구, 29(12), 23-57. 

  13. 서미, 김지혜, 이태영, 김은하 (2019). 비자살적?자해와 극복과정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상담경험이 있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상담학연구, 20(4), 179-207. 

  14. 서울특별시교육청 (2018). 2019년도 위(Wee) 센터 운영 계획. 서울특별시교육청. 

  15. 성경주, 조영매 (2021). 청소년기 자해 행동을?경험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탐구. 한국범죄심리연구, 17(2), 63-84. 

  16. 성나경, 강이영 (2016). 청소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자해행동: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8(3), 855-873. 

  17. 신수정, 한재희 (2021). 비자살적 자해청소년의?자해중단 경험연구. 상담학연구, 22(5),?185-221. 

  18. 이수정, 김종남 (2020). 청소년의 정서적 학대 경험이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 초기부적응도식과 정서조절곤란의 이중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2(4), 1715-1741. 

  19. 이유리, 권호인 (2023). 텍스트 마이닝기법을?활용한 '자해' 및 '자살' 관련 트위터 게시물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9(1), 147-170. 

  20. 이인숙, 박재연 (2021). 청소년기 자해 경험에?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청소년학연구, 28(7), 185-206. 

  21. 이진규, 조성희 (2020). 중학생의 비자살적 자해 경험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28(2), 233-255. 

  22. 정수연, 이지연 (2023). 청소년 비자살적 자해?관련 질적연구 동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17), 77-91. 

  23. 질병관리청 (2023). 2022 손상 유형 및 원인?통계. 국가손상정보포털. https://www.kdca.go.kr/injury/biz/injury/recsroom/statsSmMain.do 

  24.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22). Diagnostic?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ed., text rev.). American Psychiatric Press. 

  25. Anderson, G. (1990). Fundamentals of educational?research. London: The Falmer Press. 

  26. Bennett, D., Barrett, A., & Helmich, E. (2019).?How to... analyse qualitative data in different?ways. The Clinical Teacher, 16(1), 7-12. 

  27. Braun, V., & Clarke, V. (2006). Using thematic?analysis in psychology. Qualitative Research in?Psychology , 3(2), 77-101. 

  28. Braun, V., & Clarke, V. (2012). Thematic analysis.?In Cooper, H. M., Camic P. M, .Long, D.?L., Panter, A. T., Rindskopf, D., & Sher, K.?J. (Eds.), APA handbook of research methods in?psychology, Vol. 2. Research designs: Quantitative,?qualitative, neuropsychological, and biological (pp.?57-71).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CA: Sage. 

  29. Brausch, A. M., & Gutierrez, P. M. (2010).?Differences in non-suicidal self-injury and?suicide attempts in adolescents. Journal of?Youth and Adolescence, 39(3), 233-242. 

  30. Burke, T. A., McArthur, B. A., Daryanani, I.,?Abramson, L. Y., & Alloy, L. B. (2018).?Latent classes of trait affect and cognitive?affective regulation strategies are associated?with depression, non-suicidal self-injury, and?well-being.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25, 180-187. 

  31. Chen, X., Zhou, Y., Li, L., Hou, Y., Liu, D., &?Yang, X., & Zhang, X. (2021). Influential?factors of non-suicidal self-injury in an eastern cultural context: a qualitative study?from the perspective of school mental health?professionals. Frontiers in psychiatry, 12, 681985. 

  32. Garnefski, N., Kraaij, V., & Spinhoven, P. (2001).?Negative life events, cognitive emotion?regulation and emotional problems. Personality?and Individual Differences, 30(8), 1311-1327. 

  33. Gross, J. J. (1998). The emerging field of emotion?regulation: An integrative review. Review of?General Psychology, 2(3), 271-299. 

  34. Hatzopoulos, K., Boyes, M., & Hasking, P. (2022).?Relationships between dimensions of emotional?experience, rumination, and nonsuicidal self-injury: An application of the Emotional?Cascade Model.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78(4), 692-709. 

  35. Heath, N. L., Joly, M., & Carsley, D. (2016).?Coping self-efficacy and mindfulness in?non-suicidal self-injury. Mindfulness, 7(5),?1132-1141. 

  36. Joiner, T. E. (2005). Why people die by suicide. Harvard University Press. 

  37. Joormann, J., & Siemer, M. (2011). Affective?processing and emotion regulation in dysphoria?and depression: Cognitive biases and deficits?in cognitive control. Social and Personality?Psychology Compass, 5(1), 13-28. 

  38. Kelada, L., Hasking, P., & Melvin, G. (2018).?Adolescent NSSI and recovery: The role of?family functioning and emotion regulation.?Youth & Society, 50(8), 1056-1077. 

  39. Krueger, R. A., & Casey, M. A. (2014). Focus?groups: A practical guide for applied research (5th?ed.). Sage publications. 

  40.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kistic?inquiry. Beverly Hill, CA: Sage Publications. 

  41. Mooney-Somers, J., Perz, J., & Ussher, J. M.?(2008). A complex negotiation: Women's?experiences of naming and not naming?premenstrual distress in couple relationships.?Women & health, 47(3), 57-77. 

  42. Morgan, D. I. (1997). The focus group guidebook:?Focus group kit 1. Thousand Oaks, 

  43. Nock, M. K., & Favazza, A. R. (2009).?Nonsuicidal self-injury: Definition and?classification. In M. K. Nock (Ed.),?Understanding nonsuicidal self-injury: Origins,?assessment, and treatment (pp. 9-18). American?Psychological Association. 

  44. Reeves, S., Albert, M., Kuper, A., & Hodges, B.?D. (2008). Why use theories in qualitative?research?. Bmj, 337, 631-634. 

  45. Selby, E. A., Anestis, M. D., & Joiner, T. E.?(2008).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emotional and behavioral dysregulation:?Emotional cascades. Behaviour Research and?Therapy, 46(5), 593-611. 

  46. Selby, E. A., Franklin, J., Carson-Wong, A., &?Rizvi, S. L. (2013). Emotional cascades and?self-injury: Investigating instability of?rumination and negative emotion. Journal of?Clinical Psychology, 69(12), 1213-1227. 

  47. Selby, E. A., & Joiner Jr, T. E. (2009). Cascades?of emotion: The emergence of borderline?personality disorder from emotional and?behavioral dysregulation. Review of General?Psychology, 13(3), 219-229. 

  48. Selby, E. A., Kranzler, A., Panza, E., & Fehling,?K. B. (2016). Bidirectional-compounding?effects of rumination and negative emotion in?predicting impulsive behavior: Implications for?emotional cascades. Journal of Personality, 84(2),?139-153. 

  49. Sheehy, K., Noureen, A., Khaliq, A., Dhingra,?K., Husain, N., Pontin, E. E., Cawley, R.,?& Taylor, P. J. (2019). An examination of?the relationship between shame, guilt and?self-harm: A systematic review and?meta-analysis. Clinical psychology review, 73, 101779. 

  50. Shingleton, R. M., Eddy, K. T., Keshaviah, A.,?Franko, D. L., Swanson, S. A., Yu, J. S.,?Krishna, M., Nock, M. K., & Herzog, D. B.?(2013). Binge/purge thoughts in nonsuicidal?self-injurious adolescents: An ecological?momentary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Eating Disorders, 46(7), 684-689. 

  51. Slabbert, A., Hasking, P., & Boyes, M. (2018).?Riding the emotional roller coaster: The role?of distress tolerance in non-suicidal self-injury.?Psychiatry Research, 269, 309-315. 

  52. Tongco, M. D. C. (2007). Purposive sampling as a tool for informant selection. Ethnobotany?Research & Applications, 5, 147-158. 

  53. Tonta, K. E., Boyes, M., Howell, J., McEvoy, P.,?Johnson, A., & Hasking, P. (2022). Modeling?pathways to non-suicidal self-injury:?The roles of perfectionism, negative affect,?rumination, and attention control. Journal of?Clinical Psychology, 78(7), 1463-1477. 

  54. Victor, S. E., & Klonsky, E. D. (2014). Daily?emotion in non-suicidal self-injury. Journal?of Clinical Psychology, 70(4), 364-375. 

  55. Wakelin, K. E., Perman, G., & Simonds, L. M.?(2022). Effectiveness of self-compassion-related interventions for reducing self-criticism: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Clinical Psychology & Psychotherapy,?29(1), 1-25. 

  56. Weiner, R. E. (2016). Clinical perspective on non-suicidal self injury in adolescents: a qualitative?study. [Masters thesis, smith college]. 

  57. Whitlock, J., & Selekman, M. D. (2014).?Nonsuicidal self-injury across the life span. In?M. K. Nock (Ed.), The Oxford handbook of?suicide and self-injury (pp. 133-151). Oxford?University Press. 

  58. Wilkinson, P., & Goodyer, I. (2011). Non-suicidal?self-injury. European Child & Adolescent?Psychiatry, 20, 103-108. 

  59. Wimmer, R. D. & Dominick, J. R. (2006). Mass?Media Research: An Introduction (8th ed.).?Belmont, CA: Thomson Wadsworth Publishing.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