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체육의 아미노산 조성 및 아연 생체 이용률의 영양학적 분석
Nutritional analysis of amino acid composition and zinc bioavailability in plant-based meats

분석과학 =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v.37 no.3, 2024년, pp.155 - 165  

강서현 (서울대학교 화학교육과) ,  이솔민 (서울대학교 화학교육과) ,  장민서 (서울대학교 화학교육과) ,  김수린 (서울대학교 화학교육과) ,  임영균 (서울대학교 화학교육과) ,  김유진 (서울대학교 화학교육과) ,  장원형 (서울대학교 화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비건 인구의 증가 및 비건 문화의 확대에 발맞추어 대체육 제품에 대한 시장의 요구가 커짐에 따라, 대체육의 영양학적인 부적합의 가능성이 제시된 아미노산 조성과 아연 생체 이용률의 측면에서 대체육 제품이 동물성 육류 제품을 영양학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지 평가하고자 수행되었다. 텐더 형태의 동물성 계육 제품 1종과 대체육 제품 2종을 선정하여 HPLC를 통한 아미노산 함량 및 조성측정, ICP-AES를 이용한 아연, 칼슘 등의 미량 원소 함량 측정, 아연 생체 이용률 저해 화학종인 피트산의 침전 추출 및 UV-Vis 분석을 통한 정량을 수행하고, 측정 결과를 실제 제품 섭취의 맥락에 맞추어 적용,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체육 제품에서 valine, lysine 등 일부 필수 아미노산 함량이 동물성 육류 제품에 비해 부족하고, 제품을 통해 권장 섭취량을 달성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아연 생체 이용률의 경우, 칼슘에 의한 아연 생체 이용률 저해는 유의미하지 않을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같은 대체육이라 하더라도 제품 원재료의 아연 함량, 피트산 함량에 따라 낮은 단계에서부터 높은 단계까지 다양한 아연 이용률을 보였다. 따라서 아연 함량이 높고 피트산 함량이 낮은 식물성 원재료를 선정, 적절히 가공함으로 적절한 아연 생체 이용률을 달성하는 대체육 제품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assess whether plant-based meat substitutes can effectively replace animal meat products in terms of amino acid composition and zinc bioavailability. The evaluation was conducted in response to the growing demand for meat substitutes, driven by the increasing vegan population and...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대체육 제품이 동물성 육류 제품을 영양학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지 평가하기 위해 동물성 계육을 사용한 제품 1종과 대체육 제품 2종을 아미노산 함량 및 조성 측면과 아연 생체 이용률 측면에서 분석하고 영양학적 조성을 확인하였다. 아미노산 함량 분석 결과 glutamic acid와 proline을 제외한 모든 종류의 아미노산에서 동물성 육류 제품이 대체육 제품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M. Foster and S. Samman, Adv. Food. Nutr. Res., 74,?93-131 (2015). https://doi.org/10.1016/bs.afnr.2014.11.003 

  2. Precedence Research. Vegan Food Market (By Product: Dairy Alternative, Meat Substitute, Others; By?Distribution Channel: Offline Channels, Online Channels) - Global Industry Analysis, Size, Share, Growth,?Trends, Regional Outlook, and Forecast 2022-2030.?[cited 2023 Nov 11]. Available from: https://www.precedenceresearch.com/vegan-food-market. 

  3. S. Akbulut and B. Yesilkaya, Sag. Aka. Derg., 8(2),?163-168 (2021). 

  4. S. Y. Byun and D. I. Yoo, Kor. J. Agr. Econ., 63(4), 1-26 (2022). https://doi.org/10.24997/KJAE.2022.63.4.1 

  5. The Hankyoreh, Alternative Meat Market Expands To?Chicken Beyond Beef [cited 2021 July 20]. Available from:?https://www.hani.co.kr/arti/science/future/1004220.html 

  6. H. J. Park, H. I. Oh, J. Y. Yang, J. E. Oh, N. E. Kang, and?M. S. Cho, J. Korean Soc. Food Sci. Nutr., 49(3), 270-278 (2020). https://doi.org/10.3746/jkfn.2020.49.3.270 

  7. J. Y. Lim and S. Y. Jin, J. Korean Soc. Food Sci. Nutr.,?50(8), 849-857 (2021). https://doi.org/10.3746/jkfn.2021.50.8.849 

  8. F. Mariotti and C. D. Gardner, Nutrients, 11(11), 2661-2679 (2019). https://doi.org/10.3390/nu11112661 

  9. J. A. Shmidt, S. Rinaldi, A. Scalbert, P. Ferrari, D.?Achaintre, M. J. Gunter, P. N. Appleby, T. J. Key, and?R. C. Travis, Eur. J. Clin. Nutr., 70(3), 306-312 (2016).?https://doi.org/10.1038/ejcn.2015.144 

  10. Y. Taya, Y. Ota, A. C. Wilkinson, A. Kanazawa, H. Watarai, M. Kasai, H. Nakauchi, and S. Yamazaki, Science,?354(6316), 1152-1155 (2016). https://doi.org/10.1126/science.aag3145 

  11. N. Mollakhalili-Meybodi, L. Mirmoghtadaie, Z. Sheidaei, and A. M. Mortazavian, Curr. Nutr. Food Sci.,?15(7), 450-457 (2021). https://doi.org/10.2174/1573401316999201001145814 

  12. C. Tapia-Rojas, C. B. Linsay, C. Montecinos-Oliva, M.?S. Arrazola, R. M. Retamales, D. Bunout, S. Hirsch,?and N. C. Inestrosa, Mol. Neurodegener., 10, 1-17 (2015).?https://doi.org/10.1186/s13024-015-0057-0 

  1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Korean Nutrition?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20.?2020 [cited 2023 June 5]. Available from: https://www.kns.or.kr/FileRoom/FileRoom_view.asp?idx108&BoardIDKdr-373:131480. 

  14. J. S. Park and J. H. Chyun, Kor. J. Nutr., 26, 1110-1117?(1993). 

  15. M. Maares and H. Haase, Nutrients, 12(3), 762-803?(2020). https://doi.org/10.3390/nu12030762 

  16.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Trace elements in?human nutrition and health. Geneva: WHO, 1996. 

  17. I. S. Jeong, J. J. Kim, J. M. Lee, D. H. Lee, S. G. Kim,?S. Y. Lee, and K. H. Park, J. Korean Soc. Food Sci.?Nutr., 52(3), 276-290 (2023). https://doi.org/10.3746/jkfn.2023.52.3.276 

  18. Z. Dai, Z. Wu, S. Jia, and G. Wu, J. Chromatogr. B,?964, 116-127 (2014). https://doi.org/10.1016/j.jchromb.2014.03.025 

  19. L. K. Massey, R. G. Palmer, H. T. Horner, J. Agric.?Food Chem., 49(9), 4262-4266 (2001). https://doi.org/10.1021/jf010484y 

  20. R. Siener, R. Honow, A. Seidler, S. Voss, and A. Hesse,?Food Chem., 98(2), 220-224 (2006). https://doi.org/10.1016/j.foodchem.2005.05.059 

  21. S. Chethan and N. G. Malleshi, Food Chem., 105(2),?862-870 (2007). https://doi.org/10.1016/j.foodchem.2007.02.012 

  22. R. Siener, A. Seidler, and R. Honow, Food Sci. Technol., 41, 169-173 (2020). https://doi.org/10.1590/fst.10620 

  23. E. Piskin, D. Cianciosi, S. Gulec, M. Tomas, and E.?Capanoglu, ACS Omega, 7(24), 20441-20456 (2022). https://doi.org/10.1021/acsomega.2c01833 

  24. C. M. Libran, L. Mayor, E. M. Garcia-Castello, and D.?J. Vidal Brotons, Agric. Sci., 4(9), 56-62 (2013). https://doi.org/10.4236/as.2013.49B010 

  25. T. Wiyono, R. Nurhayati, E. R. N. H erawati, and U.?Laila, IOP Conf. Ser.: Earth Environ. Sci., 462(1),?012029 (2020). https://doi.org/10.1088/1755-1315/462/1/012029 

  26. E. L. Wheeler and R. E. Ferrel, Cereal Chem., 48(3),?312-320 (1971). 

  27. A. Barth, Biochim. Biophys. Acta, 1767(9), 1073-1011?(2007). https://doi.org/10.1016/j.bbabio.2007.06.004 

  28. K. Candogan, E. G. Altuntas, and N. Igci, Food Eng.?Rev. 13, 66-91 (2021). https://doi.org/10.1007/s12393-020-09251-y 

  29. H. F. Erbersdobler, C. A. Barth, and G. Jahreis, Ernaehrungs Umsch. Int., 64, 134-139 (2017). https://doi.org/10.4455/eu.2017.034 

  30. E. Carnovale, E. Lugaro, and G. Lombardi-Boccia,?Cereal Chem., 65(2), 114-117 (1988). 

  31. D. B. Thompson and J. W. Erdman Jr., Food Sci., 47(2),?513-517 (1982). https://doi.org/10.1111/j.1365-2621.1982.tb10114.x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