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응급구조사 업무범위 확대에 관한 고찰
Examination on Expanding the Scope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원문보기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dustry Convergence, v.27 no.4/1, 2024년, pp.815 - 824  

박경진 (인제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김현미 (김해대학교 응급구조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cope of work of femergency medical technician who can directly affect the resuscitation of emergency patients at the pre-hospital stage. As a result of the main study, the overall level of the subjects' work scope expansion averaged 3.34points(out of 5po...

Keyword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병원 전 단계에서 응급환자의 소생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응급구조사의 업무 범위에 관해 살펴보고, 응급구조사의 업무범위 확대에 대한 근거기반의 타당성을 확보하여 응급구조사 업무범위 개정을 위한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응급구조사의 업무 범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고찰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Hwang SH, Uhm DC, "Factors influencing the?image about emergency medical technology?jobs in paramedic students", The Korean?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vol.?18, no. 3, pp. 63~75, (2014).? 

  2. Kim YH, "The reform of the emergency?medical system based on disaster occurrence?in Korea", Korean Journal of National Crisis?and Emergency Management, vol. 5, no. 2, pp.?105~125, (2011).? 

  3. Yoou SK, Kwon HR, Park HJ, Shin SD, Choi?ES, Uhm TH., "Job analysis of paramedic on?the developing a curriculum method", Korean?J Emerg Med Ser, vol. 17, no. 3, pp. 115~137,?(2013).? 

  4. 법제처,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법률 제20170호, 1. 30. (2024).? 

  5. 법제처,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보건복지부령 제98호, 2. 16. (2024).? 

  6. 엄태환, "일부 구급대의 응급처치활동 분석",?한국응급구조학회지, vol. 9, no. 1, pp. 101~109,?(2005).? 

  7. Upgrading Prehospital Emergency Medical Services?Systems. Korean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Agency (NEMA) U119 team, unpublished data.?(2008).? 

  8. Lee OH, "Work and Job Satisfaction in the?Emergency Room of University Hospital", The?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Medical Technology, vol. 15, no. 1, pp. 47~63,?(2011).? 

  9. Song-Yi Han, Hyun-Kyung Ji, "Legislation?feasibility studies for expanding the business?scope of paramedics: Focused on high level task?in importance, need and allowance", Korean J?Emerg Med Ser vol. 19, no. 3, pp. 117~138,?(2015).? 

  10. N. G. Kim, "Awareness and Performance for?Medical Control Among 119 Emergency Medical?Technicians".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Ah?University, Busan, Korea (2013).? 

  11. J. H. Park, "Recognition and Request for?Medical Direc?tion by 119 Emergency Medical?Technicians", Korean J. Emerg. Med. Ser, vol.?15, no. 3, pp. 31~44, (2001). 

  12. S. G. Jeong, K. S. Kim, S. H. Cho, M. G.?Kang and M. A. Han, "The Contents of?Emergency Treatment Practice Conducted by?Emergency Medical Technician and Related?Factors",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Community Health, vol. 34, no. 3, pp. 346~358,?(2009).? 

  13. M.H.Joo, M.A.Han, "Utilization of Medical?Oversight and Related Factors among Some?119 Rescue Workers", Fire Sci. Eng, vol. 30,?no. 3, pp. 124~132,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