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폐렴 및 정상군 판별을 위한 딥러닝 모델 성능 비교연구: CNN, VUNO, LUNIT 모델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Deep Learning Models for Pneumonia Detection: CNN, VUNO, LUIT Models 원문보기

Journal of radiation industry = 방사선산업학회지, v.18 no.3, 2024년, pp.177 - 182  

이지현 (부산가톨릭대학교 방사선학과) ,  예수영 (부산가톨릭대학교 방사선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NN based deep learning model that can effectively detect pneumonia by analyzing chest X-ray images of adults over the age of 20 and compare it with VUNO, LUNIT a commercialized AI model. The data of chest X-ray image was evaluate based on accuracy, precisio...

Keyword

표/그림 (10)

참고문헌 (10)

  1. Tawsifur Rahman, Muhammad E.H. Chowdhury and Amith Khandaker. 2020. Transfer Learning with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for Pneumonia Detection Using Chest X-ray. MDPI, Vol. 10, No. 3233, https://doi.org/10.3390/app10093233? 

  2. Dalya S. AI-Dulaimi, Aseel Ghazi Mahmoud and Nadia Moqbel-Hassan. 2022. Development of Pneumonia Disease Detection Model Based on Deep Learning Algorithm. Wireless Communications and Mobile Computing, Vol. 2022, https://doi.org/10.1155/2022/2951168? 

  3. Jaiswal A, Tuwari P and Kumar S. 2019. Identifying penumonia in chest X-rays: A deep learning approach. Elsevier, Vol. 145, pp 511-518. https://doi.org/10.1016/j.measurement.2019.05.076? 

  4. Song HJ, Lee EB and Jo HJ. 2020. Evaluation of Classification and Accuracy in Chest X-ray images using Deep Learning with Convolution Neural Network. Korean Soc. Radiol. Vol 14, No 1, https://doi.org/10.7742/jksr.2019.14.1.39? 

  5. Kim JH, Kim JY and Kim GH. 2020. Clinical Validation of a Deep Learning Algorighm for Detection of Pneumonia on Chest Radiographs in Emergency Department Patients with Acute Febrile Respiratory Illness. Vol. 9, No. 1981, https://doi.org/10.3390/jcm9061981? 

  6. Ni Q, Sun ZY and Qi L. 2020. A deep learning approach to characterize 2019 coronavirus disease (COVID-19) pneumonia in chest CT images. European Soc. Radiol. 30:6517-6527. https://doi.org/10.1007/s00330-020-07044-9? 

  7. Kim JY and Ye SY. 2020. Diagnostic Classification of Chest X-ray Pneumonia using Inception V3 Modeling. Korean Soc. Radiol. 14(6):773-780. https://doi.org/10.7742/jksr.2020.14.6.773? 

  8. Kim JY and Ye SY. 2022. Comparative Evaluation of Chest Image Pneumonia based on Learning Rate Application. Korean Soc. Radiol. 16(5):595-602. https://doi.org/10.7742/jksr.2022.16.5.595? 

  9. Kang MJ. 2020. Comparison of Gradient Descent for Deep Learning. Korean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 21(2):189-194. https://doi.org/10.5762/KAIS.2020.21.2.189? 

  10. Kim JY and Ye SY. 2021. Comparative Analysis by Batch Size when Diagnosing Penumonia on Chest X-Ray Image using Xception Modeling. Korean Soc. Radiol. 16(5):545-554. https://doi.org/10.7742/jksr.2021.15.4.547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