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초등 예비교사의 탄소중립교육에 대한 인식 및 초등 교사와의 인식 비교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Carbon Neutral Education and Its Comparison with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43 no.4, 2024년, pp.536 - 543  

배진호 (부산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들의 탄소중립교육에 대한 인식을 정량적으로 연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B교육대학교 4학년 인문 계열 심화 과정 재학생 45명, 자연 계열 심화과정 재학생 49명, 그리고 예체능 계열 심화과정 재학생 47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예비교사들은 기후변화가 매우 심각하거나 심각하다고 인식하며 기후변화가 탄소중립과 관계가 매우 깊거나 관계가 있다고 인식하는 결과를 보였다. 그리고 탄소중립교육을 담당해야 하는 교과로 사회와 과학 교과를 많이 선택하였다. 둘째, 교육대학교 심화과정별 인문계열, 자연계열, 예체능계열의 초등 예비교사들은 탄소중립과 탄소중립교육에 대해 인식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 예비교사들과 초등교사들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 탄소중립교육에 대한 인식, 탄소중립 교과 교육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초등 예비교사는 학교에서 탄소중립교육 실행율이 중간 정도라고 인식하는 데 비해 초등교사들은 초등학교에서 탄소중립교육이 잘 실행되고 있지 못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ntitatively examine the awareness of the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about carbon neutral educ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45 students in the advanced humanities course, 49 students in the advanced science course, and 47 students in the advanced arts ...

Keyword

표/그림 (6)

참고문헌 (24)

  1. 강은주(2023). 초등교사들의 탄소중립교육에 대한 인식과 과학 교과에서의 탄소중립교육 실행 경험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3(5): 469-481. 

  2. 강은주, 박종호(2022). 과학교육에서 탄소중립교육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발표집, 82: 89-89. 

  3. 강재은, 김민정(2022). 영유아 탄소중립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조사. 한국교육문제연구학회지, 40(4):?135-155. 

  4. 강혜정, 이석희(2022). 초등 예비교사의 기후변화에 대한?인식.지식.태도와 환경 소양. 초등교육연구, 37(2):?45-59. 

  5. 김종문, 윤성규(2015). 한국해양교육의 정체성과 방향성?탐색. 과학교육연구, 39(1): 80-87. 

  6. 네이버 지식 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31985&cid43667&categoryId43667 

  7. 대한민국정부(2020). 대한민국 2050 탄소중립 전략. 

  8. 배진호92019). 초등예비 교사의 과학적 소양과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과 태도.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지,?9(2): 95-103. 

  9. 배효관(2022).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생물학적 하수처리?선도기술. 대한토목학회지, 70(8): 18-21. 

  10. 윤관기(2024). 탄소중립 관점에서 음악교과 플라스틱악기 사용에 대한 초등예비교사의 인식 연구. 음악교육공학회지, 58: 41-56. 

  11. 이루리, 배진호(2020). 미래문제해결프로그램(FPSP)을?기반으로 한 기후변화 교육이 초등학생의 기후변화에?대한 인식.지식.태도와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지, 10(3): 197-206. 

  12. 조병찬, 김효남, 박국태, 류재인, 정진수(2005). 환경교육에 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조사. 환경교육, 18(2):?5-30. 

  13. 최지연(2015).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에너지와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12): 837-856. 

  14. 탄소중립정책포털 https://www.gihoo.or.kr/menu.es?mida30101020000 

  15. 허윤정, 한신, 김형범(2023). 탄소중립에 관한 중등 과학예비교사들의 개념 이해 연구: 시선추적시스템을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6(2): 261-275. 

  16. 환경부(2022).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기본법 법령집. 

  17. A survey of pre-service teachers. Issues in Educational?Research, 29(2), 562-582. 

  18. Baumber, A., Luetz, J. M., & Metternicht, G. (2019).?Carbon neutral education: Reducing carbon footprint?and expanding carbon brainprint. Quality Education:?1-13. 

  19. Chen, J. (2021). Carbon neutrality: toward a sustainable?future. Innovation 2, 100127. 

  20. IPCC(2018). Special Report Global Warmming of 1.5℃.?(https://www.ipcc.ch/sr15/) 

  21. Maximillian, J., Brusseau, M., Glenn, E., & Matthias, A.?(2019). Pollution and environmental perturbations in?the global system. In Environmental and pollution?science, Academic Press, 457-476. 

  22. Plevyak, L. H., Bendixen-Noe, M., Henderson, J., Roth, R.?E., & Wilke, R. (2001). Level of teacher preparation?and implementation of EE: Mandated and non-mandated?EE teacher preparation states. The Journal of?Environmental Education, 32(2): 28-36. 

  23. Sunthonkanokpong, W. & Murphy, E. (2019).?Sustainability awareness, attitudes and actions: 

  24. United Nations (2021)Meeting Coverage and Press?Release, "Secretary-General Calls Latest IPCC Climate?Report 'Code Red for Humanity', Stressing?'Irrefutable'Evidence of Human Influence".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