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AI융합 과학교육 연구 동향 분석
Analysis of the AI Convergence Science Education Research Trends Using Text Mining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43 no.4, 2024년, pp.544 - 553  

이주영 (서울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인공지능과 과학교육에 초점을 두고 연구된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중요한 이슈와 주제, 연구의 흐름과 경향성을 도출하는 것이다. AI융합 과학교육 연구 동향 분석은 인공지능과 연계한 과학교육 관련 인식, 연구 동향, 교육프로그램을 설계, 개발, 적용한 문헌 83편을 대상으로 하였고,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를 활용하여 분석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데이터는 엑셀과 텍스톰을 활용하여 정제작업을 수행하고 빈도 분석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주요 키워드를 파악하여 분석하고 시각화하였다. CONCOR 분석을 활용하여 키워드의 연결 중심성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로 AI융합 과학교육 연구는 양적 질적 측면에서 확대되고 있고, 주요 키워드로 'AI', 'AI융합교육', 'AI융합과학교육', 'AI교육', '과학교육', '과학', '머신러닝', '초등', '생성형 AI', '교육프로그램'을 확인하였다. 연결 중심성 분석과 CONCOR 분석을 통해 AI융합 과학교육의 '용어', '내용과 방법', '초등', '데이터'를 중심으로 군집이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 교과에 인공지능을 연계하고 융합하는 연구의 주요 주제 및 흐름을 도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시사점 및 후속 연구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s of research focusing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science education and derive important problems, topics, and research trends,. The analysis of the AI convergence science education research trends targeted 83 articles on the awareness of art...

Keyword

표/그림 (11)

참고문헌 (19)

  1. 교육부(2020). 인공지능시대 교육정책방향과 핵심과제.?관계부처합동. 

  2. 교육부(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3. 교육부(2023). 인공지능을 활용한 디지털 교육으로 '모두를 위한 맞춤 교육시대'연다. 보도자료, 2023.02.23. 

  4. 김선연, 조규락(2020). 텍스트 마이닝과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한 집단창의성 연구동향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6(4), 743-769. 

  5. 김용학(2011). 사회네트워크분석. 박영사. 

  6. 노동규(2023). 과학 데이터 기반 인공지능(AI).고등학교 과학 융합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박민규, 한규정, 신수범(2021). 국내 인공지능 교육에 대한 연구 현황 분석. 정보교육학회지, 25(5), 683-690. 

  8. 박상완(2014). 현직교사교육 연구동향 분석: 특징과 과제. 한국교원교육연구, 31(2), 227-254. 

  9. 박윤, 양진희(2018).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장애 유아 통합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23(6), 351-372. 

  10. 신원섭, 신동훈(2020). 초등과학교육에서 인공지능의 적용방안 연구. 초등과학교육, 39(1), 117-132. 

  11. 신동조(2020). 초?중등교육에서 인공지능: 체계적 문헌고찰. 수학교육학연구, 30(3), 531-552. 

  12. 이수상(2018). 네트워크 분석 방법의 활용과 한계. 청람. 

  13. 이은상(2023).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아두이노와 인공지능에 대한 사회적 인식.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28(1), 189-199. 

  14. 이주영(2022). 과학과 인공지능 융합교육을 위한 내용?체계 및 교수 학습 모형 개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박사학위논문. 

  15. 전용주(2020). AI 융합교육대학원 교육과정 현황 분석.?한국인공지능교육학회 학술대회, 173-175. 

  16. 최숙영(2023). AI 융합교육의 이해와 해결 과제에 대한?고찰. 산업융합연구, 21(1), 147-157. 

  17. 최진혁, 박재국, 김민영(2021).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통한 자폐성장애 진단 관련 연구 동향 분석. 행동분석?지원연구, 8(1), 115-135. 

  18. 홍승희, 현용찬, 박정환(2022).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글쓰기 프로그램 연구 동향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3(11), 792-800. 

  19. UNESCO (2019). Artificial Intelligence in education:?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or sustainable?development. Unesco Working Papers on Education?Policy.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