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로부터 심리적 분리의 선행변인과 심리적 분리가 과업수행에 미치는 영향
Antecedents of Psychological Detachment from Work and It's Effect on Task Performance 원문보기

韓國心理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産業 및 組織, v.28 no.2, 2015년, pp.127 - 149  

유선명 (광운대학교) ,  유태용 (광운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일로부터의 심리적 분리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특성 변인을 살펴보고, 둘째, 일로부터의 심리적 분리와 과업수행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셋째, 성과중심 조직문화가 일로부터의 심리적 분리와 과업수행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지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 기업의 다양한 직종에서 근무하는 종업원 25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공통방법편향에 의한 결과의 왜곡을 방지하기 위하여 과업수행은 함께 근무하는 상사나 동료의 평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자기효능감은 심리적 분리와 정적인 관련이 있었으며, 반추행동은 심리적 분리와 부적인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로부터의 심리적 분리는 과업수행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었지만, 조사대상자들이 지각하는 성과중심 조직문화는 일로부터의 심리적 분리와 과업수행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조직문화가 성과중심적이라고 강하게 인식하는 사람들의 경우에는 일로부터의 심리적 분리와 과업수행 간에 부적 관계가 나타났지만, 조직 문화가 상대적으로 덜 성과중심적이라고 인식하는 사람들의 경우에는 이와 반대로 심리적 분리와 과업수행 간에 정적 관계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및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detachment from workin nonworking time and it’s antecedents such as general self-efficacy and rumination behavior, and the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detachment from work in nonworking time and task perform...

주제어

참고문헌 (56)

  1. 강혜련, 최서연 (2001). 기혼여성 직장-가정 갈등의 예측변수와 결과변수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6(1), 23-42. 

  2. 김도영, 유태용 (2002). 성격의 5요인과 조직에서의 맥락수행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5(2), 1-24. 

  3. 김병숙, 안윤정, 이보비 (2009). 직무스트레스 요인 및 반응에 대한 성차분석. 페미니즘 연구, 9(2), 157-196. 

  4. 김영조, 박상언 (1998). 조직문화유형, 조직문화강도와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인사·조직연구, 6(2), 195-238. 

  5. 김주엽 (2008). 직무특성과 일-가정 균형. 인적자원개발연구, 11(1), 109-132. 

  6. 박량희, 유태용 (2007). 개인의 성격, 직무 요구, 직무 통제가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0(1), 1-20. 

  7. 박진아, 오세진 (2011). 직무과부하와 비합리적인 조직문화가 정서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분리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4(4), 809-833. 

  8. 박형인, 박영아, 김제인, 허태균 (2011). 한국판 직무스트레스 회복경험 척도(Recovery Experience Questionnaire)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4(3), 523- 552. 

  9. 손영미, 박정열, 김가영 (2006). 일과 삶의 균형 정책의 도입에 관한 연구: 공공 부문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2006년도 통합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987-1000. 

  10. 안여명, 유태용 (2010). 개인 및 팀 수준에서 성격과 적응수행 간의 관계: 일반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변혁적 리더십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3(1), 155-179. 

  11. 안율종 (1997). 조직문화에 관한 이론적 연구. 경영연구, 12(4), 27-56. 

  12. 안현의, 주혜선, 민지원, 심기선 (2013). 한국판 사건관련 반추 척도(K-ERRI)의 타당화. 인지행동치료, 13(1), 149-172. 

  13. 오인수 (2002). 일반적 자기효능감: 개념, 측정관련 이슈와 인적자원관리 측면의 시사점.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5(3), 49- 72. 

  14. 이종수 (2006). 행정조직문화 측정지표 연구과제의 이론적 접근. 지방행정, 11, 111-122 

  15. 이환범, 이수창 (2006). 경찰조직문화 유형별 특성과 조직몰입 간의 영향관계 분석. 한국정책과학 학회보, 10(4), 137-157. 

  16. 장세진, 고상백, 강동묵, 김성아, 강명근, 이철갑, 손동국 (2005).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의 개발 및 표준화. 대한산업의학회지, 17(4), 297-317. 

  17. 정준교, 박상언, 김영조 (1995). 조직문화와 조직에 성과와의 관계에 관한 경험적 연구. 생산관계연구, 6, 295-327. 

  18. 한광현 (2003). 직무의 내재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결과에 있어서 효능감의 조절효과. 한국 인사관리학회지, 27(1), 33-58. 

  19. Aiken, L. S., & West, S. G. (1991). Multiple regression: Testing and interpreting interactions. Newbury Park, CA: Sage. 

  20. 10.5465/amr.2000.3363315 Ashforth. B. E., Kreiner, G. E., & Fugate, M. (2000). All in a day's work boundaries and micro role transition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5, 472-491. 

  21. 10.1037/0033-295X.84.2.191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22. Borman, W. C., & Motowidlo, S. J. (1993). Expanding the criterion domain to include elements of contextual performance. In N. Schmitt & W. C. Borman(Eds.), Personnel selection in organizations (pp.71-98). San Francisco: Jossey-Bass. 

  23. 10.1037/0021-9010.73.2.193 Brief, A. P., Burke, M. J., George, J. M., Robinson, B. S., & Webster, J. (1988). Should negative affectivity remain an unmeasured variable in the study of job stres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3(2), 193-198. 

  24. 10.1037/0021-9010.78.3.402 Burke, M. J., Brief, A. P., & George, J. M. (1993). The role of negative affectivity in understanding relations between self-reports of stressors and strains: A comment on the applied psychology literatur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8(3), 402-412. 

  25. 10.4324/9781410602268 Calhoun, L. G., & Tedeschi, R. G. (1999). Facilitating posttraumatic growth: A clinician's guide. Psychology Press. 

  26. Campbell, J. P. (1990). Modeling the performance prediction problem in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In M. D. Dunnette & L. M. Hough(Eds.),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2nd ed., Vol. 1, pp.687-732).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cal Press. 

  27. 10.1177/109442810141004 Chen, G., Gully, S. M., & Eden, D. (2001). Validation of a new general self-efficacy scale. Organizational Research Methods, 4, 62-83. 

  28. 10.1177/0018726700536001 Clark, S. C. (2000). Work/family border theory: A new theory of work/family balance. Human Relations, 53, 747-770. 

  29. 10.1375/bech.23.3.165 Cribb, G., Moulds, M. L., & Carter, S. (2006). Rumination and experiential avoidance in depression. Behaviour Change, 23(3), 165-176. 

  30. 10.1037/0021-9010.83.4.577 Etzion, D., Eden, D., & Lapidot, Y. (1998). Relief from job stressors and burnout: Reserve service as a respit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3, 377-385. 

  31. 10.1037/0021-9010.91.4.936 Fritz, C., & Sonnentag, S. (2006). Recovery, well-being, and performance-related outcomes: The role of workload and vacation experienc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1, 936-945. 

  32. 10.1037/a0019462 Fritz, C., & Yankelevich, M, Zarubin, A., & Bager, P. (2010). Happy and productive: The role of detachment from work during nonwork tim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5, 977-983. 

  33. 10.1177/1059601198231004 Gardner, D. G., & Pierce, J. L. (1998). Self-efficacy within the organizational context, Group and Organizational Management, 23, 48-70. 

  34. 10.2307/256188 Jones, D. S. (1986). Socialization tactics, self-efficacy, and newcomers' adjustments to organization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9, 262-279. 

  35. 10.2307/2392498 Karasek, R. A. (1979). Job demands, job decision latitude, and mental strain: Implications for job redesig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24, 285-308. 

  36. Martin, J. (1992). Cultures in organizations: Three perspective. N.Y.: Oxford University Press. 

  37. Martin, L. L., & Tesser, A. (1996). Some ruminative thoughts. Advances in Social Cognition, 9, 1-47. 

  38. 10.1037/0022-3514.61.1.115 Nolen-Hoeksema, S., & Morrow, J. (1991). A prospective study of depression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fter a natural disaster: The 1989 Loma Prieta Earthquak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1(1), 115-121. 

  39. OECD. (2010). OECD Employment Outlook 2010. 

  40. 10.1037/a0023594 Park, Y., Fritz, C., & Jex, S. M. (2011). Relationships between work-home segmentation and psychological detachment from work: The role of communication technology use at home.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16(4), 457-467. 

  41. 10.1176/ajp.149.8.999 Post, R. M. (1992). Transduction of psychosocial stress into the neurobiology.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49, 999-1010. 

  42. 10.1177/1069072713487853 Potok, Y., & Littman-Ovadia, H. (2014). Does personality regulate the work stressor- psychological detachment relationship?.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22(1), 43-58. 

  43. 10.1016/j.orgdyn.2004.09.001 Quick, J. C., & Quick, J. D. (2004). Healthy, happy, and productive work: A leadership challenge. Organizational Dynamics, 33(4), 329- 337. 

  44. Quinn, R. E., & Mcgrath, M. R. (1985). The transforma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s: A competing values perspectives. In P. J. Frost et al.(Eds.), Organizational culture(pp.315-334). Beverly Hills: Sage. 

  45. 10.1080/00220973.1982.11011845 Schunk, D. H. (1983). Progress self-monitoring: Effects on children's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51, 89-93. 

  46. 10.2466/pr0.1982.51.2.663 Sherer, M., Maddux, J. E., Mercandante, B., Prentice, D, S., Jacobs, B., & Rogers, R..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 663- 671. 

  47. Sonnentag, S., (2012). Psychological detachment from work during leisure time: The benefits of mentally disengaging from work. Psychological Science. 21(2), 114-118. 

  48. 10.1037/1076-8998.10.4.393 Sonnentag, S., & Bayer, U. V. (2005). Switching off mentally: Predictors and consequences of psychological detachment from work during off-job time.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10(4), 393-414. 

  49. 10.1037/0021-9010.93.3.674 Sonnentag, S., Binnewies, C., & Mojza, E. J. (2008). Did you have a nice evening?: A day-level study on recovery experiences, sleep, and affec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3(3), 674-684. 

  50. 10.1037/a0020032 Sonnentag, S., Binnewies, C., & Mojza, E. J. (2010). Staying well and engaged when demands are high: The role of psychological detachmen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5(5), 965-976. 

  51. 10.1037/1076-8998.12.3.204 Sonnentag, S., & Fritz, C. (2007). The recovery experience questionnair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easure for assessing recuperation and unwinding from work.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12(3), 204-221. 

  52. 10.1016/j.jvb.2009.06.005 Sonnentag, S., & Fritz. C. (2010). Job stressors, emotional exhaustion, and need for recovery: A multi-source study on the benefits of psychological detach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76(3), 355-365. 

  53. 10.1080/13594320500513939 Sonnentag, S., & Kruel, U. (2006). Psychological detachment from work during off-job time: The role of job stressors, job involvement, and recovery-related self-efficacy. European Journal of Work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15(2), 197-217. 

  54. 10.1016/j.jvb.2009.06.005 Sonnentag, S., Kuttler, I., & Fritz, C. (2010). Job stressors, emotional exhaustion, and need for recovery: A multi-source study on the benefits of psychological detach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76(3), 355-365. 

  55. 10.1080/02678370802379440 Sonnentag, S., Mojza, E. J., Binnewies, C., & Scholl, A. (2008). Being engaged at work and detached at home: A week-level study on work engagement, psychological detachment, and affect. Work and Stress, 22(3), 257-276. 

  56. 10.1037/0022-3514.54.6.1063 Watson, D., Clark, L. A., & Tellegen, A. (198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e PANAS sca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 1063-1070.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