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괜찮은 일 획득에서의 성별 차이: 한국 청년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한 일의 심리학 모형의 다집단 분석
Gender Differences in Obtaining Decent Work: A Multi-Group Analysis on the of Psychology of Working Theory for Korean Young Workers 원문보기

한국심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문화 및 사회문제, v.29 no.1, 2023년, pp.101 - 123  

이슬아 (고려대학교 심리학부) ,  표소휘 (고려대학교 심리학부) ,  남보라 (고려대학교 심리학부) ,  이유영 (총신대학교 아동상담심리학과) ,  양은주 (고려대학교 심리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일의 심리학 이론(PWT)에서 제시한 괜찮은 일 획득 경로에 남녀 차이가 존재하는 지 확인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335명의 국내 청년 직장인들에게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고 311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참여자들의 평균 연령은 25.96세였으며, 그 중 남자는 94명, 여자는 217명이었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해 전체 집단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경제적 제약은 일 자유의지와 진로적응성을 부적으로 예측하였으며, 일 자유의지와 진로적응성은 괜찮은 일을 정적으로 예측하여, 모형의 가정을 지지하였다. 경제적 제약과 괜찮은 일 사이에서 일 자유의지와 진로적응성의 전체 간접효과는 유의하였으나, 일 자유의지와 진로적응성 각각의 세부 간접효과 또는 일 자유의지와 진로적응성의 이중매개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다집단 분석 결과, 경로계수 차이가 유의하였는데, 여성의 경우 경제적 제약이 일 자유의지를 부적으로 예측하였으며, 일 자유의지는 괜찮은 일과 정적인 관련성을 나타냈으나 남성에게는 두 경로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반대로 남성 집단에서는 경제적 제약이 진로적응성을 부적으로 예측하였고, 진로적응성은 괜찮은 일과 정적인 관련성을 보였으나 여성에게는 두 경로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여성은 일 자유의지가 경제적 제약과 괜찮은 일 사이를 매개하였고, 남성은 진로 적응성이 경제적 제약과 괜찮은 일 사이를 매개하였다. 이는 괜찮은 일을 획득하는 데 우선적으로 필요한 진로 자원이 성별에 따라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an effort to further extend the existing understanding on the Psychology of Working Theory, this study examined gender differences in the paths to the attainment of decent work with Korean emerging adults. A total of 311 South Korean employees (mean age = 25.96, men = 94, women = 217) completed o...

주제어

표/그림 (10)

참고문헌 (76)

  1. 김경미, 류승아 (2019). 대학생의 긍정정서와?대학생활 만족도 및 진로준비의 관계에서?소명의식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5(3), 231-248. 

  2. 김기헌, 신동훈, 변금선, 고혜진, 신인철 (2020).?청년 핵심정책 대상별 실태 및 지원방안연구 III: 청년 이직자 - 총괄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3. 김수영 (2016). 구조방정식 모형의 기본과 확장. 학지사. 

  4. 김수현, 정재현, 이정아, 안주엽 (2021). 청년층?인력수급 및 노동시장 분석. 한국고용정보원. 

  5. 김민선, 연규진, Kim, P. Y. (2022). 다문화 청년들이 지각한 진로 장벽과 괜찮은 일자리 의 관계에서 일 자유의지와 진로 적응성의 매개효과: 국내출생과 중도입국 청년들을 대상으로 한 다집단 분석. 인간이해, 43(1), 45-66. 

  6. 김민선, 백근영 (2021). 사회적 주변화와 경제적 어려움이 괜찮은 일자리와 직무만족에?미치는 영향에서 일 자유의지의 매개효과?및 주도적 성격의 조절된 매개효과: 청년층을 중심으로. 인간이해, 42(1), 101-126. 

  7. 김태선, 신주연 (2020). 다문화 시대의 상담자 교육: 비판적 의식과 상호교차성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32(2), 667-692. 

  8. 문승태, 박미하, 양복만 (2012). 대학생의 인간관계와 학습의 자기주도성 및 진로적응성의 관계. 진로교육연구, 25(3), 39-60. 

  9. 박정열, 손영미 (2016). 경력단절여성의 진로적응성, 진로장벽 및 재취업 이득/손실의 지각이 재취업욕구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29(1), 101-121. 

  10. 박지선, 이은설 (2022). 직장 여성의 미묘한 성차별 경험이 괜찮은 일의 지각에 미치는?영향: 일의 심리학 이론의 적용. 상담학연구, 23(1), 187-213. 

  11. 박숙경, 이지연 (2020). 진로결정 과정에서 여자 대학생이 인식하는 제약과 대처에 관한 질적 연구: 일의 심리학 이론의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2(4),?2001-2035. 

  12. 손영미, 박정열 (2020). 애착불안, 애착회피와?진로미결정수준과의 관계: 사회비교경향성, 자기비난, 부정적 평가두려움의 다중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26(3), 145-166. 

  13. 송보라, 이기학 (2014), 인간생태체계 모형을?바탕으로 한 진로적응성과 가족환경 요인들 간의 관계 모형 검증. 남녀 대학생의?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19(3), 211-232. 

  14. 안진아 (2019). 사회계층 및 학벌에 따른 제약과 괜찮은 일간 관계: 일 자유의지와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20(5),?133-153. 

  15. 안진아 (2022). 여성 근로자의 미묘한 성차별?경험, 괜찮은 일, 그리고 이직의도: 일의?심리학 이론의 적용. 진로교육연구, 35(2),?89-111. 

  16. 연규진, 양지웅, 이정선, 장애경, 김정기 (2013).?학부생과 대학원생의 성별에 따른 진로장벽의 차이: 이공계 대학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8(2), 295-316. 

  17. 유정이. 김지현. 황매향 (2002). 초등학생 직업포부 및 인식의 발달에 관한 연구. 진로교육연구, 15(2),1-39. 

  18. 은혜경, 김창대 (2011). 경력단절 기혼여성의?재취업을 위한 진로유연성 탐색: 재취업 성공 기혼여성의 인식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2(2), 651-671. 

  19. 이세란, 이기학 (2021). 직장여성의 성차별 경험과 직무 및 삶의 만족의 구조 관계: '일자유의지'와 '괜찮은 일'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3(1), 539-560. 

  20. 이주현, 조예지, 홍석현, 박수진 (2020). 2019?대졸자 직업이동경로조사 기초분석보고서. 한국고용정보원. 

  21. 전소영, 심예린 (2022). 여성 직장인의 직장 내 미묘한 성차별 경험과 괜찮은 일의 관계: 조직의 성차별 문화로 조절된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8(3), 353-372. 

  22. 정미나, 임영석 (2010).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진입관련 변인에 대한 경로분석, 진로교육연구, 23(2),135-152. 

  23. 정옥분 (2015). 청년발달의 이해 (제 3판). 학지사. 

  24. 정지은 (2013). 대학생의 진로적응성과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 및 자기주도학습의 인과적 관계.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5. 통계청 (2022), 경제활동인구조사. 통계청. 

  26. 조성연, 민경석 (2011). 성과 경제적 수준에 따른 대학생의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적응성의 차이 및 관계. 진로교육연구, 24(3), 59-76. 

  27. 한국은행 (2022). 경제전망보고서. 한국은행. 

  28. 홍세희, 황매향, 이은설 (2005). 청소년용 여성진로장벽 척도의 잠재평균분석. 교육심리연구, 19(4), 1159-1177. 

  29. 황매향, 김지현, 유정이 (2003). 중?고등학생의?직업인식 발달연구. 청소년상담연구, 11?(2), 3-12. 

  30. Allan, B. A., Tebbe, E. A., Bouchard, L. M., &?Duffy, R. D. (2019). Access to decent and?meaningful work in a sexual minority?population.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27(3),?408-421. 

  31. Anderson, J. C., & Gerbing, D. W. (1988).?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Psychological Bulletin, 103(3), 411-423. 

  32. Autin, K. L., Herdt, M. E., Allan, B. A., Zhu, L.,?Abdullah, M., & Garcia, R. G. (2022).?Decent work among women workers: An?intersectional approach. Journal of Counseling?Psychology, 69(6), 775-785. 

  33. Bentler, P. M. (1990). Comparative fit indexes in?structural models. Psychological Bulletin, 107(2),?238-246. 

  34. Betz, N. E., & Fitzgerald, L. F. (1987). The career psychology of women. London: Academic Press. 

  35. Blustein, D. L. (2006). The psychology of working: A new perspective for career development, counseling,?and public policy. New York: Routledge. 

  36. Cohen, J. (1992). A power primer. Psychological?Bulletin, 112, 155-159. 

  37. Douglass, R. P., Autin, K. L., Buyukgoze-Kavas,?A., & Gensmer, N. P. (2020). Proactive personality and decent work among racially?and ethnically diverse working adults. Journal?of Career Assessment, 28(3), 512-528. 

  38. Douglass, R. P., Velez, B. L., Conlin, S. E., Duffy,?R. D., & England, J. W. (2017). Examining?the psychology of working theory: Decent?work among sexual minorities. Journal of?Counseling Psychology, 64(5), 550-559. 

  39. Duffy, R. D., Allan, B. A., England, J. W.,?Blustein, D. L., Autin, K. L., Douglass,?R. P., ... Santos, E. J. R. (2017). The?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Decent Work Scale. Journal of Counseling?Psychology, 64(2), 206-221. 

  40. Duffy, R. D., Bott, E. M., Torrey, C. L., &?Webster, G. W. (2013). Work volition as a critical moderator in the prediction of job?satisfaction.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21(1), 20-31. 

  41. Duffy, R. D., Blustein, D. L., Diemer, M. A., &?Autin, K. L. (2016a). The psychology of?working theor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63(2), 127-148. 

  42. Duffy, R. D., Diemer, M. A., Perry, J. C.,?Laurenzi, C., & Torrey, C. L. (2012). The?construction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Work?Volition Scal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80(2), 400-411. 

  43. Duffy, R. D., Douglass, R. P., Autin, K. L., &?Allan, B. A. (2016b). Examining predictors of?work volition among undergraduate students.?Journal of Career Assessment, 24(3), 441-459. 

  44. Duffy, R. D., Gensmer, N.P., Allan, B.A., Kim,?H.J., Douglass, R.P., England, J.W., ... &?Blustein, D.L. (2019). Developing, validating,?and testing improved measures within the?Psychology of Working Theory. Journal of?Vocational Behavior, 112, 199-215. 

  45. Duffy, R. D., Kim, H. J., Boren, S., Pendleton,?L., & Perez, G. (2021). Lifetime experiences?of economic constraints and marginalization?among incoming college students: A latent?profile analysis. Journal of Diversity in Higher?Education. Advance online publication.?http://dx.doi.org/10.1037/dhe0000344. 

  46. England, J. W., Duffy, R. D., Gensmer, N.?P., Kim, H. J., Buyukgoze-Kavas, A., &?Larson-Konar, D. M. (2020). Women attaining?decent work: The important role of workplace?climate in Psychology of Working Theory.?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67(2), 251-264. 

  47. Fassinger, R. E. (2001). Women in Non-traditional?Occupational Fields. In J. Worell(Ed.),?Encyclopedia of Women and Gender: Sex?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nd the Impact of?Society on Gender(Vol. 2). New York: Academic?Press. 

  48. Fornell, C., and Larcker, D. F. (1981). Evaluating?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Marketing Research, 18(1), 39-50. 

  49. Fouad, N. A. (2001). The future of vocational?psychology: Aiming high. Journal of Vocational?Behavior, 59(2), 183-191. 

  50. Grollman, E. A. (2014). Multiple disadvantaged?statuses and health: The role of multiple?forms of discrimination. Journal of Health and?Social Behavior, 55(1), 3-19. 

  51. Guteck, B. A. (2001). Women and paid work,?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25(4), 379-393. 

  52. Holland, J. L. (1997). Making vocational choices: A?theory of vocational personalities and work?environments (3rd ed.). Psychological Assessment?Resources. 

  53. Hyde & Kling, 2001 Hyde, J. S., & Kling, K.?(2001). Women, Motivation, and Achievement.?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25(4), 364-378.? 

  54. International Labor Organization. (2008). Work of?work report 2008: Income inequalities in the age?of financial globalization. https://doi.org/10.1002/wow3.11 

  55. Kelly, K. R., & Cobb, S. J. (1991). A profile of?the career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young?gifted adolescents: Examining gender and?multicultural differences. Roeper Review, 13(4),?202-206. 

  56. Kim, N. (2019). Social Status and Meaningful Work:?A Moderated Mediation Model of Work Volition?and Social Support. [Doctoral dissertation],?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57. Kim, H. J., Duffy, R. D., Lee, S., Lee, J., & Lee,?K.-H. (2019). Application of the psychology?of working theory with Korean emerging?adult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66(6),?701-713. 

  58. Kim, T., Autin, K. L., & Allan, B. A. (2022). An?Examination of Psychology of Working Theory?With Immigrant Workers in the United?States.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23, 1-17. 

  59. Lee, Y., Song, J. H. and Kim, S.J. (2023),?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decent work scale, European Journal of Training?and Development, 47(1/2), 43-57. 

  60. Lent, R. W., Brown, S. D., & Hackett, G. (2000).?Contextual supports and barriers to career?choice: A social cognitive analysis. Journal of?Counseling Psychology, 47(1), 36-49. 

  61. Luke, J., McIlveen, P., & Perera, H. N. (2016).?A thematic analysis of career adaptability?in retirees who return to work. Frontiers in?Psychology, 7, 193. 

  62. MacCallum, R. C., Browne, M. W., & Sugawara,?H. M. (1996). Power analysis and?determination of sample size for covariance?structure modeling. Psychological methods, 1(2),?130-149. 

  63. Nam. J. S., Kim. S. Y. (2019). Decent Work in?South Korea: Context, conceptualization, and?assess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15, 1-15. 

  64. OECD (2022). https://stats.oecd.org/Labour Force?Statistics. 

  65. Savickas, M. L. (1997). Career Adaptability: An?Integrative Construct for Life-Span, Life?Space Theory.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45(3), 247-259. 

  66. Savickas, M. L. (2005). The theory and practice of career construction. In Brown & Lent(Eds.),?Career development and counseling: Putting theory?and research to work (2nd. Ed.). New York:?Wiley. 

  67. Savickas, M. L., & Porfeli, E. J. (2012). Career?Adapt-Abilities Scale: Construction, reliability,?and measurement equivalence across 13?countri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80(3),?661-673. 

  68. Shin, Y. J., Lee, E. S., & Seo, Y. (2019). Does?traditional stereotyping of career as male affect?college women's, but not college men's,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ultimately their career adaptability?. Sex Roles, 81, 74-86. 

  69. Shrout, P. E., & Bolger, N. (2002). Mediation in?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methods, 7(4), 422-445. 

  70. Silverman, L. K. (1990). Social and emotional?education of the gifted: The discoveries of?Leta Hollingworth. Roeper Review, 12(3), 171-178. 

  71. Standing, G. (2010). Work after globalization:?Building occupational citizenship. Edward Elgar. 

  72. Super, D. E. (1980). A life-span, life-space?approach to career development. Journal of?Vocational Behavior, 13, 282-298. 

  73. Tak, J. K. (2012). Career Adapt-Abilities?Scale-Korea Form: Psychometric properties and?construct validity.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80(3), 712-715. 

  74. Wang, J., & Wang, X. (2020). Structural equation?modeling: Applications using Mplus (2nd ed.).?New York: Wiley. 

  75. Wehrle, K., Kira, M., & Klehe, U. C. (2019).?Putting career construction into context:?Career adaptability among refugees. Journal of?Vocational Behavior, 111, 107-124. 

  76. West, S. G., Finch, J. F., & Curran, P. J. (1995).?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R.?H.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pp. 56-75).?Thousand Oaks : Sage Publication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