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척도 재구성을 통한 노인 삶의 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Quality of Life in Old Age Based on Scale Reorganization

한국체육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인문·사회과학편, v.56 no.6, 2017년, pp.403 - 416  

전형상 (용인대학교) ,  김선희 (대구미래대학교) ,  김형훈 (호남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노인의 삶의 질 척도 재탐색을 통해 향후 노인 정책 및 복지정책의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위 및 학술지 612편의 연구에서 사용된 척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전문가 인터뷰를 실시하여, 최종 척도 구성을 통해 서울, 경기에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 393명을 대상으로 삶의 질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거된 설문자료를 SPSS ver. 22.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타당도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612편의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척도는 158개 요인 이였으며, 그중에서 중복되거나 의미가 모호한 것을 제외한 후 137개의 요인을 추출하였다. 해당요인을 전문가집단의 의뢰 결과 최종적으로 55개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도출된 요인의 문항구성을 완료한 후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37개요인 178개 문항이 추출되었다. 둘째, 추출된 178개 문항을 설문조사를 통해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결과 7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explore the scales of quality of life in old age and provide fundamental data to make senior policy and welfare policy afterwards. To address the goal, scales found in 612 journals and dissertations were analyzed, and based on the results, expert interviews were do...

Keyword

참고문헌 (55)

  1. 김명소, 김혜원, 차영호 (2001).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 개념분석 : 한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15(2), 19-39 

  2. 김미자(2012). 노년기 아쿠아운동의 재미요인과 삶의 질 과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충남 

  3. 김선용(2015). 과제 지향적 활동프로그램이 치매환자의 자기효능감과 일상생활활동,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대구 

  4. 김수민(2011). 노인의료복지시설 입소노인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재활프로그램 만족을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상지대학교 사회복지정책대학원, 강원 

  5. 김연희, 김기순(2002).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삶의 질과의 관계연구. 노인복지연구, 17, 157-189 

  6. 김영태(2010). 생활체조가 농촌여성노인의 활동체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남대학교 대학원, 전북 

  7. 김옥희, 이경남, 정상양, 엄기욱, 박차상(2009). 노인복지론. 학지사, 서울 

  8. 김정연(2009). 노인관련 삶의 질 모형.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대전 

  9. 김춘옥(2014). 노인의 여가몰입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복지실천학회지, 6(2), 78-99 

  10. 나혜영(2006). 노인 환자 가족의 사회적지지와 부담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정책대학원, 광주 

  11. 남궁완(2005). 고령화 사회 노인들의 건강행위와 영양실태 및 영양지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경기 

  12. 남기민ㆍ정은경(2011). 여성독거노인들이 인지한 사회활동과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52, 325-348 

  13. 노권자(2012). 노인의 삶의 질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미간생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서울 

  14. 노유자(1988). 서울지역 중년기 성인의 삶의 질에 관한 분석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서울 

  15. 문성미(2017). 노인의 사회경제적 상태, 건강ㅅ아태, 건강행태와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계: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5(6), 259-271 

  16. 민경진(2006). 노인의 일상생활 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한성대학교 대학원, 서울 

  17. 문혜원(2017). 여야, ‘노인의 날’ 민생 행보에 총출동…‘노인복지’ 화두에. 경제신문 디지털타임스 2017년 10월 20일자 신문.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7102002109957031004&ref=daum 

  18. 박은숙, 김은숙, 김소인, 전영자, 이평숙, 김행자, 한금선(1998). 노인의 삶의 질 예측모형 구축: 건강관리 모형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18(3), 37-61 

  19. 박현식(2012), 노인복지론. 양서원, 경기 

  20. 변영순 (2006). 노인의 성별에 따른 우울정도와 여가활동참여도. 노인간호학회지, 8(2), 128-135 

  21. 보건복지부(2011). 2011 고령자통계. 

  22. 보건복지부(2014). 2014 고령자통계. 

  23. 류기광(2007). 집단음악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우울정서, 삶의 질 및 정신행동증상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동서보완의학대학교, 전북 

  24. 성두식(2009). 독거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옥천지역 독거노인 대상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우송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대전 

  25. 신성일, 김영희(2013). 노인의 삶의 질에 관련된 변인들의 메타분석. 상담학연구, 14(6), 3673-3690 

  26. 양정빈(2009). 뇌졸중 생존 노인들의 질병관련 요인, 심리사회적 요인, 환경적 요인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경기 

  27. 오창석(2012). 노인의 주관적 건강 인식과 삶의 질이 우울과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보건 의료산업학, 6(2), 179-191 

  28. 오현길(2017). 국민 삶의 질, 경제성장의 절반도 못미쳐. 아시아경제뉴스 2017년 3월 16일자 기사.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7031508422157519 

  29. 우지수(2013). 경증치매 노인의 요양형태에 따른 삶의 질에 관한 연구: 노인 장기요양보험 3등급을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서울 

  30. 유송지(2008). 지역사회 노인의 경로당 건강증진 프로그램 참여수준이 우울,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경기 

  31. 윤정선(2015). 65세 이상 진행성 폐암환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서울 

  32. 이나희(2010). 고령화 사회 노인이 지각한 가족결속력과 삶의 질 관계: 연령별 노인집단 비교를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정책산업대학원, 서울 

  33. 이수희(2011). 사회 환경적 요인이 노인의 심리상태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서울 

  34. 이승환(2009). 생활체육 참여자의 삶의 질,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노인생활체육 참여자를 대상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35. 임은실(2003). 저소득 재가노인의 신체적 기능, 우울 및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서울 

  36. 장나라(2004). 일 농촌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우울과 일상생활능력이 삶의 질 수준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보건대학교, 서울 

  37. 전상남(2007). 노인운동 프로그램의 개별적 적용에 따른 신체기능 및 삶의 질 변화에 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38. 전형상(2016). 노인의 라이프스타일 및 삶의 질 문헌탐색 연구. 한국체육과학회지, 25(4), 135-149 

  39. 전형상(2017). 척도 재구성을 통한 노인의 라이프스타일 연구. 한국체육과학회지, 26(4), 193-206 

  40. 조영심(2012). 일 지역 사회복지관 이용 노인의 삶의 질 예측요인.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전남 

  41. 조은주(2009). 노인여가활동과 라이프스타일 및 삶의 질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경상대학교 대학원, 경남 

  42. 조은희(2013). 노인교실에 참여하는 노인의 사회봉사와 삶의 질.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서울 

  43. 진미환(2013). 중년후기 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예측모형.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서울 

  44. 최미영, 곽현근, 박현식(2014). 노인의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지역사회 사회자본의 영향: 노인 우울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66, 307-328 

  45. 한상완, 조호정(2014). 한·독·일 실버 경제의 기반 비교: 시니어 쉬프트(senior shift)에 대비하자. 현대경제연구원, 서울 

  46. 한형수(2008). 노인의 삶의 질의 객관적 지표와 주관적 만족도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39, 347-372 

  47. 함근혜(2007). 노인 당뇨병 환자의 무력감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48. 허은희(2007). 크리스챤 노인의 사회참여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영신학대학교 상담복지대학원, 서울 

  49. Han, Chang-Wan, Lee, Eun-Joo, Iwaya, Tsutomu, Kataoka, Hitomi, Kohzuki, Masahiro.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Short-Form 36-Item Health Survey: Health Related QOL of Healthy Elderly People and Elderly Patients in Korea. The Tohoku journal of experimental medicine, vol.203, no.3, 189-194.

  50. Ryff, Carol D..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7, no.6, 1069-1081.

  51. Ryff, Carol D., Singer, Burton H.. Best news yet on the six-factor model of well-being. Social science research, vol.35, no.4, 1103-1119.

  52. Ware, John E.; Kosinski, Mark etc. "Interpreting SF&-36 summary health measures: A response." Quality of life research : an 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y of life aspects of treatment, care and rehabilitation, v.10 no.5 (2001), pp. 405-413, doi:10.1023/A:1012588218728.

  53. Ware Jr., John E., Sherbourne, Cathy Donald. The MOS 36-ltem Short-Form Health Survey (SF-36) : I. Conceptual Framework and Item Selection. Medical care, vol.30, no.6, 473-483.

  54. Verdugo, M. A., Schalock, R. L., Keith, K. D., Stancliffe, R. J.. Quality of life and its measurement: important principles and guidelines.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 JIDR, vol.49, no.10, 707-717.

  55. 中嶋和夫, 香川幸次郞, 朴千萬(2003). 保健福祉關聯 QOL 尺度の 開發. 厚生の指標, 50(8), 8-15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