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환자실 퇴원환자의 집중치료 후 증후군과 삶의 질
Post-intensive Care Syndrome and Quality of Life in Survivors of Critical Illness 원문보기

중환자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9 no.1, 2016년, pp.1 - 14  

김수경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중환자실) ,  강지연 (동아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investigate the post-intensive care syndrome (PICS) an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QoL) of survivors of critical illness. Methods: Subjects were 114 outpatients who had been discharged from intensive care units of a university hospital in B city, Korea. From J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61일에 불과하여 중환자의 특성을 대표한다고 보기가 어려우므로 국내 상급종합병원 중환자실 퇴원 후 환자와 관련한 추가적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환자실 퇴원 환자의 인지적, 정신적, 신체적 기능 상태와 삶의 질을 파악하고 그 영향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중환자실 퇴원 환자의 집중 치료 후 증후군의 예방과 삶의 질 증진을 위한 중재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 집중치료 후 환자의 특성과 인지기능상태, 정신기능상태, 신체기능상태 및 삶의 질을 파악 하는 한편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환자실 집중 치료 후 퇴원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중환자 간호 제공의 근거를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 퇴원환자의 집중치료 후 증후군 경험 및 삶의 질과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 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환자실 퇴원 환자의 집중치료 후 증후군 경험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 집중치료 후 환자의 특성과 인지기능상태, 정신기능상태, 신체기능상태 및 삶의 질을 파악 하는 한편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환자실 집중 치료 후 퇴원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중환자 간호 제공의 근거를 논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ICS 중 인지기능장애는 어떤 특징을 가지는가? PICS 중 인지기능장애는 기억력, 집중력, 집행기능 장애를 의미하며 이는 중환자실 퇴원환자의 약 25%에서 발생한다(Hopkins & Girard, 2013; Needham et al., 2013).
집중치료 후 증후군이란 무엇인가? 이러한 건강문제는 생존한 중환자들은 물론 가족의 삶의 질을 위협하는 요인으로 간주되고 있다(Iwashyna, 2013). 2012년 국제중환자의학회(Society of Critical Care Medicine: SCCM)에서는 중환자실 치료 후 환자와 그 가족이 경험하는 인지기능장애, 정신기능장애, 신체기능장애를 통합하여 집중치료 후 증후군(Post-Intensive Care Syndrome: PICS)이라고 명명하고 관심을 촉구한바 있다(Needham et al., 2013).
중환자실 퇴원 환자의 다양한 건강 문제는 어떤 추가적인 문제를 야기하는가? , 2013). 이러한 건강문제는 생존한 중환자들은 물론 가족의 삶의 질을 위협하는 요인으로 간주되고 있다(Iwashyna, 2013). 2012년 국제중환자의학회(Society of Critical Care Medicine: SCCM)에서는 중환자실 치료 후 환자와 그 가족이 경험하는 인지기능장애, 정신기능장애, 신체기능장애를 통합하여 집중치료 후 증후군(Post-Intensive Care Syndrome: PICS)이라고 명명하고 관심을 촉구한바 있다(Needha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belha, F. J., Luis, C., Veiga, D., Parente, D., Fernandes, V., Santos, P., et al. (2013). Outcome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postoperative delirium during an ICU stay following major surgery. Critical Care, 17(5), R257. 

  2. Baldwin, F. J., Hinge, D., Dorsett, J., & Boyd, O. F. (2009). Quality of life and persisting symptoms in intensive care unit survivors: Implication for care after discharge. BMC Reserch Notes, 12(2), 160. 

  3. Campbell, A. J., Cook, J. A., Adey, G., & Cuthbertson, B. H. (2008). Predicting death and readmission after intensive care discharge. British Journal of Anaesthesia, 100(5), 656-662. 

  4. Cornhill, H., & Case-Smith, J. (1996). Factors that relate to good and poor handwriting.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0, 732-739. 

  5. Cuthbertson, B, H., Rattray, J., Campbell, M. K., Gager, M., Roughton, S., Smith, A., et al. (2009). The PRaCTICaL study of nurse led, intensive care follow-up programmes for improving long term outcomes from critical illness: A pragmatic randomised controlled trial. British Medical Journal,. 339, b3723. 

  6. Ely, E. W., Inouye, S. K., Bernard, G. R., Gordon, S., Francis, J., May, L., et al. (2001). Delirium in mechanically ventilated patients: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confusion assessment method for the intensive care unit (CAM-ICU). 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6(21), 2703-2710. 

  7. Girard, T, D., Kress, J. P., Fuchs, B. D., Thomason, J. W., Schweickert, W. D., Pun, B. T., et al. (2008). Efficacy and safety of a paired sedation and ventilator weaning protocol for mechanically ventilated patients in intensive care (Awakening and Breathing Controlled trial):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Lancet, 371(9607), 126-134. 

  8. Hoffman, L. A., & Guttendorf, J. (2015). Post intensive care syndrome: Risk factors and prevention strategies. Critical Care Alert. Retrieved April 10, 2015, from http://www.ahcmedia.com/articles/134820-post-intensive-caresyndrome-risk-factors-and-prevention-strategies 

  9. Hopkins, R. O., & Girard, T. D. (2013). Medical and economic implications of cognitive and psychiatric disability of survivorship. Seminars in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33(4), 348-356. 

  10. Hopkins, R. O., Suchyta, M. R., Farrer, T. J., & Needham, D. (2012). Improving post-intensive care unit neuropsychiatric outcomes: Understanding cognitive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American Review of Respiratory Disease, 186(12), 1220-1228. 

  11. Iwashyna, T. J. (2013). Post-intensive care syndrome: Improving the future of ICU patients. 42nd Critical Care Congress Review. Retrieved January 12, 2005, from http://www.sccm.org/SiteCollectionDocuments/CC-Iwahyna-June-2013.pdf. 

  12. Kang, Y. W., Park, J. S., Yu, K. H., & Lee, B. C. (2009). A reliability validity, and normative study of the Korean-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K-MoCA) as an instrument for screening of Vascular Cognitive Impairment (VCI).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8(2), 549-562. 

  13. Kim, B. R., Shim, M. J., Jang, S. B., & Lee, J. S. (2012). The influence of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on the quality of life of cancer patients at a general hospita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0(3), 81-93. 

  14. Maruish, M. E. (2012). User'manual for the SF-12 v2 Health Survey (3rd ed.). Lincoln, RI: QualityMetric Inc. 

  15. Mehlhorn, J., Freytag, A., Schmidt, K., Brunkhorst, F. M., Graf, J., Troitzsch, U., et al. (2014). Rehabilitation interventions for post intensive care syndrome: A systematic review. Critical Care Medicine, 42(5), 1263-1271. 

  16. Mikkelsen, M. E., Christie, J. D., Lanken, P. N., Biester, R. C., Thompson, B. T., & Bellamy, S, L. (2012). The adult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cognitive outcomes study: Long-term neuropsychological function in survivors of acute lung injury.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185(12), 1307-1315. 

  1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3, May 3). 2012 dementia prevalence. Retrieved April 5, 2015, from http://www.mohw.go.kr/front_new/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page1&CONT_SEQ286138&SEARCHKEYTITLE&SEARCHVALUE치매 유병률 

  18. Nasreddine, Z. S., Phillips, N. A., Bedirian, V., Charbonneau, S., Whitehead, V., & Collin, I., (2005). The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MoCA: A brief screening tool for mild cognitive impairment.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3(4), 695-699. 

  19. Needham, D. M., Dinglas, V. D., Morris, P. E., Jackson, J. C., Hough, C. L., Mendez-Tellez, P. A., et al. (2013). Physical and cognitive performance of patients with acute lung injury 1 year after initial trophic versus full enteral feeding. EDEN trial follow-up.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188(5), 567-576. 

  20. Oh, S. M., Min, K., & Park, D. (1999).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for Korean-A comparison of normal, depressed, and anxious groups. Journal of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8(2), 289-296. 

  21. Pandharipande, P. P., Girard, T. D., Jackson, J. C., Morandi, A., Thompson, J. L., Pun, B., et al. (2013). Long-term cognitive impairment after critical illness.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69(14), 1306-1316. 

  22. Peris, A., Bonizzoli, M., Iozzell,i D., Migliaccio, M. L., Zagli, G., & Bacchereti, A. (2011). Early intra-intensive care unit psychological intervention promotes recovery from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s, anxiety and depression symptoms in critically ill patients. Critical Care, 15(1), R41. 

  23. Ryu, J. S., Lee, H. A., Lee, W. K., Kim, M. K., Min, J. W., Hong, Y. S., et al. (2014). The association of self-care behavior and the quality of life among outpatients with diabetes.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4(2), 122-130. 

  24. Soininen, P., Putkonen, H., Joffe, G., Korkeila, J., Puukka, P., Pit-kaen, A., et al. (2013). Does experienced seclusion or restraint affect psychiatric patients' subjective quality of life at discharge? International Journal of Mental Health System, 7(1), 28. 

  25. Song, H. S. (2012). Changes in symptom exprience, functional status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f survivors after intensive care units discharge: A 6 month-longitudinal stud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onchunhyang University, Asan. 

  26. Vest, M. T., Murphy, T. E., Araujo, K. L., & Pisani, M. A. (2011). Disability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among older medical ICU survivors: A prospective cohort study. Health Quality of Life Outcomes, 9, 9. 

  27. Ware, J. E., Kosinski, M., & Keller, S. D. (1996). A 12-Item Short-Form Health Survey: Construction of scales and preliminary test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Medical Care, 34(3), 220-233. 

  28. Won, J. W., Rho, Y. G., Kim, S. Y., Lee, E. J., Yoon, J. L., Cho, K. H., et al. (2002). The development of Korean Activities of Daily Living(K-ADL) and Korea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K-IADL) Scale. Journal of the Korean Geriatrics Society, 6(2), 107-120. 

  29. Zetterlund, P., Plos, K., Bergbom, I., & Ringdal, M. (2012). Memories from intensive care unit persist for several years-A longitudinal prospective multi-centre study. Intensive Critical Care Nursing, 28(3), 159-167. 

  30. Zigmond, A. S., & Snaith, R. P. (1983).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67(6), 361-37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