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Research on the Experiences of Sibling members of a Suicide
자살로 형제자매를 잃은 유가족의 경험에 대한 연구 원문보기

학교상담 및 모래놀이 = School counselling and sandplay, v.1 no.1, 2019년, pp.31 - 48  

Um, Eun Ju

초록이 없습니다.

참고문헌 (99)

  1. 구향자, 이태용 (2011). 국가 간 불명확한 사망원인 요인과 검시제도가 사망원인통계품질에 미치는 영향. 형사정책연구, 173-199. 

  2. 10.5934/KJHE.2011.20.5.885 공수연, 양성은 (2011). 성인 자녀의 부모 사별 경험에 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20(5). 10.5934/KJHE.2011.20.5.885 

  3. 강인, 최혜경 (1998). 여성의 배우자 사별 스트레스 적응 과정에서 개인 내적 요인들의 중재적 역할. 대한가정학회, 36(4), 95-107. 

  4. 강현경, 김성숙 (2013). 유아의 애도과정에 대한 문헌적 고찰.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0(2), 325-345. 

  5. 김성완, 김선영, 김재민, 서동우, 신일선, 김석재, 나기회, 김세현, 윤진상 (2008). 자살에 대한 태도 및 자살행동 연구.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14(1), 43-38. 

  6. 10.20970/kasw.2012.64.4.001 김가득 (2012). 자살로 자녀를 잃은 부모의 경험: 참척 (慘慽) 고통과 화해. 한국사회복지학, 64(4), 5-29. 10.20970/kasw.2012.64.4.001 

  7. 김 석 (2012). 애도의 부재와 욕망의 좌절. 민주주의와 인권, 12(1), 57-83. 

  8. 김용분, 이정섭 (2003). 자살 개념분석. 정신간호학회지, 12(4), 394-401. 

  9. 10.1007/BF03361580 김용분, 이정섭(2006). 자살피해자의 승화하기 경험. 정신간호학회지, 15(4), 446-458. 10.1007/BF03361580 

  10. 김태경 (2012). 살인사건 유가족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법무부연구용역 보고서. 

  11. 김태경 (2015). 살인피해자 유가족의 경험과 한국형 심리지원 방안모색을 위한 제언. 피해자학연구, 23(2), 93-125. 

  12. 김현진, 장연집 (2013). 성인기에 아버지와 사별한 미혼 딸의 이미지 작업 체험연구. 한국심리치료학회지, 5, 69-90. 

  13. 김정남 (2015). 부모자살을 경험한 청소년의 외상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재활심리연구, 22(1), 183-201 

  14. 김벼리, 신현균 (2012). 남편을 자살로 잃은 중년 기독인 여성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2(1), 109-109. 

  15. 김미영, 전성숙, 김경희 (2013). 자살시도 경험이 있는 지역주민의 자살사고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4(2), 135-142. 

  16. 문영석 (2011). 자살에 대한 사회적 성찰과 죽음학. 인간연구, (20), 69-101. 

  17. 박지영 (2010). 자살로 가족을 잃은 유가족의 생존경험에 관한 해석학적 현상학 사례연구.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36,203-231. 

  18. 박형국 (2014). 삶, 죽음 그리고 그리스도교. 2014년 자살예방종합 학술대회 자료집. 106-109. 

  19. 10.35151/kyci.2011.19.2.010 배주미, 김은영 (2011). 대학생의 청소년기 학급친구 자살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19(2), 189-208. 10.35151/kyci.2011.19.2.010 

  20. 신민섭 (1992). 자살기제에 대한 실증적 연구: 자기도피 척도의 타당화.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1. 손의성 (2007). 배우자 사별노인의 적응에 관한 연구-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21, 1-34. 

  22. 10.22284/qr.2013.14.2.81 신명희, 신수진 (2013). 파라콰트를 사용한 자살시도자의 음독 체험. 질적연구, 14(2), 81-91. 10.22284/qr.2013.14.2.81 

  23. 10.17301/tf.2014.76..009 이명훈 (2014). 친구를 잃은 대학생 자살생존자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신학논단, 76, 294-324. 10.17301/tf.2014.76..009 

  24. 10.1016/S0958-2118(04)00260-5 이귀행 (2004). 자살의 심리학적 측면. 생물치료정신의학, 10(1), 11-14. 

  25. 이현정 (2010). 자살에 관한 문화적 학습 및 재생산의 경로: 중국 농촌 여성의 사례. 비교문화연구, 16(2), 115-149. 

  26. 10.17315/kjhp.2010.15.2.004 이기원, 현명호, 이수진. (2010). 자살하지 않는 이유 척도 (The Reasons for Living Inventory)의 타당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5, 227-242. 10.17315/kjhp.2010.15.2.004 

  27. 이종복, 김화순 (2009). 말기암환자 가족의 사별과정에 대한 이론적고찰.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2, 97-125. 

  28. 이윤수. (2014). ‘천안함 사건’ 유가족의 심리사회적 경험. 한국가족복지, 43, 87-110. 

  29. 윤명숙, 김가득 (2010). 자살자 자녀를 둔 농촌지역 어머니의 경험. 한국가족복지학, 29, 115-148. 

  30. 10.20970/kasw.2010.62.2.005 이근무, 김진숙. (2010). 자살자 가족들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사례연구. 한국사회복지학, 62(2), 109-134. 10.20970/kasw.2010.62.2.005 

  31. 왕철 (2012). 프로이트와 데리다의 애도이론. 영어영문학, 58(4), 783-807. 10.15794/jell.2012.58.4.010 

  32. 임미영, 김윤정 (2011). 노인자살시도자들의 자살시도 전 경험. 한국간호과학회, 41(1), 61-71. 

  33. 이종익 (2013). 자살한 청소년 부모의 떠나보냄 경험.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4. 윤명숙, 김남희, 최혜정 (2013). 부모와 사별한 대학생의 애도경험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삶의 의미 매개효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39, 83-111. 

  35. 장성수 (1998). 자살유가족들에 대한 교회의 돌봄. 강남대학교 신학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6. 전길양, 김정옥 (2000). 배우자 사별노인의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및 심리적 적응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38(1), 155-170. 

  37. 정원옥 (2012). 의문사 유가족의 애도전략. 민주주의와 인권, 12(3), 235-268. 

  38. 정형수, 이지영, 김소연, 양은주 (2014). 한국 성인의 사별에 의한 복합비애경험 개념도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3(1), 81-107. 

  39. 전석균, 박봉길. (2014). 가족원의 자살시도를 경험한 중년기의 자살생각에 대한 요인연구. 사회과학연구, 30(2), 1-27. 

  40. 조영숙, 김수지 (1992). 암 환아 부모의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간호과학회, 22(4), 491-505 

  41. 10.7856/kjcls.2011.22.4.637 최승이 (2011). 엄마를 상실한 중년여성의 애도경험.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2(4), 637-653. 10.7856/kjcls.2011.22.4.637 

  42. 홍현숙 (2007). 가족의 자살사망이 유가족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3. 김종갑 (2012). 애도 받지 못한 자들. 서울: 쿠북. 

  44. 박성희 (2011). 생애사에 기초한 질적 연구방법. 도서출판: 원미사. 

  45. RobertK. Yin. (2013). 질적연구: 시작부터 완성까지[Qualitative Research from Start to Finish]. (박지연, 이숙향, 김남희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10에 출판) 

  46. 박길수 (2013). 죽음맞이-인간의 죽음, 그리고 죽어 감. (소경희 편). 서울 : 모시는 사람들 

  47. 신경림 (2004). 질적 연구 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48. 수원시자살예방센터 (2013). 청소년의 자살 그리고 더 많은 이야기. 도서출판: 한울. 

  49. 최준식 (2013). 죽음학 개론. 서울: 모시는 사람들. 

  50. 통계청 (2018). 2018년 사망원인통계 결과. 

  51. 법제처 (2015). 형사소송법 '검사의 사법경찰관리에 대한 수사지휘 및 사법경찰관리의 수사준칙에 관한 규정' 제51조. 

  52. Ancelinschutzenberger, & Evelyne BissoneJeufroy (2014). 차마 울지 못한 당신을 위하여 (허봉금 역). 서울: 민음인. (원전은 2005에 출판) 

  53. Albert Y. Hsu (2004). 자살을 애도하며. (전현주 역). 서울: 세복. (원전은 2002에 출판) 

  54. Beveriy C, Larch, J. (2012). 말할 수 없는 고통의 치유: 자살유가족을 위한 치유가이드 (이혜선 외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전은 2006에 출판). 

  55. John W. James & Russell Friedman (2004). 슬픔이 내게 말을 거네[(The)Grief recovery handbook]. (장석훈 역). 파주: 북하우스. (원전은 1998에 출판) 

  56. Kubler Ross, E. (2008). 죽음과 죽어감 [On Death & Dying].(이진 역). 파주: 이레. (원전은 1969에 출판) 

  57. Kay Redfield Jamison. (2012). 자살의 이해[Night falls fast]. (박민철 역). 서울: 하나의학사. (원전은 1999에 출판) 

  58. Miller, L. (2015). 정신건강 전문가를 위한 실무 전략: 범죄 피해자 상담[Counseling Crime Victims]. (김태경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08에 출판) 

  59. Monestier, M (2008). 자살백과 (한명희·이시진 역). 서울: 새움. 

  60. Robert K. Yin (2016). 사례연구방법 [Case Study Research]. (신경식, 서아영 역). 서울: 한경사 (원전은 1994에 출판). 

  61. Joiner, T. (2012). 왜 사람들은 자살하는가[Why People Die By Suicide]. (김재성 역). 서울 : 황소자리. (원전은 2005에 출판). 

  62. Kast, V. (2013). 애도 : 상실과 마주하고 상실과 더불어 살아가기 [Trauern]. (채기화 역). 서울: 궁리. (원전은 1982에 출판) 

  63. William Worden, (2009). 유족의 사별슬픔: 상담과 치료[Grief counseling and grief therapy : a handbook for the mental health]. (이범수 역). 서울: 해조음. (원전은 2002에 출판). 

  64. Robert I. Simon (2013). 자살 예방을 위한 임상적 평가와 관리[Preventing Patient Suicide]. (박원명, 윤보현, 김문두, 우영섭 역). 서울 : 학지사. (원전은 2011에 출판). 

  65. 10.1111/j.1943-278X.1990.tb00650.x Barrett, T. W., & Scott, T. B. (1990). Suicide bereavement and recovery patterns compared with nonsuicide bereavement patterns.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20(1), 1-15. 

  66. 10.1111/j.1943-278X.1990.tb00650.x Barrett, T. W., & Scott, T. B. (1990). Suicide bereavement and recovery patterns compared with nonsuicide bereavement patterns.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20(1), 1-15. 

  67. Bowlby, J. (1980). Loss: Sadness and depression. Attachment and loss, Vol. 3. 

  68. 10.1080/0075417X.2011.651840 Bisagni, F. (2012). Shrapnel: latency, mourning and the suicide of a parent. Journal of child psychotherapy, 38(1), 22-31. 10.1080/0075417X.2011.651840 

  69. 10.1016/0165-0327(93)90060-W Brent, D. A., Perper, J. A., Moritz, G., Liotus, L., Schweers, J., Roth, C., ... & Allman, C. (1993). Psychiatric impact of the loss of an adolescent sibling to suicide.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8(4), 249-256. 10.1016/0165-0327(93)90060-W 

  70. 10.1097/00004583-199207000-00009 Brent, D. A., Perper, J., Moritz, G., Allman, C., Friend, A. M. Y., Schweers, J. O. Y., ... & Harrington, K. (1992). Psychiatric effects of exposure to suicide among the friends and acquaintances of adolescent suicide victim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 y, 31(4), 629-639. 10.1097/00004583-199207000-00009 1644725 

  71. 10.1016/0165-0327(93)90060-W Brent, D. A., Perper, J. A., Moritz, G., Liotus, L., Schweers, J., Roth, C., ... & Allman, C. (1993). Psychiatric impact of the loss of an adolescent sibling to suicide.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8(4), 249-256. 10.1016/0165-0327(93)90060-W 

  72. 10.1097/00004583-199605000-00020 Brent D. A., Moritz, G., Bridge, J., Peter, J., and Canlbbio, R. 1996. “Long-term impact of exposure to suicide: a three-year controlled follow-up.” Journal of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35(3). 646-653. 10.1097/00004583-199605000-00020 8935212 

  73. 10.1027/0227-5910.16.1.27 Clark, S. E., & Goldney, R. D. (1995). Grief reactions and recovery in a support group for people bereaved by suicide. Crisis, 16(1), 27-33. 10.1027/0227-5910.16.1.27 7614830 

  74. 10.1111/j.0031-5990.2005.00004.x Cvinar, J. G. (2005). Do suicide survivors suffer social stigma : Review of literature. 10.1111/j.0031-5990.2005.00004.x 15822848 

  75. 10.1111/j.1943-278X.2000.tb01070.x Callahan, J. (2000). Predictors and correlates of bereavement in suicide support group participants.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30(2), 104-124. 

  76. 10.1521/suli.2009.39.3.269 Cerel, J., Padgett, J. H., Conwell, Y., & Reed Jr, G. A. (2009). A call for research: The need to better understand the impact of support groups for suicide survivors.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39(3), 269-281. 10.1521/suli.2009.39.3.269 19606919 PMC3774151 

  77. 10.1521/suli.2009.39.6.588 Cerel, J., Padgett, J. H., & Reed Jr, G. A. (2009). Support groups for suicide survivors: Results of a survey of group leaders.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39(6), 588-598. 10.1521/suli.2009.39.6.588 20121322 

  78. 10.1521/suli.2005.35.6.714 Dyregrov, K., & Dyregrov, A. (2005). Siblings after suicide-“The forgotten bereaved”.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35(6), 714-724. 10.1521/suli.2005.35.6.714 16552987 PMC3400252 

  79. 10.1176/ajp.101.2.141 Lindemann, E. (1944). Symptomatology and management of acute grief.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01(2), 141-148. 10.1176/ajp.101.2.141 

  80. 10.1521/suli.31.1.83.21315 Ellenbogen S, Gratton F: Do they suffer more? Reflections on research comparing suicide survivors to other survivors. Suicide Life Threat Behav 2001, 31(1):83-90. 10.1521/suli.31.1.83.21315 11326771 

  81. Freud, S. (1957). Mourning and melancholia. Standard Edition (vol. 14). Lodon: Hogarth. 

  82. Fisher, P. (2000). Bereavement in the families of adolescent suicide victims: three years post death of the adolescents (Doctoral dissertation, Columbia University). 

  83. 10.1177/0192513X13515885 Frey, L. M., & Cerel, J. (2015). Risk for Suicide and the Role of Family A Narrative Review. Journal of Family Issues, 36(6), 716-736. 10.1177/0192513X13515885 

  84. 10.1521/suli.31.1.91.21310 Jordan, J. R. (2001). Is suicide bereavement different? A reassessment of th literature.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31(1), 91-102. 10.1521/suli.31.1.91.21310 11326773 

  85. 10.1111/j.1943-278X.1999.tb00530.x Knieper, A. J. (1999). The suicide survivor's grief and recovery.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29(4), 353-364. 

  86. 10.1186/1471-244X-8-26 Lindqvist, P., Johansson, L., & Karlsson, U. (2008). In the aftermath of teenage suicide: A qualitative study of the psychosocial consequences for the surviving family members. BMC psychiatry, 8(1), 26. 10.1186/1471-244X-8-26 18426560 PMC2375873 

  87. 10.1080/07481189508252712 McCown, D. E., & Davies, B. (1995). Patterns of grief in young children following the death of a sibling. Death studies, 19(1), 41-53. 10.1080/07481189508252712 

  88. Monestier, M. (1995). Suicides: histoire, techniques et bizarreries de la mort volontaire des origines à nos jours. Le Cherche midi. 

  89. Morin, S. M., & Welsh, L. A. (1996). Adolescent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death and grieving. Adolescence, 31(123), 585. 

  90. 10.1080/07481187.2011.553341 Miers, D., Abbott, D., & Springer, P. R. (2012). A phenomenological study of family needs following the suicide of a teenager. Death studies, 36(2), 118-133. 10.1080/07481187.2011.553341 24567984 

  91. 10.1080/13576275.2012.755158 Maple, M., Edwards, H. E., Minichiello, V., & Plummer, D. (2013). Still part of the family: The importance of physical, emotional and spiritual memorial places and spaces for parents bereaved through the suicide death of their son or daughter. Mortality, 18(1), 54-71. 10.1080/13576275.2012.755158 

  92. 10.1080/07481187.2011.553327 Ogata, K., Ishikawa, T., Michiue, T., Nishi, Y., & Maeda, H. (2011). Posttraumatic symptoms in Japanese bereaved family members with special regard to suicide and homicide cases. Death studies, 35(6), 525-535. 10.1080/07481187.2011.553327 24501828 

  93. 10.1007/s00127-013-0780-1 Rostila, M., Saarela, J., & Kawachi, I. (2014). “The psychological skeleton in the closet”: Mortality after a sibling’s suicide.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49(6), 919-927. 10.1007/s00127-013-0780-1 24126558 

  94. 10.1111/j.1943-278X.1993.tb00199.x Shneidman, E. S. (1993). Some controversies in suicidology: Toward a mentalistic discipline.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23(4), 292-298. 

  95. 10.1080/15325024.2011.572047 Smith, A., Joseph, S., & Das Nair, R. (2011). An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posttraumatic growth in adults bereaved by suicide. Journal Of Loss And Trauma, 16(5), 413-430. 10.1080/15325024.2011.572047 

  96. 10.1111/jocn.12092 Sun, F. K., Chiang, C. Y., Lin, Y. H., & Chen, T. B. (2014). Short-term effects of a suicide education intervention for family caregivers of people who are suicidal.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3(1-2), 91-102. 10.1111/jocn.12092 23786460 

  97. 10.1080/07481180600886603 Packman, W., Horsley, H., Davies, B., & Kramer, R. (2006). Sibling bereavement and continuing bonds. Death studies, 30(9), 817-841. 10.1080/07481180600886603 17004367 

  98. 10.1177/0193945909350630 Tzeng, W. C., Su, P. Y., Chiang, H. H., Kuan, P. Y., & Lee, J. F. (2010). The invisible family: A qualitative study of suicide survivors in Taiwan.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32(2), 185-198. 10.1177/0193945909350630 19915201 

  99. 10.1080/00797308.1966.11823254 Wolfenstein, M. (1966). How is mourning possible?. The psychoanalytic Study of the Child. 10.1080/00797308.1966.11823254 596540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Hybrid)

저자가 APC(Article Processing Charge)를 지불한 논문에 한하여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hybrid 저널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