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디지털 사회의 심화와 ‘탈진실’ 시대의 진실 찾기: 가능성, 한계, 과제

사회사상과 문화 = Journal of East Asian social thoughts, v.26 no.3, 2023년, pp.243 - 287  

김, 종길

초록이 없습니다.

참고문헌 (76)

  1. 『왜 세계사의 시간은 거꾸로 흐르는가』 가브리엘 2021 

  2. “포스트휴먼과 포스트 트루스: 탈진실 현상은 왜 문제일까.” 본권 구 2020 

  3. “탈진실’ 심화된 디지털사회, 권위있는 ‘신뢰의 닻’ 필요.” 본권 구 2022 

  4. “탈진실(Post-truth) 시대, 숙의와 공공선.” 은정 구 제16권 제2호 1 2021 

  5. “탈진실 시대의 산물, 딥페이크.” 기태 김 2021 

  6. “포스트 투루스시대의 도래와 가짜뉴스, 그리고 베버의 효용.” 광기 김 199 2020 

  7. “가짜뉴스가 주가에 미치는 영향 진짜뉴스의 3배.” 동영 김 756호 2022 

  8. “탈진실 개념에 대한 한 가지 분석.” 동현 김 제138집 33 2022 

  9. “‘탈진실’ 시대의 정치와 논쟁적 민주주의 모델.” 만권 김 제147집 137 2021 

  10. “‘탈진실’과 배려 주체의 거리두기: 푸코의 진실과 저항의 문제를 중심으로.” 분선 김 제87호 71 2020 

  11. “포스트-진실(post-truth)시대 무지 생산의 문화정치: 가습기 살균제피해 사건에 대한 언론 보도 분석을 중심으로.” 수미 김 제26권 3호 5 2018 

  12. “포스트-진실 시대의 진실에 대하여.” 수미 김 제27권 4호 49 2019 

  13. “탈진실 시대, 끊임없이 의문하라.” 유향 김 2021 

  14. “김익현의 미디어 읽기.” 익현 김 2020 

  15. “위험사회의 전개와 지식 패러독스.” 종길 김 제29집 123 2016 

  16. “탈진실 시대를 사는 법.” 혜숙 김 11월호 92 2022 

  17. 『뉴로맨서』 깁슨 2005 

  18. 『팩트의 감각』 더피 2018 

  19. 『팩트풀니스』 로슬링 2018 

  20. 『무기화된 거짓말』 레비틴 2017 

  21. 『포스트 트루스』 매킨타이어 2019 

  22. “포스트-트루스) 시대의 진실적 스토리텔링.” 세혁 박 35호 145 2019 

  23. “시대와 공론장.” 정찬 박 152호 94 2019 

  24. “가짜뉴스’라는 기호를 다루는 사람들: 저널리즘, 정보기술, 그리고 대중들의 문화정치.” 진우 박 제37권 4호 149 2020 

  25. “탈진실 현상과 벤야민의 번역론.” 교영 방 50권 163 2017 

  26. 『소비의 사회』 보드리야르 1992 

  27. 『개소리는 어떻게 세상을 정복했는가』 볼 2020 

  28. 『진실의 조건』 빅포르스 2022 

  29. 『철학』 식한 배 29 2005 

  30. 『사회사상과문화』 현주 손 305 2019 

  31. 『과거와 미래 사이: 정치사상에 관한 여덟 가지 철학연습』 아렌트 2005 

  32. “코로나19의 과학과 ‘인포데믹’.” 덕환 이 제126호 182 2020 

  33. “딥페이크와 여론형성.” 민영 이 제31권 제1호 199 2020 

  34. 『자아정체성과 다중자아의 문제』 선희 이 2004 

  35. “탈진실 사회와 저널리즘의 역할.” 재경 이 Autumn 78 2019 

  36. 『플레이밍 사회』 마사아키 이토 2023 

  37. “헤겔 또는 인스타그램: 포스트인터넷 시대의 문화정치.” 택광 이 2018 

  38. “인포데믹이라는 기술미디어 전염병 : 정보 과식과 정보 편식의 병리들.” 해수 이 103 2020 

  39. 『진실 없는 진실의 시대』 윌버 2017 

  40. “포스트 진실의 인식론 넘어서기: 진실의 공동체인가 대화하는 공동체인가.” 용민 유 99 120 2020 

  41. “‘가짜’ 방치하면 사회 썩는다.” 은수 장 2022 

  42. “탈진실 시대의 이미지 조작과 다원적 소통 - 한나 아렌트의 정치 철학을 중심으로.” 소라 정 제46호 119 2022 

  43. 『읽는 인간 리터러시를 경험하라』 병영 조 2021 

  44. “디지털 미디어에서 유통되는 기후변화.” 은주 최 제6권 55 2020 

  45. 『사피엔스』 하라리 2015 

  46. “가상현실의 형이상학.” 하임 1994 

  47. “인공지능의 악용, 딥페이크의 문제.” 상기 한 8 1 2018 

  48. “탈진실 시대에 필요한 과학과 정치의 협력.” 성주 홍 2021 

  49. “라캉의 자본주의 담화를 통해서 바라본 탈진실 현상에 관한 연구.” 의진 허 61집 267 2022 

  50. Erziehung zur Mündigkeit: Vorträge und Gespräche mit Hellmut Becker 1959 bis 1969 Th. W. Adorno 1971 

  51. “Lying in politics.” H. Arendt 1 1972 

  52. Strangers at our door Z. Bauman 2016 

  53. Postfaktizität Zur Genese und Rezeption eines politischen Begriffs, Essays Joël Ben-Yehoshua 2017 

  54. “Face/Off : ‘DeepFake’ Face Swaps and Privacy Laws.” Erik Gerstner 87 1 2 2020 

  55. Groeling, Tim. Media Bias by the Number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the Empirical Study of Partisan News. Annual review of political science, vol.16, 129-151.

  56. Habermas, Jürgen. Political Communication in Media Society: Does Democracy Still Enjoy an Epistemic Dimension? The Impact of Normative Theory on Empirical Research. Communication theory : CT : a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vol.16, no.4, 411-426.

  57. “How Credible is Information on the Web: Reflections on Misinformation and Disinformation.” Hamid Keshavarz 1 2 1 2014 

  58. Lawrence, Eric, Sides, John, Farrell, Henry. Self-Segregation or Deliberation? Blog Readership, Participation, and Polarization in American Politics. Perspectives on politics, vol.8, no.1, 141-157.

  59. “Gegen Fake News hilft kein Gesetz.” Sascha Lobo 2016 

  60. Mihailidis, Paul, Viotty, Samantha. Spreadable Spectacle in Digital Culture: Civic Expression, Fake News, and the Role of Media Literacies in “Post-Fact” Society. The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vol.61, no.4, 441-454.

  61. “Getting Critical About Sensemaking.” A. J. Mills 29 2008 

  62. Was ist Populismus? Jan-Werner Müller 2016 

  63. Merchants of Doubt: How a Handful of Scientists Obscured the Truth on Issues From Tobacco Smoke to Global Warming Naomi Oreskes 2010 

  64. OxfordLanguages. 2016. https://languages.oup.com/word-of-the-year/2016/ 

  65. The filter bubble: What the internet is hiding from you E. Pariser 2011 

  66. Polkinghorne, Donald E.. Language and meaning: Data collection in qualitative research..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52, no.2, 137-145.

  67. “Agnotology. A Missing Term to Describe the Cultural Production of Ignorance (and Its Study).” R. N. Proctor 1 2008 

  68. Rabin-Havt, Ari und Media Matters for America. 2016. Lies, Incorporated: The World of Post-Truth Politics. New York: Anchor Books. 

  69. “Die Wahrheit über Postfaktizität.” Gary S. Schaal 2017 

  70. “Contested autonomy: Professional and popular claims on journalistic norms.” J. B. Singer 8 1 79 2007 

  71. Suiter, Jane, Farrell, David M, O’Malley, Eoin. When do deliberative citizens change their opinions? Evidence from the Irish Citizens’ Assembly. International political science review : IPSR = Revue internationale de science politique : RISP, vol.37, no.2, 198-212.

  72. Echo Chambers: Bush v. Gore, Impeachment, and Beyond Cass R. Sunstein 2001 

  73. Sunstein, Cass R.. Neither Hayek nor Habermas. Public choice, vol.134, no.1, 87-95.

  74. The Mueller report, 2019. The Mueller report, Report On The Investigation Into Russian Interference In The 2016 Presidential Election.pdf, Wikipedia, 검색일: 2023년 2월 8일. 

  75. The Soul of Cyberspace Jeffrey P. Zaleski 1997 

  76. Zelizer, Barbie. Resetting journalism in the aftermath of Brexit and Trump. European journal of communication, vol.33, no.2, 140-156.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