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배경: 당뇨병에서 규칙적인 식사 패턴은 매일의 일정한 칼로리와 탄수화물을 섭취하므로 혈당 조절에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식사 패턴과 총 에너지 섭취량, 영양소 섭취량과 혈당, 지질 수준과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084명의 연구 대상자는 혈당 상태에 따라 3군으로 분류하였다. 당뇨병군, 당 대사이상군, 정상군. 2001년 국민건강영양조사와 을지병원의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하여 식사 회수, 식사 간격, 하루 총 에너지 섭취량, 주 영양소, 미량 영양소 섭취량을 조사하였다. 식사 패턴과 영양소 섭취량과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식사를 거르는 군(G1), 식사는 거르지 않지만 식사 간격이 적당하지 않은 군(G2), 식사도 거르지 않고 식사 간격도 적당한 군(G3)으로 다시 분류하였다. 결과: 당뇨병군의 17.5%, 당 대사이상군의 21.8%, 정상 군의 23.3%는 적어도 한 끼니를 거르고 있으며, 그룹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식사를 거르지 않은 군에서도 55.9%가 식사 간격이 적합하지 않았다. 식사는 연령이 높고, 교육 수준이 낮고, 직업이 없는 사람과 여자에서 좀 더 규칙적으로 식사 하였다. G1은 G3보다 지방 섭취량과 간식 비중이 높았으며, 미량영양소의 밀도가 낮았다(P < 0.05). 당화혈색소, 혈청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은 G1이 다른 두 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 < 0.05). 결론: 많은 제2형 당뇨병환자들이 불규칙한 식사 패턴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러한 식사 패턴은 혈당 조절, 지질 대사, 미량 영양소 섭취량에 나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불규칙한 생활 습관을 가진 사람에서 또 다른 치료의 접근 방법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연구 배경: 당뇨병에서 규칙적인 식사 패턴은 매일의 일정한 칼로리와 탄수화물을 섭취하므로 혈당 조절에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식사 패턴과 총 에너지 섭취량, 영양소 섭취량과 혈당, 지질 수준과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084명의 연구 대상자는 혈당 상태에 따라 3군으로 분류하였다. 당뇨병군, 당 대사이상군, 정상군. 2001년 국민건강영양조사와 을지병원의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하여 식사 회수, 식사 간격, 하루 총 에너지 섭취량, 주 영양소, 미량 영양소 섭취량을 조사하였다. 식사 패턴과 영양소 섭취량과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식사를 거르는 군(G1), 식사는 거르지 않지만 식사 간격이 적당하지 않은 군(G2), 식사도 거르지 않고 식사 간격도 적당한 군(G3)으로 다시 분류하였다. 결과: 당뇨병군의 17.5%, 당 대사이상군의 21.8%, 정상 군의 23.3%는 적어도 한 끼니를 거르고 있으며, 그룹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식사를 거르지 않은 군에서도 55.9%가 식사 간격이 적합하지 않았다. 식사는 연령이 높고, 교육 수준이 낮고, 직업이 없는 사람과 여자에서 좀 더 규칙적으로 식사 하였다. G1은 G3보다 지방 섭취량과 간식 비중이 높았으며, 미량영양소의 밀도가 낮았다(P < 0.05). 당화혈색소, 혈청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은 G1이 다른 두 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 < 0.05). 결론: 많은 제2형 당뇨병환자들이 불규칙한 식사 패턴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러한 식사 패턴은 혈당 조절, 지질 대사, 미량 영양소 섭취량에 나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불규칙한 생활 습관을 가진 사람에서 또 다른 치료의 접근 방법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Background: The regular meal pattern with consistent day-to-day calorie and carbohydrate intak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s of good glycemic control in diabetes.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meal pattern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total energy intake, nutrients intake and ...
Background: The regular meal pattern with consistent day-to-day calorie and carbohydrate intak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s of good glycemic control in diabetes.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meal pattern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total energy intake, nutrients intake and glycemic and lipid profile in type 2 diabetes. Methods: 1,084 subjects were divided according to glycemic status into three groups: the diabetes (DM), dysglycemia (DG) and normal (N). The meal frequency (MF), meal interval (MI) and daily intake of total energy, macronutrient and micronutrient were estimated with the 24 hours dietary recall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n 2001 and Eulji hospital. For analysis of meal pattern and it's relations with the nutrients intake, we regrouped into meal skipper (G1), non-meal skipper with unreasonable MI (G2), and non-meal skipper with reasonable MI (G3). Results: 17.5% of DM, 21.8% of DG, 23.3% of N skipped at least one meal a day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 across the groups. 55.9% of non-meal skipper had unreasonable MI. Meal was more regular in older age, lower educated person, employee, and female. G1 took higher fat, and more calories form snack and less micronutrient density, compared with G3 (P < 0.05). HbA1c,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values were higher in G1 compared with other two groups (P < 0.05). Conclusion: Many type 2 diabetics had the irregular meal patterns, which was associated with poor glycemic control, lipid profiles and less micronutrient density. This suggested that another treatment strategy might be required for those who had irregular lifestyle.
Background: The regular meal pattern with consistent day-to-day calorie and carbohydrate intak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s of good glycemic control in diabetes.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meal pattern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total energy intake, nutrients intake and glycemic and lipid profile in type 2 diabetes. Methods: 1,084 subjects were divided according to glycemic status into three groups: the diabetes (DM), dysglycemia (DG) and normal (N). The meal frequency (MF), meal interval (MI) and daily intake of total energy, macronutrient and micronutrient were estimated with the 24 hours dietary recall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n 2001 and Eulji hospital. For analysis of meal pattern and it's relations with the nutrients intake, we regrouped into meal skipper (G1), non-meal skipper with unreasonable MI (G2), and non-meal skipper with reasonable MI (G3). Results: 17.5% of DM, 21.8% of DG, 23.3% of N skipped at least one meal a day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 across the groups. 55.9% of non-meal skipper had unreasonable MI. Meal was more regular in older age, lower educated person, employee, and female. G1 took higher fat, and more calories form snack and less micronutrient density, compared with G3 (P < 0.05). HbA1c,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values were higher in G1 compared with other two groups (P < 0.05). Conclusion: Many type 2 diabetics had the irregular meal patterns, which was associated with poor glycemic control, lipid profiles and less micronutrient density. This suggested that another treatment strategy might be required for those who had irregular lifestyle.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report-Nutrition survey (I)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MOHW/ KHIDI) 2002
Diabetes care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20 42 2007 10.2337/dc07-S042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