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청소년연구 = Studies on Korean youth, v.19 no.4= no.50, 2008년, pp.169 - 198
추상엽 , 임성문
본 연구는 실패공포가 고등학생의 학업적 지연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회피목표가 1차 매개 변인이고 인지적 의지통제가 2차 매개변인인 경로모형(실패공포→회피목표→인지적 의지통제→학업적 지연행동)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이 모형의 회피목표가 인지적 의지통제에 미치는 경로에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부모의 성취압력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충북, 충남에 소재한 6개 고교에서 설문조사한 후 683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매개와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본 연구에서 설정한 경로모형은 관찰된 자료와 잘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실패공포가 학업적 지연행동에 곧바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기보다, 실패공포가 높을수록 회피목표가 증가하게 되고, 증가된 회피목표는 인지적 의지통제를 감소하게 하고, 감소된 인지적 의지통제는 학업적 지연행동을 증가시키게 됨을 보여주는 것이다. 둘째, 본 연구모형에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부모의 성취압력은 자녀의 회피목표가 인지적 의지통제에 미치는 경로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만성적 학업적 지연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직접적으로 실패공포를 다루는 개입뿐만 아니라, 높은 수준의 회피목표를 낮추어가되 부모의 성취압력과 심리적 통제를 고려하는 개입 및 부족한 인지적 의지통제를 증진시키는 개입이 병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a pass model in which fear of failure affects avoidance goals. Avoidance goals, in turn seem to affect the orientation of cognitive volition control, and this has an effect on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procrastination. Furthermore, whether parental psycholo...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