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영유아보육학 =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v.1, 1994년, pp.1 - 21
성영혜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규명해보며 그러한 스트레스 요인이 교사의 인구통계학적 특징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영유아 보육교사들의 스트레스의 요인을 이해하고 스트레스 요인이 되는 근무조건을 개선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를 수행하기위한 측정도구로는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한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질문지들을 토대로 본연구자가 예비조사를 거쳐, 영유아보육교사에게 직합하게 새롭게 구성하여 사용하겼다. 본 연구는 서울시내의 영·유아 보육교사 25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에게 질문지를 배포하여 233며의 자료만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 백분율, t검증, 변량분석, pearson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영 유아 보육교사의 연령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상관관계분석 결과, 연령과 직무 스트레스 요인은 거의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영유아보육교사의 결혼여부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 요인별 차이를 본 결과, 결혼 여부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 요인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즉 기혼의 경우에 미혼보다 직무만족도에서 더 많은 스트레스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영 유아 보육교사의 학력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차이의 분석 결과, 요인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졸 전공 보육교사들이 다른 집단의 보육교사보다 과다한 업무에서 스트레스를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육교사 양성기관 수료여부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 요인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과다한 업무, 상급자와의 관계, 직무 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즉 보육교사 양성기관을 수료하지 않은 교사(전공자)가 과다한 업무, 상급자와의 관계, 직무만족도에서 더 많은 스트레스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영 유아 보육교사의 경력, 근무 시간과 직무 스트레스 요인간의 상간관계 분석결과, 경력과 직무 스트레스 요인은 상관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의 근무 시간도 직무 스트레스 요인과 거의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