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6 no.3, 2020년, pp.19 - 37
최성실 (가족연구소 마음 연구원) , 여종일 (덕성여자대학교 아동가족학전공)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job stress, coping style, and social support were associated with quality of life among child care teacher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comprised of 281 child care teachers in the metropolitan area of Seoul. Job stress, problem-focused copi...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강동묵, 고상백, 김성아, 김수영, 김영기, 김영진 등 (2016). 직무스트레스의 현대적 이해(2판). 서울: 고려의학.
강명선 (2012). 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 효과.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강명선, 이희영 (2012).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인문학논총, 29, 289-307.
구동모 (2017). 연구방법론. 경기도: 창명.
김경은, 이대균 (2018). 10 년 이상 경력의 보육교사가 직무에 대해 느끼는 고민과 요구. 열린유아교육연구, 23(3), 305-333. doi:10.20437/KOAECE23-3-13
김규수, 고경미, 김경숙 (2014). 유아교사의 근무환경 및 직무만족도 관련변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구조모형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9(1), 251-268.
김보람, 박영숙 (2012). 초등교사의 직무환경과 직무열의 및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스트레스硏究, 20(3), 199-208.
김성숙 (2012).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스트레스 대처 방식 및 자아탄력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7(3), 65-83.
김성희 (2014).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새봄 (2013). 농어촌 결혼이주여성의 삶의 질 결정요인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은수, 유승연 (2012). 어린이집 교사의 삶의 만족도와 직무 스트레스 및 대처방법과의 관계 연구. 아동과 권리, 16(2), 367-417.
김창기 (2011).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문제중심적 대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69, 315-336.
권기남, 민하영 (2009). 유아교육기관 시설장의 변혁적 리더쉽과 거래적 리더십, 교사의 주관적 삶의 질 및 조직헌신 간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지, 18(4), 857-867.
권화숙 (2012). 사회지지와 근무환경이 어린이집 교사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업무요인과 소진을 매개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2), 157-174.
류성봉 (2013).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삶의 질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명준희 (2006).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직무스트레스, 전문성 인식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민성길, 이창일, 김광일, 서신영, 김동기 (2000).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 (WHOQOL-BREF)의 개발. 신경정신의학, 39(3), 571-579.
박지원 (1985).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보건복지부 (2018). 2018년 전국보육실태조사 -어린이집 조사보고-. 서울: 보건복지부.
백정원, 최정숙 (2013). 유자녀 보육교사의 일-가족 양립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41, 167-198. doi:10.16975/kjfsw.2013..41.007
신혜영 (2004).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효능감이 교사 행동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심순애 (2007).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어윤경 (2017). 전문상담교사의 내. 외향성,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조절효과. 진로교육연구, 30(2), 103-125.
우상임 (2015). 임상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정신건강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유현숙, 도명애 (2011). 유아교육교사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대처방식. 정서.행동장애연구, 27(2), 261-289.
윤경아 (2017). 치매노인 가족부양자의 부양부담이 부양자의 성장과 가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처전략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72(1), 257-282. doi:10.21194/kjgsw.72.1.201703.257
이기혜, 김경근 (2013). 중학생의 주관적 삶의 질 결정요인. 교육사회학연구, 23(3), 139-168. doi:10.32465/ksocio.2013.23.3.006
이권호 (2015). 농촌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행동과 삶의 질에 대한 탐색.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나영, 국지윤, 김영옥 (2014).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정서노동의 매개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 89, 341-359.
이소담, 이승연 (2018). 보육교사의 일-삶 균형과 주관적 경력성공의 경향 및 관계. 어린이미디어연구, 17(1), 185-213. doi:10.21183/kjcm.2018.03.17.1.185
이용근 (2009). 초등교사의 삶의 질이 자기 결정성 및 동기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은희, 이주희 (2001).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적응과의 관계: 문제중심적 대처방식, 정서중심적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1), 145-175.
이장호, 김정희 (1988). 지각된 스트레스, 인지세트 및 대처방식의 우울에 대한 작용: 대학신입생의 스트레스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1), 25-45.
이재완, 강혜진 (2018). 워라밸과 삶의 만족: 세대 간 차이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22(3), 267-291. doi:10.20484/klog 22.3.11
이지영, 김성원, 김진원 (2017). 기혼 보육교사의 직무 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일-가정 갈등과 동료 갈등의 매개효과. 육아정책연구, 11(2), 57-86. doi:10.5718/kcep.2017.11.2.57
조경서, 김은주 (2014). 유아교사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결정성,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 검증. 열린유아교육연구, 19(1), 269-288.
주은빈 (2016). 보육교사의 정서노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향아 (2014). 종합병원 간호사의 소진, 통합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을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주희 (2018). 어린이집에서의 사회적 지지가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병태, 김이영 (2013). 개인특성과 사회지지가 어린이집 교사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도와 업무스트레스를 매개로.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7(1), 5-24.
허혜경, 박인숙 (2010). 보육교사의 자질과 직무태도가 보육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64, 21-41.
황지애, 김성재 (2015). 유아교사들의 삶의 질에 관한 실태분석: 전북지역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20(4), 221-244.
황해익, 김미진, 탁정화 (2012).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인식 수준 및 대처방안 연구. 유아교육연구, 32(2), 211-239. doi:10.18023/kjece.2012.32.2.010
Aldwin, C. M. (2015). Stress, coping and development (2nd ed.), 스트레스, 대처, 그리고 발달(강성록, 양재원, 유현경, 정유진 옮김). 서울: 시그마프레스(원판 2014).
Amirkhan, J. H. (1990). A factor analytically derived measure of coping: The Coping Strategy Indicato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9(5), 1066-1074. doi:10.1037/0022-3514.59.5.1066
Bornstein, M. H. (2006). Parenting science and practice. In K. S. Renninger & I. E. Sigel (Ed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6th ed. (pp. 893-949). Hoboken, NJ: John Wiley & Sons.
Chan, D. W. (2002). Stress,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distress among prospective Chinese teachers in Hong Kong. Educational Psychology, 22(5), 557-569. doi:10.1080/0144341022000023635
Clark, E. H. (1980). An analysis of occupational stress factors as perceived by public school teach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Auburn University, Auburn, USA.
Denham, S. A., Bassett, H. H., & Zinsser, K. (2012). Early childhood teachers as socializers of young children's emotional competence.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40(3), 137-143. doi:10.1007/s10643-012-0504-2
Falk, B. (2012). Supporting children's education and care: Putting into practice what we know. In B. Falk (Ed.), Defending childhood: Keeping the promise of early education (pp. 243-250).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Grindal, T. A., Hinton, C., & Shonkoff, J. P. (2012). The science of early childhood development: Lessons for teachers and caregivers. In B. Falk (Ed.), Defending childhood: Keeping the promise of early education (pp. 13-23).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Ferguson, M., Carlson, D., Zivnuska, S., & Whitten, D. (2012). Support at work and home: The path to satisfaction through balanc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80(2), 299-307. doi:10.1016/j.jvb.2012.01.001
Friedman-Krauss, A. H., Raver, C. C., Neuspiel, J. M., & Kinsel, J. (2014). Child behavior problems, teacher executive functions, and teacher stress in head start classrooms.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25(5), 681-702. doi:10.1080/10409289.2013.825190
Lakey, B. (2013).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happiness: The role of personality and relations processes. In S. A. David, I. Boniwell, & A. C. Ayers (Eds.). The oxford handbook of happiness (pp. 847-859). Oxford, England: Oxford University Press.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Lopez, S. J., & Snyder, C. R. (2008). Positive psychological assessment: A handbook of models and measures, 긍정심리평가: 모델과 측정(이희경, 이영호, 조성호, 남종호 옮김). 서울: 학지사(원판 2003).
Lyubomirsky, S. (2007). The how of happiness: A new approach to getting the life you want. New York: Penguin Books Ltd.
Moos, R. H., & Billings, A. G. (1982). Conceptualizing and measuring coping resources and processes. In L. Goldberger & S. Breznitz (Eds.), Handbook of stress: Theoretical and clinical aspects (pp. 212-230). New York: The Free Press.
Ribeiro, I. J. S., Pereira, R., Freire, I. V., de Oliveira, B. G., Casotti, C. A., & Boery, E. N. (2018). Stress and quality of life among university student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4(2), 70-77. doi:10.1016/j.hpe.2017.03.002
Shaffer, D. R. (2005). Developmental psychology: Childhood and adolescence (6th ed.), 발달심리학 (송길연, 장유경, 이지연, 정윤경 옮김). 서울: 시그마프레스(원판 2002).
Zinsser, K. M., Christensen, C. G., & Torres, L. (2016). She's supporting them; Who's supporting her? Preschool center-level social-emotional supports and teacher well-being.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59, 55-66. doi:10.1016/j.jsp.2016.09.001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