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보화시대의 외교 - 개념화의 모색
Diplomacy in the Information Age: A Conceptual Approach

한국정치학회보= Korean political science review, v.36 no.3, 2002년, pp.269 - 288, 454  

김상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정보화시대 외교분야의 혁명(RDA, Revolution in Diplomatic Affairs) 연구는 비즈니스분야의 혁명(RBA, Revolution in Business Affairs) 연구나 군사분야의 혁명(RMA, Revolution in Military Affairs) 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주목을 덜 받아온 것이 사실이다. RBA가 1960년대이래 전개되고 있으며 RMA도 1980년대 말부터 본격화되었던 데 반해 1990년대까지도 외교분야에서는 정보화가 지체되었던 현실이 이 분야의 연구가 부진한 가장 큰 원인일 것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세계정치의 차세대혁명으로서 RDA의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서서히 달아오르고 있다. 특히 인터넷의 확산은 외교과정에서 기술과 정보와 지식이 갖는 의미를 재고케 하였으며 더 나아가 외교의 내용과 형식을 양적ㆍ질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근대 외교의 기본전제들을 변화시킬 조짐마저 보여 주고 있다. 이 글은 정보화시대 세계정치의 내용과 본질을 탐색하는 개념적 작업의 일환으로서 정보혁명이 외교에 미치는 영향을 외교과정, 외교영역, 외교주체의 변화라는 세 가지 차원에서 검토하였다. 특히 이 글은 정보화시대 외교의 변화를 개념화함에 있어 국제관계 론에서 제기되고 있는 권력(power)과 거버넌스(governance)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정보화시대 한국외교의 미래전략을 모색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tudies in the Revolution in Diplomatic Affairs (RDA) have lagged far behind those of the Revolution in Business Affairs (RBA) and the Revolution in Military Affairs (RMA). A major reason for this is the fact that the impact of the information revolution had been delayed in diplomatic affairs until ...

주제어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