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내의 여러 TV 드라마 장르에서 여성이 서사의 중심에 위치하면서 여성적 시선을 반영하거나 가부장제적 사회문화에 대항하는 일탈적이거나 전복적인 서사가 생산된다. 이는 과거 드라마의 남성적 욕망에 따른 서사 전략과 남성성을 핵심으로 한 젠더 폴리틱의 변화를 시사한다. 본 연구는 KBS2의 〈소문난 칠공주〉에 대한 텍스트분석과 수용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드라마 장르 중 가부장제 담론을 가장 강하게 내포하는 가정드라마에서의 남녀관계의 젠더 역학의 변화를 고찰해보고자 했다. 먼저, 여성 시청자 29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는 수용자의 연령대, 직업, 결혼여부에 따른 해독의 차이를 그다지 발견할 수 없었으나, 시청자들이 드라마의 전반적인 내용과 여성 캐릭터들의 재현에 비교적 만족하고 있으며 가부장적 요소에는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정신분석학적 페미니즘 이론에 입각한 텍스트분석에서는 〈소문난 칠공주〉가 가정드라마라는 장르적 한계 내에 위치하면서도 여성적 오이디푸스 궤적과 여성간의 연대에 관한 서사 가닥들을 적극적으로 생산하고 있음이 입증되었다. 다양한 현실에 처한 네 자매가 신데렐라 서사를 따라 남성에 기대기보단, 능동적으로 주체적 삶을 꾸려나가며 여성적 정체성을 자각한다는 내용은 기존 드라마의 남성적 오이디푸스 궤적에 대항하는 서사 형식이다. 그리고 드라마는 주로 남성을 축으로 하며 대립하고 분열된 여성적 관계를 구축해온 전통적 서사 관습과는 달리, 모녀관계와 자매애를 위주로 한 여성간의 연대를 통해 남성적 질서와 법인 상징계 내에서 소실된 여성적 봉합체계를 회복하고 드라마에서의 대안적인 여성적 글쓰기의 가능성을 드러낸다.
최근 국내의 여러 TV 드라마 장르에서 여성이 서사의 중심에 위치하면서 여성적 시선을 반영하거나 가부장제적 사회문화에 대항하는 일탈적이거나 전복적인 서사가 생산된다. 이는 과거 드라마의 남성적 욕망에 따른 서사 전략과 남성성을 핵심으로 한 젠더 폴리틱의 변화를 시사한다. 본 연구는 KBS2의 〈소문난 칠공주〉에 대한 텍스트분석과 수용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드라마 장르 중 가부장제 담론을 가장 강하게 내포하는 가정드라마에서의 남녀관계의 젠더 역학의 변화를 고찰해보고자 했다. 먼저, 여성 시청자 29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는 수용자의 연령대, 직업, 결혼여부에 따른 해독의 차이를 그다지 발견할 수 없었으나, 시청자들이 드라마의 전반적인 내용과 여성 캐릭터들의 재현에 비교적 만족하고 있으며 가부장적 요소에는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정신분석학적 페미니즘 이론에 입각한 텍스트분석에서는 〈소문난 칠공주〉가 가정드라마라는 장르적 한계 내에 위치하면서도 여성적 오이디푸스 궤적과 여성간의 연대에 관한 서사 가닥들을 적극적으로 생산하고 있음이 입증되었다. 다양한 현실에 처한 네 자매가 신데렐라 서사를 따라 남성에 기대기보단, 능동적으로 주체적 삶을 꾸려나가며 여성적 정체성을 자각한다는 내용은 기존 드라마의 남성적 오이디푸스 궤적에 대항하는 서사 형식이다. 그리고 드라마는 주로 남성을 축으로 하며 대립하고 분열된 여성적 관계를 구축해온 전통적 서사 관습과는 달리, 모녀관계와 자매애를 위주로 한 여성간의 연대를 통해 남성적 질서와 법인 상징계 내에서 소실된 여성적 봉합체계를 회복하고 드라마에서의 대안적인 여성적 글쓰기의 가능성을 드러낸다.
Recently, deviant and subverted narrative have been produced in various TV drama genres, centering women at the core of narrative, which puts women at the core of narrative, reflects the female gaze, and confronts with patriarchal culture. This means the change of gender politics which centered on t...
Recently, deviant and subverted narrative have been produced in various TV drama genres, centering women at the core of narrative, which puts women at the core of narrative, reflects the female gaze, and confronts with patriarchal culture. This means the change of gender politics which centered on the masculinity and narrative strategy based on male desire as shown in dramas in the past.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dynamics of gender in man-woman relationship in the family drama, which conveys patriarchal discourse in the most powerful fashion. In doing it, I conducted textual analysis and audience survey on 〈Famous Princesses〉 broadcasted on KBS 2. Firstly, the reponses in the survey with 290 woman audience showed, in spite of no remarkable difference in reading depending on audience"s age and occupation and on whether they were married or not, that the audience were satisfied with the general content and representation of female characters to some extent, and that they felt hostile toward some patriarchal elements. On the other hand, textual analysis based on feminist psychoanalytic theory proved that actively produced the narrative related to female oedipal trajectory and female bonding, even though the drama was constrained within some limitation as a family drama. The drama belongs to a narrative form competing against male oedipal trajectory, in that the four sisters facing various reality lived their active, independent life and realized their female identity rather than resting on males as the cinderella story tells. Finally, the drama denies the traditional narrative convention that the inter-female relationship has been formed primarily around males. Instead, the drama recovers inter-female system of the suture, which was lost within male order and "le symbolique", through inter-female bonding centering on mother-daughter relationship and sisterhood, and thus suggests the possibility of alternative I"?riture f?inine in drama.
Recently, deviant and subverted narrative have been produced in various TV drama genres, centering women at the core of narrative, which puts women at the core of narrative, reflects the female gaze, and confronts with patriarchal culture. This means the change of gender politics which centered on the masculinity and narrative strategy based on male desire as shown in dramas in the past.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dynamics of gender in man-woman relationship in the family drama, which conveys patriarchal discourse in the most powerful fashion. In doing it, I conducted textual analysis and audience survey on 〈Famous Princesses〉 broadcasted on KBS 2. Firstly, the reponses in the survey with 290 woman audience showed, in spite of no remarkable difference in reading depending on audience"s age and occupation and on whether they were married or not, that the audience were satisfied with the general content and representation of female characters to some extent, and that they felt hostile toward some patriarchal elements. On the other hand, textual analysis based on feminist psychoanalytic theory proved that actively produced the narrative related to female oedipal trajectory and female bonding, even though the drama was constrained within some limitation as a family drama. The drama belongs to a narrative form competing against male oedipal trajectory, in that the four sisters facing various reality lived their active, independent life and realized their female identity rather than resting on males as the cinderella story tells. Finally, the drama denies the traditional narrative convention that the inter-female relationship has been formed primarily around males. Instead, the drama recovers inter-female system of the suture, which was lost within male order and "le symbolique", through inter-female bonding centering on mother-daughter relationship and sisterhood, and thus suggests the possibility of alternative I"?riture f?inine in drama.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