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타르코프스키의 『거울』에 나타난 시간의 형상화에 대한 질 들뢰즈적 분석
A Deleuzian Analysis of Time in Tarkovsky"s “Mirror”

노어노문학 = Korean journal of Russian language and literature, v.22 no.2, 2010년, pp.301 - 336  

김현영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타르코프스키의 시간의 미학이 그의 자전적 영화인 『거울』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를 질 들뢰즈의 영화이론을 바탕으로 다양한 각도에서 연구 분석한 것이다.

제1부에서는 타르코프스키의 저서 『봉인된 시간』을 중심으로 타르코프스키 영화미학의 핵심인 시간론에 대하여 영화와 시간의 관계, 시간의 예술로서의 영화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우리는 타르코프스키의 시간론을 그의 몽타주에서도 엿볼 수 있었고, 영화에 대한 관념과 삶의 철학에서도 발견할 수 있었다. 그에게 있어서 시간은 인간이 존재하고, 자아를 형성하고 실현하기 위한 절대적인 필요조건으로, 시각예술인 영화의 본질 또한 이미지 안에 “시간을 빚어내는 것”이었다.

제2부에서는 타르코프스키의 작품 중에서 가장 난해하다고 평가받는『거울』에 대하여 작품의 시간구성과 인물구성 면에서 자세히 분석해 보았다. 한 남자의 회상을 바탕으로 현재와 과거 그리고 현실과 꿈이 뒤섞인 여러 시퀀스에서 우리는 리얼리즘적 서사를 구축하는 객관화된 시간구조를 발견할 수 없었다. 『거울』은 감각적 관찰과 현실적 경험으로 얻어진 인과관계로 연결되지 않은, 고전적 서사구조가 해체된 영화인 것이다. 그러나 언뜻 보기에 비합리적으로 보였던 시간의 배열이 사실은 매우 치밀한 계산 하에 이루어졌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과거와 현재가 대칭을 이루면서 전개되는 각 시퀀스는 엔딩 시퀀스에서 과거와 현재, 꿈과 현실이 모두 융합되면서 결말을 맺게 된다. 인물 구성면에 있어서는 아버지-어머니-아들의 관계가 현재와 과거라는 두개의 시간 층에서 반복되고 있었다. 거울로 반사한 듯 서로를 반영하는 인물설정은 한 배우가 두 역할을 연기한다는 영화적 장치로 인해 강조되면서, 서사구조의 엉킴과 더불어 현실과 비현실 사이에서 혼란을 야기하고 있었다. 『거울』은 한 사람(알렉세이)의 어린 시절을 다른 사람(이그나트)의 어린 시절 속에서 발견하는 현상을 묘사한 영화임과 동시에 전기적 요소가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에 걸쳐 반복되어 나타남으로 해서 개인의 존재가 시간과 융합됨을 표현한 영화라고 할 수 있다.

제3부에서는 사유를 위한 매체로서의 영화를 지지했던 질 들뢰즈의 이론을 바탕으로 『거울』의 인물구성, 그리고 현재와 과거 회상, 꿈 장면들의 관계를 거울-이미지, 회상-이미지, 꿈-이미지라는 개념을 통해서 고찰하였다. 그 결과 회상 및 꿈이라는 잠재태와 현재라는 현실태와의 구별이 모호해짐과 동시에, 전자가 후자의 특징을 드러내고 또 후자가 전자의 위치에 서게 되면서, 잠재태와 현실태, 과거와 현재, 지각과 기억이 서로가 서로를 반영하고 흡수하고 있는 결정체-이미지를 찾을 수 있었다. 질 들뢰즈에 따르면 결정체-이미지는 그 안에서 시간을 직접적으로 드러내는 시간-이미지 영화의 대표적 특징이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서 우리는 주인공의 의식의 흐름에 따른 시간의 자의적 재배열과 비논리적 이미지로 가득 찬 『거울』 안에서 질 들뢰즈가 말하는 시간이 현시됨을 볼 수 있었다. 시간의 현시는 타르코프스키 영화시학의 핵심이다. 단순한 회상에 머무르지 않고 시간성 그 자체를 형상화한 『거울』은 타르코프스키의 이상적인 영화개념이 구현된 작품임에 틀림없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thesis studied and analyzed, from various angles, how Tarkovsky’s theory of time was embodied in his autobiographical movie “Mirror”. The first part of the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vies and time and the movie itself as an art of time, focusing on “Sculpting Time” written by...

주제어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