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ontributions of the Radiocarpal and Midcarpal Jointin Flexion-extension Motion of Wrist

大韓整刑外科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v.41 no.2, 2006년, pp.315 -   

Kim, Jae Kwang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  Jung, Moon Sang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  Baek, Goo Hyu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  Kim, Joon Bae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  Gong, Hyun Sik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  Lee, Sang Ki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  Lee, Young Kyu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손목 관절의 굴신 운동을 각각 초기, 중기, 후기로 나누어 각각의 운동 범위에서 중수근 관절과 요 수근 관절이 전체 운동각 중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측정함으로써 손목 관절의 운동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5명의 정상 성인 남자의 손목 관절 10예에 대하여 중립 위치, 굴곡 30도, 굴곡 60도, 굴곡 90도, 신전 30도, 신전 60도, 신전 90도의 위치에서 손목 관절 측면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여 중립위에서 30도까지의 운동, 30도에서 60도까지의 운동, 60도에서 90도까지의 굴신 운동 시 중수근 관절과 요 수근 관절이 각각 차지하는 비중을 평가하였다.

결과: 굴곡 운동 시에는 중수근 관절이 각각 65%, 72%, 71%로 초기, 중기, 후기 전 과정에서 요 수근 관절에 비하여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신전 운동 시에는 중수근 관절이 차지하는 비중이 37%, 53%, 78%로 초기에는 요 수근 관절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고 후기에는 중수근 관절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았다.

결론: 손목 관절의 굴신 운동 시, 요 수근 관절의 움직임은 주상골의 연결봉 역할 이외에도 중수근 관절의 고유한 관절 면 형태 및 주변 인대들의 상호 관계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주상골의 연결봉으로서의 역할은 굴곡 시에는 초기부터 작동하는 반면, 신전 시에는 후기에 작통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Flexion and extension of the wrist occurs at the radiocarpal and midcarpal joints. This study examined the angular contribution of the radiocarpal and midcarpal joints to the total arc of motion. Materials and Methods: Five healthy adults were selected and ten wrists were tested. Lateral X-...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