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경기도 주민들에 대한 삶의 질을 측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를 인구 50만 명 이상의 대도시와 50만 명 미만의 중소도시로 세분화 하였고, 삶의 질 관련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6대 부문(주거환경, 교육ㆍ문화, 교통, 일반 행정, 사회복지, 공공안전) 34가지 지표를 설정하였다. 또한 지표들에 상대적인 우선순위를 부여하기 위해 각 분야 전문가들의 의견조사를 통해 가중치를 부여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주거환경, 교통, 공공안전 부문에서는 대도시의 삶의 질이 중소도시보다 나은 것으로, 일반 행정 부문에서는 중소도시의 삶의 질이 대도시보다 조금 더 나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양자 간 차이는 크지 않았다. 그리고 교육ㆍ문화 부문에서는 중소도시의 삶의 질이 대도시보다 조금 더 나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양자 간 차이는 크지 않았으며, 사회복지 부문에서는 중소도시의 삶의 질이 대도시보다 조금 더 나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양자 간 차이는 크지 않았다.
따라서 대도시와 중소도시 간 삶의 질 격차를 완화하기 위해 삶의 질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욕구에 적절한 정책적 대응을 할 수 있도록 예산을 배정해야 한다. 특히 대도시보다는 중소도시를 배려한 지속적인 관심과 정책집행을 수행함으로써 대도시와 중소도시 간 삶의 질에 대한 격차를 완화시킬 필요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 연구는 경기도 주민들에 대한 삶의 질을 측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를 인구 50만 명 이상의 대도시와 50만 명 미만의 중소도시로 세분화 하였고, 삶의 질 관련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6대 부문(주거환경, 교육ㆍ문화, 교통, 일반 행정, 사회복지, 공공안전) 34가지 지표를 설정하였다. 또한 지표들에 상대적인 우선순위를 부여하기 위해 각 분야 전문가들의 의견조사를 통해 가중치를 부여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주거환경, 교통, 공공안전 부문에서는 대도시의 삶의 질이 중소도시보다 나은 것으로, 일반 행정 부문에서는 중소도시의 삶의 질이 대도시보다 조금 더 나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양자 간 차이는 크지 않았다. 그리고 교육ㆍ문화 부문에서는 중소도시의 삶의 질이 대도시보다 조금 더 나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양자 간 차이는 크지 않았으며, 사회복지 부문에서는 중소도시의 삶의 질이 대도시보다 조금 더 나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양자 간 차이는 크지 않았다.
따라서 대도시와 중소도시 간 삶의 질 격차를 완화하기 위해 삶의 질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욕구에 적절한 정책적 대응을 할 수 있도록 예산을 배정해야 한다. 특히 대도시보다는 중소도시를 배려한 지속적인 관심과 정책집행을 수행함으로써 대도시와 중소도시 간 삶의 질에 대한 격차를 완화시킬 필요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quality of life in the residents of Gyeonggi province. For this purpose, it classifies cities in the area into two groups: large ones having more than 500,000 residents, and small and medium ones holding less than such population. Then, based on the previous literatur...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quality of life in the residents of Gyeonggi province. For this purpose, it classifies cities in the area into two groups: large ones having more than 500,000 residents, and small and medium ones holding less than such population. Then, based on the previous literature on the quality of life it identifies total 34 indexes in the six policy areas (residential environment, education·culture, transportation, general administration, social welfare, and public safety). In addition, these indexes are given different weight depending on experts" opinions, being allowed various priorities. The results show that in the areas of residential environment, transportation, and public safety the quality of life in large cities is better than that in small and medium ones. However, in the general administration, education·culture, and social welfare areas the quality of life in small and medium cities is better than that in large ones,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s small.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quality of life in the residents of Gyeonggi province. For this purpose, it classifies cities in the area into two groups: large ones having more than 500,000 residents, and small and medium ones holding less than such population. Then, based on the previous literature on the quality of life it identifies total 34 indexes in the six policy areas (residential environment, education·culture, transportation, general administration, social welfare, and public safety). In addition, these indexes are given different weight depending on experts" opinions, being allowed various priorities. The results show that in the areas of residential environment, transportation, and public safety the quality of life in large cities is better than that in small and medium ones. However, in the general administration, education·culture, and social welfare areas the quality of life in small and medium cities is better than that in large ones,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s small.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