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환경재난 영화에서의 공포의 재현 방식
The Representation of Fear in the Natural Disaster Film: The Example of 〈Haeundae〉, 〈Nihon chinbostu〉 and 〈2012〉

인문콘텐츠 = Humanities contens, 2011 no.22 = no.22, 2011년, pp.137 - 161  

강윤주 ,  윤종욱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1년 3월 일본을 덮친 쓰나미 사태에서 드러나듯이 사람들이 환경재난 상태에서 갖게 되는 공포는 자연재해에 대한 1차 공포와 그 이후 사태 수습에 있어서 갖게되는 2차 공포, 즉 정보의 부재와 안전망으로부터의 배제에서 오는 사회적 공포로 나눌 수 있다. 이 글은 비교적 최근에 제작된 대작 환경재난 영화 「해운대」(한국, 2009), 「일본침몰」(일본, 2006), 「2012」(미국, 2009)의 분석을 통해 1차 공포와 2차 공포가 이들 영화 속에서 어떻게 재현되었는지에 대해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글에서 내러티브 분석은 2차 공포를, 재현 양식 분석은 1차 공포를 중점적으로 살펴보게 된다.

  분석 영화의 내러티브 상의 공통점으로는 먼저, 정부와 지식인, 그리고 지식인의 가족이 스토리 중심선 상에 놓이며 생존자와 사망자에 있어서도 일정한 유사점을 보인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아이들은 대부분 생존하며 나이 든 이들이자 최고위층격인 사람들(마을 유지, 일본 총리, 미 대통령 및 이탈리아 총리)은 죽음을 당한다. 사회적 공포는 영화 속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이야기되고 있는데, 주목할 점은 정치가들은 철저히 계층의 이해관계를 따르며, 지식인 계층은 (종종) 이기적인 모습으로 그려진다는 사실이다. 이에 대한 해결과 항거의 방식으로 제시되는 것이 사회적 희생이다. 사회적 희생은 ‘사회적 공포’를 극복하는 기제로서 작동한다. 작게는 가족관계 내에서의 희생과 사랑, 크게는 민족 혹은 인류 모두를 위한 ‘사회적 희생’이 ‘사회적 공포’의 대척점에 서 있다고 볼 수 있다. 대의를 위한 희생이라는 차원의 숭고한 죽음은 자연재해가 공포의 대상이 아니라 자기 고양의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하는 듯이 보인다. 이렇듯 환경재난 영화가 보여주는 휴머니즘, 혹은 가족애는 불가항력적 자연 재앙에 인간으로서 유지할 수 있는 마지막 품위로 그려지는데, 다소 강박적이기도 한 동시에 그런 만큼 환경재난 영화에 있어 필수불가결한 감동의 요소가 된다.

  스펙터클과 내러티브의 관계를 중점적으로 살펴 본 재현 양식 분석에서는 세 영화의 차이가 두드러졌다. 「2012」의 경우 전형적인 롤러코스터 영화로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스펙터클 장면이 삽입될 뿐만 아니라 이 장면의 숭고함, 유토피아적 성격을 느끼는데 방해가 될 무고한 죽음은 가능한 한 배제한다. 「일본침몰」은 기술 스펙터클의 완벽하고 매혹적인 재현보다는 내러티브 상에서 비중 있는 인물을 통해 애향심을 강조함으로써 자연재해로 인한 국가의 위기도 개인의 희생을 통해서 극복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설득력 있게 전개하고자 노력한다. 스펙터클과 내러티브가 긴밀히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도 이러한 전략의 일부로 볼 수 있다. 재난 스펙터클의 규모와 상상력이 가져다주는 숭고미라는 측면에서는 할리우드 대작과 승부하기 어려운 「해운대」의 경우, 재난 스펙터클의 빈도가 낮은 대신 코미디나 멜로드라마 같은 다른 장르영화의 특성을 가미함으로써 재난영화로서는 전형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관객의 감성을 자극한다. 재난이 다양한 층위의 갈등을 해소하는 기제로 사용되었다는 점도 「해운대」의 특징이다.

  여기에서 분석한 세 편의 대작 환경재난 영화는 사회적 공포와 희생을 강조함으로써 일반인들이 느끼는 재난과 그 이후에 대한 실제적 불안을 상상적으로 해소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런 관점에서 보았을 때 이들 영화가 환경재난과 이에 따른 공포를 묘사하고 있지만, 재난에 대한 경고보다는 봉합과 화해의 메시지를 전달하는데 집중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환경재난 영화가 자본 집약적 장르라는 특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tsunami disaster in Japan, which took place in March 2011, has shown that there are two different aspects of the fear experienced by people in the face of natural disaster: the primary fear about the disaster itself and the secondary fear about their impact and aftermath. In the case of latter...

주제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