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돈사(豚舍) 유형에 따른 악취 물질의 농도 분포 특성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odorous compounds concentrations according to type of pig buildings

한국냄새환경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dor research and engineering, v.12 no.1, 2013년, pp.27 - 37  

김기연 ,  최정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11년 7월부터 2012년 6월까지 총 1년 기간 동안 매월 현장 방문 조사를 통해 돈사 유형에 따른 현행 국내 악취 규제 대상 22가지 물질들의 월별 및 계절별 실내 농도 분포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조사대상 돈사 유형 및 측정 시점에 상관없이 악취 물질별 실내 농도 수치는 ammonia가 ppm 수준으로 측정되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황계열 물질 중 hydrogen sulfide, 휘발성 유기화합물 중 methyl ethyl ketone, 지방산류 중 propionic acid와 butylic acid가 백단위 수준의 ppb로 측정되었으며, 나머지 물질들은 십단위수준의 ppb로 측정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22가 악취 물질 중 알데히드류 5가지 물질들(acetaldehyde, propionalde-hyde, butyraldehyde, n-valeraldehyde, i-valeraldehyde)은 어떠한 측정 시점에서도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반적인 악취 물질들의 돈사 유형별 분포 현황은 분뇨 처리 형태 측면에서는 스크레퍼>슬러리>컨베이어, 환기 방식 측면에서는 무창>윈치의 농도 분포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월별 및 계절별 농도 추이 측면에서는 돈사 환기율이 감소하는 겨울철(12~1월)이 돈사 환기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여름철(6~8월)보다 돈사내부의 악취 물질 농도가 높게 형성됨을 알 수 있었고, 봄철(3~5월)과 가을철(9~11월)은 유사한 수준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측정 결과에 근거를 두면 22가지 악취 물질들 모두 돈사 유형, 월별, 계절별 간 농도 수치의 편차가 상당히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현장 조사 특성상 측정 당일의 다양한 주변 환경 요인들의 변화에 의한 결과로 추정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돈사 악취 발생 강도를 결정하는 주요 인자인 온도와 상대습도를 동시에 모니터링하지 못한 점이고, 이로 인해 돈사 실내의 온/습도와 악취 물질 농도간의 통계적 상관관계를 본 연구에서는 규명할 수 없었다. 따라서 향후에는 돈사 악취 원인 물질들의 발생 농도와 돈사 내부의 온도 및 상대습도 간 상관성을 파악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요구되는 바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 objectives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door concentrations of 22 odorous compounds, which are regulated by the domestic act, emitted from pig buildings through on-site visit per month from July, 2011 to June, 2012. Of 22 odorous compounds, the highest concentration was found in ammonia wi...

주제어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