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식민지 시대 소설 속 해수욕장의 공간 표상
The Representation of The Beach In Modern Korean Novels at the Age of Colony

人文硏究, no.58 = no.58, 2010년, pp.157 - 188  

김주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고는 식민지 근대 사회에 새로이 건설된 취미 휴양 공간으로서 해수욕장이 소설 속에서 어떻게 재현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고대 사회에서 신성한 것으로 간주된 바다는 근대 사회에 이르러 항해 정복의 공간인 항구와, 소비 휴양의 공간인 해수욕장으로 재편된다. 항구가 공적 계몽과 합리성에 입각한 로고스-근대성과 결부된 공간이라면, 해수욕장은 여가를 통해 사적 욕망의 만족을 추구하는 에로스-근대성의 공간이다. 식민지 시대 해수욕장은 소비 향락 공간인 동시에 제국의 지배를 환기하는 공간이기도 했다. 해수욕장은 청춘의 활기가 약동하고 부르주아 로맨스가 가능한 세련된 취미 향유 공간으로 자리함으로써 이태준의 <화관>이나 김말봉의 <밀림>, 이광수의 <애욕의 피안>이나 <사랑> 등 식민지 시대 장편소설에서 매력적인 장소로 부각된다. 이들 소설에서 해수욕장은 피식민 부르주아 주체가 제국의 부르주아 문화를 수입하고 모방하는 핵심적인 공간으로 자리한다. 식민지 시대 소설에서 해수욕장은 여성이 자신의 몸을 전시하는 공간이기에 부정적이다. 하지만 <애욕의 피안>이나 <사랑> 등에서는 위생이나 건강 담론과 결부되어, 순결하고 미학적인 자연풍경이 펼쳐짐으로써 정화와 치유가 가능한 공간으로 그려지기도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at the beach as a new space for taste and recreation at the age of colony was represented to in modem Korean novels. The sea regarded as something lofty at ancient times was reorganized into a port for navigation and conquest, and into a beach for consumption and r...

Keyword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