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아동의 그림일기에 나타난 글과 그림 간의 의미 구성 방식
An Analysis of Meaning Construction between Texts and Pictures in Children's Picture Diaries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4 no.4, 2013년, pp.163 - 177  

서수현 (광주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  옥현진 (이화여자대학교 초등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igital technology has advanced rapidly and it is anticipated that multimodal ways of meaning-making will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Consequently, teaching multimodal literacies is becoming a major issue in educa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use of picture diaries as a means of teaching multi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구술 내러티브가 화자 스스로나 제3자의 의미(경험과 사유)를 음성언어와 각종 비언어적 표현을 통해 구성해 내는 방식이라면, 이 연구에서 관심을 두고 있는 그림일기는 정지된 그림과 문자언어를 통해 의미를 구성하는 방식이다. 이 연구에서는 내러티브의 기본 요소인 인물, 사건, 배경을 중심으로 하여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그림일기 텍스트에 나타난 글과 그림의 의미 구성 방식을 분석하고자 한다.
  •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맥락에서 초등학교 1학년에 갓 입학한 아동들의 그림일기를 토대로 하여 글과 그림 간에 의미 구성이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분석하고 이를 통해 복합양식 문식성 교육을 보다 체계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 그림일기에 주목하는 것은 크게 다음 두 가지 이유에서이다.
  •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1학년 아동들의 그림일기를 통해 문식성 초기 발달 단계에서 나타나는 복합양식 의미 구성의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림일기는 하루에 있었던 일을 기술한다는 점에서 내러티브의 한 형태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이 연구에서는 내러티브의 구성요소인 인물, 사건, 배경을 중심으로 그림일기의 글과 그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 연구자들은 연구 시작 전에 연구 대상 학급의 담임교사를 수차례 만나 연구의 목적과 자료 수집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1학년 아동들이 그림일기라고 하는 독특한 표현 장르에서 글자와 그림이라는 기호를 이용해 의미를 구성하는 방식에 관심을 두었기 때문에 아동들의 그림일기 제작5) 과정에 교사가 개입할 필요가 없다는 점을 설명하고, 또 가정에서 그림일기를 제작할 경우 부모들의 개입을 확인하기 힘들기 때문에 아동들이 학교에서 수업 시간이나 쉬는 시간을 이용해 그림일기를 제작할 수 있도록 요청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그림일기의 구성요소인 글과 그림은 어떤 공통점이 있는가? 이 연구에서 그림일기는 ‘글과 그림이 불가 분의 관계에 놓인 하나의 단위로, 그 내부에서는 글도 그림도 보조적인 기능이나 삽화적인 기능을 가지지 않는'(Nerlich, 1990:2) 아이코노텍스트(iconotext)로 규정된다. 그림일기의 구성요소인 글과 그림은 대상을 형상화하여 의미를 전달하는 표현 방법이라는 점, 그 의미는 맥락에 의존할 때에 확정될 수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갖는다. 그러나 한편으로 도상 기호(icon sign)인 그림이 대상을 표상하는 가시성이라는 특성을 갖는 데에 비해, 관습 기호인 글은 대상에 대해 이야기하는 비가시성이라는 특성2)을 갖기 때문에, 이 두 대상은 서로 다른 의미를 전달하기도 한다.
그림일기란? 그림일기는 문식성 발달의 초기 단계에 있는 아동이 하루의 일과를 되돌아보며 기억할 만한 사건을 글과 그림을 통해 나타내는 독특한 표현 장르이다. 그림일기는 아동이 본격적인 문자언어 중심의 표현 활동, 즉 글쓰기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겪는 인지적․정의적 어려움을 좀 더 쉽게 극복할 수 있도록 돕는 동시에 그림을 통한 표현 능력을 지속적으로 발달시킬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Martinec과 Salway(2005)는 글과 그림의 결합 관계를 어떻게 세분화하여 설명하는가? Martinec과 Salway(2005)는 앞서 언급한 정박과 중계의 개념과 함께 Halliday(1994)가 제안한 개념인 체계와 논리적․언어적 관계에 기반하여 글과 그림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글과 그림의 의미가 결합하는 관계를 대등한 관계와 대등하지 않은 관계로 대별한 후, 다시 대등한 관계는 글과 그림이 독립적인 관계와 글과 그림이 상호 보완적인 관계로, 대등하지 않은 관계는 그림이 글에 종속된 관계와 글이 그림에 종속된 관계로 세분화하고 있다. 또한 그림과 글의 논리 의미 관계를 확장과 투사로 대별한 후, 확장은 정교화3), 확대, 심화4)로, 투사는 발화와 관념으로 세분화하고 있다. 글과 그림의 관계를 탐색한 이들 연구는 사람들이 일상에서 흔히 접하는 복합양식 텍스트의 성격과 기능을 이해하는 데에 기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yun, Y. H., & Hyun, E. J. (2002). Semiotic analysis of words and pictures in picture books.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2(2), 339-362. 

  2. Brandts, D. (1998). Sponsors of literacy.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49(2), 165-185. 

  3. Cho, K. K. (2010). Von der Textlinguistik zur Textsemiotik - Ein integrativer Ansatz zur Analyse von sprachlich-bildlichen Texten. Germanistik, 115, 275-301. 

  4. Choi, K. E. (2005). Die Entwicklung der Medien und die Veranderung des Text-Begriffs. Koreanische Zeitschrift fuer Deutschunterricht, 34, 251-268. 

  5. Choi, Y. H. (2004). La typologie du rapport entre langage et image. Semiotic Inquiry, 16, 425-447. 

  6. Cope, B., & Kalantzis, M. (Eds.). (2000). Multiliteracies : Literacy learning and the design of social futures. New York : Routledge. 

  7. Fang, Z. (1996). Illustrations, text, and the child reader : What are pictures in children's storybooks for? Reading Horizons, 37, 130-142. 

  8. Halliday, M. A. K. (1994). An introduction to functional grammar (2nd ed.). London : Arnold. 

  9. Hyun, E. J., Kang, E., J., Byun, Y. H., & Shim, H. B. (2004). Reading pictures of picturebooks. Seoul : Marubeol. 

  10. Hyun, E. J., Park, S. Y., & Cho, M. H. (2011). Young children's literary responses to the realistic picture books reflecting the current social issues. Journal of Children's Literature and Education, 12(2), 75-99. 

  11. Jewitt, C., & Kress, G. (2003). A multimodal approach to research in education. In S. Goodman, T. Lillis, J. Maybin, & N. Mercer (Eds.), Language, literacy, and education : A reader (pp. 277-293). Stoke on Trent, UK : Open University. 

  12. Joung, Y. H. (2008). Wechselbeziehung von Text und Bild - mit Bezug auf die mediale berlagerung und Transformation vom Zeichen der Schrift. The Comparative Study of World Literature, 22, 177-201. 

  13. Kang, B. C. (2012). Multimodale Metaphern in der Werbeanzeige als Sprache-Bild-Text - Am Beispiel der Finanzwerbung in Der Spiegel. Germanistik, 122, 5-28. 

  14. Kim, I. S. (Ed.). (1993). Image and writing. Seoul : Segyesa. 

  15. Lee, C. S., Cho, K. S., & Hyun, E. J. (2011). The Effects of the literature program using information picture book or narrative picture book activities on preschoolers' writing ability and social competence.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67, 167-191. 

  16. Martinec, R., & Salway, A. (2005). A system for image?text relations in new (and old) media. Visual Communication, 4(3), 337-371. 

  17.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 Korean Language Arts curriculum. Seoul :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18.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2). 2011 national reading survey. Seoul :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19. Nerlich, M. (1990). Qu'est-ce qu'un Iconotexte? in Iconotexte, Paris : Ophrys. 

  20. Nikolajeva, M., & Scott, C. (2000). The dynamic of picturebook communication. Children's Literature in Education, 31(4), 225-239. 

  21. Nikolajeva, M., & Scott, C. (2001). How picturebooks work. New York : Routledge. 

  22. OECD (2011). PISA 2009 results : Students online. Paris : OECD. 

  23. Ok, H., & Seo, S. H. (2011). Analysis of the first graders' multimodal literacy practices in picture diary composition. Journal of Elementary Korean Education, 46, 219-243. 

  24. Park, I. W. (1995). Text and image. Semiotic Inquiry, 1, 383-407. 

  25. Ryu, E. (2010). Logic of discourse : From oral performance to digital-storytelling. Foreign Literature Studies, 39, 77-98. 

  26. Schwarcz, J. H. (1982). Ways of the illustrator : Visual communication in children's literature. Chicago :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27. Seo, S. H., & Ok, H. (2012). Analysis of the patterns of literacy sponsorship in the first grader's picture diary composition. Journal of Elementary Korean Education, 48, 63-85. 

  28. Shim, H. B., & Hyun, E. J. (2010). The nature of young children's informational picturebook reading.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1(3), 33-49. 

  29. Shin, M. S. (2000). Cultural meaning of advertising text and Korean educa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103, 79-10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