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SSHA 모형을 이용한 경안천 유역의 물순환 해석
The water cycle analysis of Kyeongancheon-watershed by using GSSHA 원문보기

한국수자원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2005 May 01, 2005년, pp.75 - 79  

장철희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  김현준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  노성진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  김철겸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GSSHA(Gridded Surface Subsurface Hydrologic Analysis) 모형은 미 공병단 연구개발센터(USACE ERDC; US Army Corps of Engineers Engineering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체서 개발된 물리적인 개념의 공간 분포형(PBSD; Physically Based Spatially Distributed) 수문모형으로, CASC2D 모형(Ogden 와 Julien, 2002; Downer 등, 2002)을 개선, 확장한 모형이다. GSSHA 모형의 실행에는 Brigham Young 대학의 컴퓨터그래픽공학연구실에 의해 개발된 미 국방성 WMS(Watershed Modeling System)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며, 이를 통해 많은 입력과 출력조건을 가지는 분포형 모형의 복잡한 모의 과정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GSSHA 모형을 이용하여 경안천 유역의 물순환 양상을 분석하였다. GSSHA 모형은 유역을 균일한 유한 차분 격자로 나누어 각각의 격자를 기본 단위로 모의한다. 모형의 주요 모의 모듈은 강우 분포, 융설, 차단, 침투, 증발산, 지표면 저류, 2차원 표면류 추적, 1차원 하도 추적, 불포화 층 모의, 2차원 포화 지하 대수층 흐름, 지표면 유사 침식, 하천 유사 추적 등이 포함된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하천망의 구성을 위해서는 각하천의 상 . 하류 연결 정보, 하천길이 등이 필요하며, 이들 자료는 "경안천수계하천정비기본계획 (경기도, 2001)"을 이용하여 보완하였다. 하천망 자료뿐만 아니라 주요 구간에 대한 하천 단면 자료도 필요하다.
  • 경안천 대상 유역에는 광주, 모현, 포곡, 용인, 운학 등 5개의 우량 관측소가 위치하고 있으며, 자기 우량계를 이용하여 시간별 강우량 자료를 수집하고 있다. GSSHA 모형을 적용하기 위하여 5개의 우량 관측소에서 측정된 일별 강우량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Thiessen 망을 작성하여 강우량의 공간적 분포를 고려하였다.
  • 그러나 유역에서 실측하거나 관련 자료로부터 얻을 수 있는 매개 변수의 값이 제한적이거나, 또는 획득 가능한 자료가 없는 경우에는 유역 출구점에서 조사된 하천 유량 자료를 이용하여 모형의 매개변수 보정을 실시한다. 매개 변수 보정은 유량 관측 자료가 양호한 1988년부터 1991년까지의 일별 하천 유량 자료를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모형의 초기화를 위해 1987년부터 GSSHA 모형을 구동하였다. 매개변수의 정확한 추정을 위해 관련 자료를 계속적으로 수집, 검토하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더욱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 이용하여 입력자료를 구축하고, 모형을 적용하여 물순환 성분을 평가하였다. 모형의 보정 및 검정은 경안 수위 표의 일별 하천 유량자료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모형의 적용 결과, 실측 유량과 모의 유량이 일치하고 있으며, 실제 하천 유량의 장기적인 분포를 잘 모의하고 있었다.
  • 분포형 수문 모형인 GSSHA 모형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유역 면적 260W인 경안천 상류 유역을 대상 유역으로 선정하여 공간 자료와 시계열 자료로부터 입력자료를 구축하였으며, 유역의 출구점 (경안 수위 표)에서 실측된 하천 유량 자료를 이용하여 매개 변수 보정을 실시하였다. 실측 유량과 모형에 의해 추정된 유량을 비교한 결과, 서로 잘 일치하고 있었으며, 앞으로 계속적인 자료 수집과 매개 변수 보정을 통해 추정 결과의 정확도를 높일 계획이다.
  • 토지이용 자료는 NGIS사업으로 구축된 토지이용현황도를 이용하여, 그림3과 같이 임야, 논, 밭, 도시 등 4개로 구분하였으며, 임야는 활엽수림, 침엽수림 및 혼요림으로 다시 세분하였다. 토지이용자료는 차단량이나 증발산량의 추정에 이용되며, 토지이용에 따라 필요한 매개 변수의 값은 문헌조사를 통하여 선정하였다.
  • 구분하였으며, 임야는 활엽수림, 침엽수림 및 혼요림으로 다시 세분하였다. 토지이용자료는 차단량이나 증발산량의 추정에 이용되며, 토지이용에 따라 필요한 매개 변수의 값은 문헌조사를 통하여 선정하였다.

대상 데이터

  • 하천망 자료뿐만 아니라 주요 구간에 대한 하천 단면 자료도 필요하다. 하천단면 자료는 "경안천수계하천정비기본계획 (경기도, 2001)"의 주요 단면에 대한측량자료를 이용하여 각각 구성하였다. 주요 구간의 선정은 하천의 합류점이나 구조물의 설치 지점, 하천 개 .
  • GSSHA 모형의 구동을 위한 기상자료는 강우량과 증발량 자료 등이 있다. 경안천 대상 유역에는 광주, 모현, 포곡, 용인, 운학 등 5개의 우량 관측소가 위치하고 있으며, 자기 우량계를 이용하여 시간별 강우량 자료를 수집하고 있다. GSSHA 모형을 적용하기 위하여 5개의 우량 관측소에서 측정된 일별 강우량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Thiessen 망을 작성하여 강우량의 공간적 분포를 고려하였다.
  • 지표류의 흐름 방향 및 유속은 지표면의 지형특성에 의해 결정된다. 경안천 유역의 유역 경계 및 지형자료는 환경부에서 구축한 30 m의 DEM으로부터 추출하였으며, 200x200 m의 계산 격자를 이용하여 구축하였다. 경안천 유역의 DEM 및 경사도는 그림 1, 2와 같다.
  • 보수 등으로 인하여 단면의 급격한 변화가 있는 곳 등을 기준으로 하여 선정하였다. 또한, GSSHA 모형의 수치 계산을 위하여 경계조건 등이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경안수위 표 지점의 수위자료를 하부 경계 자료로 이용하였다.
  • 주요 구간의 선정은 하천의 합류점이나 구조물의 설치 지점, 하천 개 . 보수 등으로 인하여 단면의 급격한 변화가 있는 곳 등을 기준으로 하여 선정하였다. 또한, GSSHA 모형의 수치 계산을 위하여 경계조건 등이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경안수위 표 지점의 수위자료를 하부 경계 자료로 이용하였다.
  • 반면에 격자의 크기가 커질수록 다양한 정보가 하나의 격자 안에서 평균화되어 나타나므로 분포형모형의 특성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지만 계산시간이 빠르며 입력자료의 구축이 상대적으로 용이하다. 연구에서는 200x200 m 격자를 지표면 격자로 이용하였다.
  • 5 km이며, 유역 면적은 560 kitf이며, 크게 경안천 유역과 곤지암천 유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광주시(구)경안교에 위치하고 있는 경안수위 관측소 지점을 유역 출구점으로 하는 경안천 상류 유역을 대상 유역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유역의 전체 면적은 260 lotf이다.
  • 하천단면 자료는 "경안천수계하천정비기본계획 (경기도, 2001)"의 주요 단면에 대한측량자료를 이용하여 각각 구성하였다. 주요 구간의 선정은 하천의 합류점이나 구조물의 설치 지점, 하천 개 . 보수 등으로 인하여 단면의 급격한 변화가 있는 곳 등을 기준으로 하여 선정하였다.
  • 토양 자료는 농촌진흥청의 정밀 토양도를 이용하여 그림 4와 같이 구축하였다. 토양 자료는 토양 중의 수분 흐름을 모의하기 위하여 필요한 투수계수, 포장용 수량 등을 정의하는데 이용되며, 각 토양별 현장조사나 문헌 조사를 통하여 적절한 매개 변수를 선정하여야 한다.

이론/모형

  • GSSHA 모형에서 하도 추적은 1차원 하천 흐름에 대한 확산 파 방정식 (diffusive wave equation)을 Preissmann 하천 추적 루틴(Cunge 등, 1980)을 이용하여 모의하며, 사류(supercritical flow), 상류(subcritical flow), 천이류(transcritical) 조건에 대한 모의가 가능하다.경안천에 대한 하도 추적을 위하여 하천망의 구성, 하천구간별 하천단면, 상.
  • 본 연구에서는 유역의 물순환 평가를 위하여 분포형 유출 모형의 하나인 GSSHA 모형을 선정하여 경안천 상류 유역에 적용하여 그 적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경안천은 동경 12710' 47''~ 12714' 40", 북위 37 1T 8''~3721' 1"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한강의 제 1지류로서 경기도 용인시에서 발원하여 광주군 퇴촌면에서 팔당호로 유입된다.
  • 본 연구에서는 유역의 물순환을 평가하기 위하여 경 안천 유역을 대상 유역으로 선정하였으며, GSSHA 모형을 이용하여 입력자료를 구축하고, 모형을 적용하여 물순환 성분을 평가하였다. 모형의 보정 및 검정은 경안 수위 표의 일별 하천 유량자료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