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도시부 도로에 대한 서비스 수준 평가는 통행속도, 지체 등과 같은 정략적인 부분만을 고려하였다. 하지만 도시부 도로를 이용하는 운전자들은 정량적인 부분이외에도 도로의 청 결, 타운전자의 법규위반 등의 정성적인 측면에도 영향을 받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량적인 부분과 정성적인 부분을 함께 고려하여 평가지표를 도출하고, 서비스 측면의 개선사항 도출시 주로 경영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기법을 변형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변형 된 IPA 분석 기법은 분석대상 및 항목간 상대적 수준을 반영하여 서비스 수준이 평가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사례분석 지역으로 서울시 강남 3개구, 강북 3개구를 선정하여 도시부 도로의 서비스 질 평가가 수행되었으며, 변형된 IPA 평가를 토대로 도로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지역별 개선항목을 도출하였다.
현재 도시부 도로에 대한 서비스 수준 평가는 통행속도, 지체 등과 같은 정략적인 부분만을 고려하였다. 하지만 도시부 도로를 이용하는 운전자들은 정량적인 부분이외에도 도로의 청 결, 타운전자의 법규위반 등의 정성적인 측면에도 영향을 받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량적인 부분과 정성적인 부분을 함께 고려하여 평가지표를 도출하고, 서비스 측면의 개선사항 도출시 주로 경영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기법을 변형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변형 된 IPA 분석 기법은 분석대상 및 항목간 상대적 수준을 반영하여 서비스 수준이 평가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사례분석 지역으로 서울시 강남 3개구, 강북 3개구를 선정하여 도시부 도로의 서비스 질 평가가 수행되었으며, 변형된 IPA 평가를 토대로 도로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지역별 개선항목을 도출하였다.
The quality of service on urban roadways have been evaluated mainly based on such quantitative measures as travel speed and delay. However, in addition to the quantitative aspects, drivers traveling on urban roadways are subject to be influenced by qualitative measures such as aesthetic aspects of t...
The quality of service on urban roadways have been evaluated mainly based on such quantitative measures as travel speed and delay. However, in addition to the quantitative aspects, drivers traveling on urban roadways are subject to be influenced by qualitative measures such as aesthetic aspects of the roadway and other drivers' violation of traffic laws. Based on this notion,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roadway service quality indices, considering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spects and evaluate the quality of service using the modifie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a technique often applied in the field of marketing. The modified IPA is proposed in this study as a way to evaluate the service quality, reflecting the relative performance between study areas and performance indices. A case study is implemented over the Gangnam and Gangbuk areas in Seoul, resulting in identifying the items needed to be improved for each study area.
The quality of service on urban roadways have been evaluated mainly based on such quantitative measures as travel speed and delay. However, in addition to the quantitative aspects, drivers traveling on urban roadways are subject to be influenced by qualitative measures such as aesthetic aspects of the roadway and other drivers' violation of traffic laws. Based on this notion,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roadway service quality indices, considering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spects and evaluate the quality of service using the modifie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a technique often applied in the field of marketing. The modified IPA is proposed in this study as a way to evaluate the service quality, reflecting the relative performance between study areas and performance indices. A case study is implemented over the Gangnam and Gangbuk areas in Seoul, resulting in identifying the items needed to be improved for each study area.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 평가시에 이용되었던 정량적인 부분과 정성적인 부분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평가지표를 설문조사를 통해 도출하였다. 또한, 경영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IPA분석을 변형하여 도시부 도로(강남, 강북지역)에 대한 서비스 특성을 비교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정량적인 평가항목과 정성적인 평가항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기 위한 평가항목 선정을 위하여 전문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존의 IPA 분석기법을 토대로 비교대상지역간 서비스 질 평가가 가능하도록 다음과 같이 변형된 IPA 접근방법을 개발하였다.
제안 방법
서비스측면의 개선사항 도출에는 경영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IPA(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분석 기법을 비교대상지역의 지역별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방법으로 변형하여 활용한다. 본 연구의 사례분석 대상지역으로는 서울시 강.
본 연구의 사례분석 대상지역으로는 서울시 강. 남북 지역을 선정하여 두 지역간의도시부도로의 운전자 서비스 특성을 비교하고시사점을 도출한다.
. 변형된 IPA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운전자의 지역 특성별 만족도를 상대적으로 평가한다.
있다. 이러한 선행연구결과를 바탕으로(표 2>에서는 운전자 서비스수준 평가 시 1 차적으로 고려대상이 될 수 있는 다양한 평가지표를 정리하였고, 이를 토대로 보다 객관적인지표선정을 위해 전문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정리하면 에 보이는 바와 같이정량적인 요인에는 신호운영, 도로의 기하구조, 교통류조건의 9가지 평가항목이 선정되었으며, 정성적인 요인에는 도로의 미관, 도로의 유지관리, 도로 이용자의 행태, 정보 및 기타조건의 8 가지 평가 항목이 선정되었다.
설문의 신뢰성 확보를 위하여 2006년 9월 6 일 예비설문조사(Pilot Survey)를 실시 후, 설문조사내용의 문제점을 최대한 보완하여 최종설문지를 작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강남 및 강북 지역 간도 시부 도로 운전자 서비스 질을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IPA 분석을 변형하여 적용한다. 우선 IPA분석기법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설정된 설문항목을 응답자에게 배포하여 각 항목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 판단정도를 5단계 혹은 7단계의 척도로 설문한다.
설문조사는 에 제시된 7개 평가항목 (17개 세부 지표)을 이용하였으며, 운전자에게 각 항목별로 7단계로 구분된 만족도 및 여러 항목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전체적인 만족도를 응답하도록 하였다.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지역별 특성 등을 반영하여 이들이 느끼는서비스 수준의 분석을 시도하였다.
통해 도출하였다. 또한, 경영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IPA분석을 변형하여 도시부 도로(강남, 강북지역)에 대한 서비스 특성을 비교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연구에서는 정량적인 변수뿐만 아니라 정성적인 변수까지도 함께 고려하여 평가항목 및 지표를 도출하고, 이를 활용하여 운전자 서비스 측면의 개선사항을 분석한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의 사례분석 대상지역으로는 서울시 강. 남북 지역을 선정하여 두 지역간의도시부도로의 운전자 서비스 특성을 비교하고시사점을 도출한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부 도로의 서비스 특성 분석을 위해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연구의 주요 내용으로 선정하였다.
전문가 설문조사는 2006년 9월 28일-<10월 4 일에 걸쳐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학계(석사 이상), 연구기관, 공무원(도로관련 교통전문직), 기타 교통관련 엔지니어링 회사에 종사하는 전문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85부 중 76부를 회수하여 89%의 회수율을 보였다.
걸쳐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학계(석사 이상), 연구기관, 공무원(도로관련 교통전문직), 기타 교통관련 엔지니어링 회사에 종사하는 전문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85부 중 76부를 회수하여 89%의 회수율을 보였다.
지역별 운전자 서비스 질 평가를 위해서는서울시의 6개 자치구(강남지역 3개구: 강남구, 송파구, 서초구; 강북지역 3개구: 성동구, 동대문구, 성북구)를 주로 운행하는 운전자들을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지역별 특성 등을 반영하여 이들이 느끼는서비스 수준의 분석을 시도하였다.
하였다. 조사시행은 2006년 11월 1 일에서 8일까지 강남 및 강북지역에 600부씩 총 1, 200부를 배포하였고, 결측치 등이 없는 유효표본 총 1, 048부를 활용하여 (강남지역 516부, 강북지역 532부) 분석을 시도하였다.
데이터처리
조사한다. 운전자 만족도 설문조사자료를 토대로 신뢰성분석, 상관분석, 요인분석을 이용하여 평가항목의 적절성 및 신뢰성을 검증한다.
. 군집분석 (Cluster Analysis을 통해 서울시의 지역별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서비스특성비교를 실시한다.
조사한 설문은 빈도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어느 정도 일관성 있는 대답이라 판단되는 순위인 3순위까지의 결과를 정리하였다. 정량적 변수에 대한 전문가 설문조사 결과 신호 교차로수, g/c비, 신호의 주기, 차선폭, 도로의 선형, 차로수, 노상주차의 유무, 교통량, 속도의 일관성이 선정되었다.
조사된 설문항목에 대한 측정 및 일관성에대한 검증을 위하여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신뢰성 분석을 실시한 결과 Cronbach's Alpha 값은 0.
측정지표와 평가항목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수행하였다. 전반적인 상관계수값이 0.
성능/효과
정리하였다. 정량적 변수에 대한 전문가 설문조사 결과 신호 교차로수, g/c비, 신호의 주기, 차선폭, 도로의 선형, 차로수, 노상주차의 유무, 교통량, 속도의 일관성이 선정되었다. 특히, 신호 운영 측면에서는 신호교차로수가, 도로의 기하구조적인 측면에서는 차로수가, 교통류적인 측면에서는 교통량이 가장 중요한 측정지표로 선정되었다.
상관분석을 수행하였다. 전반적인 상관계수값이 0.6 이상으로 나타나 측정지표와 개념적인 평가항목 간에는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측정지표와 평가항목 간 구분이 적절하게 이루어졌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요인분석을 수행하였으며 평가항목들내의 측정지표들이 분류된평가항목으로 묶여 측정지표의 분류가 신뢰성이 있다고 나타났다.
지역별 특성 규명을 위해 군집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Group 1로 성동구, 동대문구, 성북구가, Group 2로는 강남구, 송파구, 서초구로 묶여 만족도에 대한 지역별 특성이 강남지역과 강북지역으로 나누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 만족도에 대한 분석결과, 강남과 강북 모두 중점개선항목은 교통류조건으로 나타났으며, 현상유지항목은 도로유지관리, 도로 기하구조인 것으로 나타났다. 강북지역 개선요망항목은 도로의 미관, 정보 및 기타조건 강남지역 개선요망 항목은 이용행태, 신호운영으로 나타났다.
것으로 나타났다. 강북지역 개선요망항목은 도로의 미관, 정보 및 기타조건 강남지역 개선요망 항목은 이용행태, 신호운영으로 나타났다.
지표별 만족도 분석결과, 중점개선은 신호교차로수로 나타났으며, 현상유지로는 직진신호길이, 신호주기 적정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표별 만족도에 대한 분석결과, 강남지역 개선요망은 교통량, 속도일관성으로 나타났으며, 강북지역 개선요망은 노상주차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표별 만족도에 대한 분석결과, 중점개선은 타운전자 법규준수로 나타났으며, 현상유지는도로 보행자/자전거 이용자 법규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표별 만족도에 대한 분석결과, 중점개선은 가로변 정리로 나타났으며, 현상유지는 도로의 청결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표별 만족도에 대한 분석결과, 중점개선은 도로의 포장으로 나타났으며, 현상유지로는 도로 보수 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표별 만족도에 대한 분석결과, 강남지역개선요망은 날씨(악천후시 주행상태)로 나타났으며, 강북지역개선요망은 안내시스템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종합적인 도시부 도로의 서비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평가항목의 절반이상이 중점개선항목(교통류조건, 정보 및 기타조건) 또는 지역별 개선요망항목(강남 : 신호운영, 이용행태, 강북 : 도로미관)으로 서비스 향상을 위해서는정량적인 부분과 함께 정성적인 부분에 대해서도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연구에서 제시한 변형된 IPA 분석기법을 활용해서 비교대상 지역간 및 평가항목간 상대적인 평가가 가능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도시부 도로의 서비스 수준 향상을 위한 개선항목이 손쉽게 도출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측정지표에 대한 다중공선성 검토결과는 분산팽창계수(VIF)가 10이하, 공차한계 (Tolerance Limit)는 0.1 이상으로 다중공선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표별 만족도에 대한 분석결과, 강북지역 개선요망은 차로폭, 도로선형으로 나타났으며, 강남지역 개선요망은 차로수 인 것으로 나타났다.
후속연구
・ 국내 및 국외의 도로 및 운전자 관련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평가지표를 검토하고 한계점을 도출한다.
첫째, 지역별 도시부 도로의 서비스 특성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서비스 개선방안 도출시 지역별 도시부 도로의 특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그러나 이용자 설문조사만을 통해서 도로 서비스질을 평가하는데는 한계가 있으므로, 평가방법에 대한 다각적이고 종합적인 연구가 추가적으로 있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서는 적절한 평가지표의 선정이 필요할 것으로보이며, 특히 정성적인 부분을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방법론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있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서는 적절한 평가지표의 선정이 필요할 것으로보이며, 특히 정성적인 부분을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방법론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