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웹 기반 시스템들의 정보들은 단순하게 정보 제공자로부터 사용자로의 단방향 흐름이며 하이퍼링크로 연결된 정적인 문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정보의 갱신이 느리고 제공자와 사용자간의 상호 작용이 낮은 실정이다. 또한 학술정보를 독점하거나, 무기화하여 사용자의 자유로운 접근을 방해하고 분산되어 있는 대량의 디지털 콘텐트에 대한 상이한 포맷과 전송 프로토콜로 적시성 있는 정보의 검색과 수집이 어렵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회적 네트워크 기반 위에 사용자 참여와 공유를 지향하도록 차세대 웹을 도입하고 생명과학 관련 학술 정보에 대한 자유로운 접근과 상호운용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OAI 프로토콜을 사용한 생명과학 문헌정보 네트워크를 설계한다. 이 네트워크는 첫째, 최신 논문, 세미나 발표자료, 연구노트, 연구 보고서 등의 자료를 공유 및 교환하고 사용자들 간에 커뮤니티를 구성할 수 있는 Open Repository 기능, 둘째, 분산되어있는 생명과학 관련 문헌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수집 저장하는 OAI 프로토콜 기반의 Open Collection 기능, 셋째, 개방형 접근이 가능한 생명과학 관련 문헌정보 메타데이터를 서비스하는 Open Access 기능, 마지막으로, 회원 관리, 통계 그리고 등록된 자료에 대한 인증 절차를 하는 Administration 기능 등 4가지로 구성된다.
기존 웹 기반 시스템들의 정보들은 단순하게 정보 제공자로부터 사용자로의 단방향 흐름이며 하이퍼링크로 연결된 정적인 문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정보의 갱신이 느리고 제공자와 사용자간의 상호 작용이 낮은 실정이다. 또한 학술정보를 독점하거나, 무기화하여 사용자의 자유로운 접근을 방해하고 분산되어 있는 대량의 디지털 콘텐트에 대한 상이한 포맷과 전송 프로토콜로 적시성 있는 정보의 검색과 수집이 어렵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회적 네트워크 기반 위에 사용자 참여와 공유를 지향하도록 차세대 웹을 도입하고 생명과학 관련 학술 정보에 대한 자유로운 접근과 상호운용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OAI 프로토콜을 사용한 생명과학 문헌정보 네트워크를 설계한다. 이 네트워크는 첫째, 최신 논문, 세미나 발표자료, 연구노트, 연구 보고서 등의 자료를 공유 및 교환하고 사용자들 간에 커뮤니티를 구성할 수 있는 Open Repository 기능, 둘째, 분산되어있는 생명과학 관련 문헌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수집 저장하는 OAI 프로토콜 기반의 Open Collection 기능, 셋째, 개방형 접근이 가능한 생명과학 관련 문헌정보 메타데이터를 서비스하는 Open Access 기능, 마지막으로, 회원 관리, 통계 그리고 등록된 자료에 대한 인증 절차를 하는 Administration 기능 등 4가지로 구성된다.
In current web-based systems, it is generally recognized that one way flow of information from providers to users can cause the static problem of document structure. Therefore, information update frequency and interaction between providers and users are quiet slow. Monopolized information can obstru...
In current web-based systems, it is generally recognized that one way flow of information from providers to users can cause the static problem of document structure. Therefore, information update frequency and interaction between providers and users are quiet slow. Monopolized information can obstruct the free user's access and heterogeneous format and different protocols also make users difficult to retrieve and to collect information. To resolve these problems, in this study, we introduce the Web 2.0 to move toward the user's participation and share based on the social network and the OAI protocol to improve the free access and the interoperability on bibliographic information for Life Science and then design the bibliographic information network for life science. This network has four main functions such as: 1) Open Repository function that can make up user community for sharing and data exchange. Data such as article, seminar material, research note and research report are considered in design. 2) Open Collection function that can collect and store the metadata on distributed bibliographic information networks, 3) Open Access function that can manage the metadata in the open access environment, and 4) Administration function that can monitor the user activity and statistics and can inspect the registered data.
In current web-based systems, it is generally recognized that one way flow of information from providers to users can cause the static problem of document structure. Therefore, information update frequency and interaction between providers and users are quiet slow. Monopolized information can obstruct the free user's access and heterogeneous format and different protocols also make users difficult to retrieve and to collect information. To resolve these problems, in this study, we introduce the Web 2.0 to move toward the user's participation and share based on the social network and the OAI protocol to improve the free access and the interoperability on bibliographic information for Life Science and then design the bibliographic information network for life science. This network has four main functions such as: 1) Open Repository function that can make up user community for sharing and data exchange. Data such as article, seminar material, research note and research report are considered in design. 2) Open Collection function that can collect and store the metadata on distributed bibliographic information networks, 3) Open Access function that can manage the metadata in the open access environment, and 4) Administration function that can monitor the user activity and statistics and can inspect the registered data.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이런 변화들이 구체적인 기술로 나타나게 되는데, 그 중 생명과학 문헌정보 네트워크에 활용될 Web 2.0 기술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지금까지 사용자 참여와 사회적 공유를 중요시한 Web 2.0과 표준적인 정보 유통 방식인 OAI 프로토콜을 기반한 생명과학 문헌정보 네트워크에 대해 연구하였다.
제안 방법
• Ajax: Asynchronous Javascript + XML의 약어로 Adam Rifkin가 처음으로 발표하였다. 웹에 비동기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기존의 기술들을 조합하여 만들었다. 이것의 장점은 보안에 취약한 ActiveX를 사용하지 않고 그 기능을 구현한 것이다.
이 중 DC는 스키마 요소가 적어 데이터 교환이나 검색에는 효율적이지만, 표현되는 정보의 양이 제한적이고, MODS는 활용된 사례가 적고, MARC 태그는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8][9]. 그래서 정보 기술 활용에 미숙한 생명과학 관련 연구자와 자유로운 데이터 표현을 위해 이 시스템에서는 MODS와 MARC를 조합해서 사용한다. MODS는 XML 기반의 MARC 서브셋으로 MARC으로의 변환이 용이하고, 반면 MARC는 여러 유형의 데이터를 기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스템 간의 레코드 교환에 적합한 형식이다.
이 네트워크 시스템의 저널, 아티클과 공유 자료에 대한 스키마 설계 시 조합된 MODS와 MARC 포맷을 바탕으로 디지털 자료에 대한 원문 자료와 웹상에서 저작권과 관련없는 공개된 자료들의 위치를 나타내는 URL 필드를 고려하여 표 5와 같이 설계하였다.
② OAM(Open Access Module): 웹에 개방되어 자료의 접근이 가능한 국내외 생명과학 관련 문헌(저널, 아티클, 공유자료)과 OCM에서 수확된 메타데이터를 저장 관리하여 사용자 요청시 그 결과에 응답한다. 또한 사용자들의 다양한 질의에 응답하기 위해 통합검색과 아티클/저널의 알파벳순 검색, 저자별 검색, 분류코드별 검색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ORM과 OAM에 의해 갱신된 정보를 사용자가 직접 사이트에 방문하지 않고, 최신 정보를 얻을 수 있게 자동으로 배포할 수 있게 RSS 기술을 도입한다. 또한, 사용자가 생물과학 문헌자료 검색 시 검색어에 대한 추천어를 제공받을 수 있게 Ajax 기술을 이용하여 생명과학과 관련된 단어로 필터링된 추천어를 제시한다.
기존 웹에서의 정보 생성이 정보 제공자에 의한 일방적인 사용자 제공이여서 콘텐트 구축에 막대한 시간과 경비를 소비하였고, 단순한 하이퍼링크로 연결된 문서로 정보의 갱신이 느리고 제공자와 사용자간의 상호 작용이 매우 낮은 실정이다. 또한, 영국, 네덜란드, 독일 등과 같은 정보선진국들은 학술정보를 출판사 업체가 독점을 막고 사용자의 자유로운 접근을 위하여 OAI 프로토콜기반의 유통체계를 구축하였다. 이것은 웹에 분산되어 있는 대량의 디지털 콘텐트에 대한 상이한 포맷과 전송 프로토콜에 대한 표준방법을 제시하여 적시성 있는 메타데이터에 대한 검색과 수집이 가능하게 해준다.
이런 기술들을 도입하여 사회적 네트워크 기반 위에 사용자 참여와 공유를 지향하도록 하고 생명과학 관련 학술 정보에 대한 자유로운 접근과 상호운용성을 증진하도록 생명 과학 문헌정보 네트워크를 설계하였다. 이 네트워크는 첫째, 최신 논문, 세미나 발표자료, 연구노트, 연구 보고서 등의 자료를 공유 및 교환하고 사용자들 간에 커뮤니티를 구성할 수 있는 ORM, 둘째, 분산되어있는 생명과학 관련 문헌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수집 ⋅ 저장하는 OAI 프로토콜 기반의 OCM, 셋째, 개방형 접근이 가능한 생명과학 관련 문헌정보 메타데이터를 서비스하는 OAM, 넷째, 회원 관리, 통계 그리고, 등록된 자료에 대한 인증 절차를 하는 AM으로 구성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회적 네트워크를 강화하여 사용자 참여와 공유를 지향하도록 차세대 웹을 도입하고 생명과학 관련 학술 정보에 대한 자유로운 접근과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을 증진시키기 위해 OAI(Open Archive Initiative)에서 제시한 OAI 아키텍쳐와 OAI 프로토콜을 이용한 생명과학 문헌정보 네트워크를 설계한다. 이 네트워크는 첫째, 최신 논문, 세미나 발표자료, 연구노트, 연구 보고서 등의 자료를 공유 및 교환하고 사용자들 간에 커뮤니티를 구성할 수 있는 Open Repository 기능, 둘째, 분산되어 있는 생명과학 관련 문헌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수집 ⋅ 저장하게 하는 OAI(Open Access Initiative) 프로토콜 기반의 Open Collection 기능, 셋째, 개방형 접근이 가능한 생명과학 관련 문헌정보 메타데이터를 저장⋅서비스하는 Open Access 기능, 마지막으로, 회원 관리, 통계 그리고 등록된 자료에 대한 인증 절차를 하는 Administration 기능으로 구성된다.
문서들 간에 단순한 링크로 이동하기 때문에 상호작용성이 낮고 정보의 수정/갱신과 같은 일련의 과정이 웹 브라우저에서만 일어나 최신성이 떨어진다. 이런 정적인 환경과 기능의 한계를 벗어나기 위해 자바애플릿, 자바스크립트, ActiveX 등을 사용해 역동성과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였다. 하지만 ActiveX는 보안에 매우 취약하고 사용자 PC에 설치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회원정보는 추후에 KISTI의 SSO(Single Sign On) 기술을 도입하여 KISTI의 다른 서비스와 연계되도록 할 것이다. 분류코드 테이블은 과학기술부에서 2005년 9월에 제정한 국가과학기술분류표에 근거하여 그중 생명과학과 관련 있는 분야 8개의 대분류(수학-A, 물리학-B, 화학-C, 생명과학-D, 정보-J, 농림ᆞ수산-L, 보건ᆞ의료-M, 기타-Z)와 4개의 중분류(D1, D2, D5, D6) 총 11개로 구성하였다.
② OAM(Open Access Module): 웹에 개방되어 자료의 접근이 가능한 국내외 생명과학 관련 문헌(저널, 아티클, 공유자료)과 OCM에서 수확된 메타데이터를 저장 관리하여 사용자 요청시 그 결과에 응답한다. 또한 사용자들의 다양한 질의에 응답하기 위해 통합검색과 아티클/저널의 알파벳순 검색, 저자별 검색, 분류코드별 검색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ORM과 OAM에 의해 갱신된 정보를 사용자가 직접 사이트에 방문하지 않고, 최신 정보를 얻을 수 있게 자동으로 배포할 수 있게 RSS 기술을 도입한다. 또한, 사용자가 생물과학 문헌자료 검색 시 검색어에 대한 추천어를 제공받을 수 있게 Ajax 기술을 이용하여 생명과학과 관련된 단어로 필터링된 추천어를 제시한다.
대상 데이터
생명과학 문헌정보 네트워크에서 다루는 데이터는 발행 전·후의 논문, 학술발표자료, 세미나자료, 연구노트, 실험데이터, 웹 사이트, CD-ROM 등이며 이들 데이터의 저장관리와 메타데이터에 대한 저장소 등을 위해 크게 5개의 테이블로 구성된다[표 3 참조].
이론/모형
③ OCM(Open Collection Module): OAI 프로토콜을 통해 분산되어 있는 생명과학 관련 문헌정보의 메타데이터를 수집하여 OAM의 공유자료 테이블에 저장한다. 이때, 메타데이터 검색에 사용되는 OAI 프로토콜의 검색방법은 수확검색(Harvesting Search)을 사용한다. 이 방법은 SP가 메타데이터를 수확한 다음, 로컬 저장소에 저장한 후 검색에 이용되는 반면에, 연합 검색은 분산된 저장소에 질의를 해서 응답 결과를 조합해서 처리하므로 수확검색이 네트워크나 검색엔진에서의 처리 비용이 낮다.
후속연구
회원정보는 추후에 KISTI의 SSO(Single Sign On) 기술을 도입하여 KISTI의 다른 서비스와 연계되도록 할 것이다. 분류코드 테이블은 과학기술부에서 2005년 9월에 제정한 국가과학기술분류표에 근거하여 그중 생명과학과 관련 있는 분야 8개의 대분류(수학-A, 물리학-B, 화학-C, 생명과학-D, 정보-J, 농림ᆞ수산-L, 보건ᆞ의료-M, 기타-Z)와 4개의 중분류(D1, D2, D5, D6) 총 11개로 구성하였다.
향후에는 생명과학분야에 국한된 메타데이터 스키마를 전체 과학 분야로 확대시킨 스키마 설계가 필요하고 현재의 OAI 프로토콜에서 사용된 HTTP 프로토콜을 확장하여 SOAP, WSDL 그리고, REST과 같은 서비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Web 2.0의 가장 일반적인 정의는?
Web 2.0에 대한 정의가 여러 가지이지만“최종 사용자에게 웹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컴퓨팅 플랫폼”이라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며 간단히 “플랫폼으로서의 웹”이라고 한다. Web 1.
OAI 아키텍쳐와 OAI 프로토콜을 이용한 생명과학 문헌정보 네트워크는 어떤 기능으로 구성되는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회적 네트워크를 강화하여 사용자 참여와 공유를 지향하도록 차세대 웹을 도입하고 생명과학 관련 학술 정보에 대한 자유로운 접근과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을 증진시키기 위해 OAI(Open Archive Initiative)에서 제시한 OAI 아키텍쳐와 OAI 프로토콜을 이용한 생명과학 문헌정보 네트워크를 설계한다. 이 네트워크는 첫째, 최신 논문, 세미나 발표자료, 연구노트, 연구 보고서 등의 자료를 공유 및 교환하고 사용자들 간에 커뮤니티를 구성할 수 있는 Open Repository 기능, 둘째, 분산되어 있는 생명과학 관련 문헌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수집 · 저장하게 하는 OAI(Open Access Initiative) 프로토콜 기반의 Open Collection 기능, 셋째, 개방형 접근이 가능한 생명과학 관련 문헌정보 메타데이터를 저장⋅서비스하는 Open Access 기능, 마지막으로, 회원 관리, 통계 그리고 등록된 자료에 대한 인증 절차를 하는 Administration 기능으로 구성된다.
Web 2.0의 특징으로 무엇이 있는가?
① 개방성: 웹의 정보가 거의 공개되어, 정보의 재가공이 용이하며 사용자 편의에 따라 정보의 수정, 보완을 할 수 있어 정보의 개인화가 가능하다.
② 사용자 참여: 기존 웹의 정보가 데이터 제공자에 의한 일방적인 제공인 반면에 Web 2.0은 블로그 등을 통한 사용자 참여에 의해 콘텐트가 생성된다.
③ 사회적 상호작용에 기반한 브라우징: 기존의 HTML기반의 단순 브라우징 형태가 아니라 사회적 네트워킹에 기반한 소셜 브라우징이나 태깅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방식, RSS/Atom 등을 통한 한 번에 여러 개의 콘텐트를 수집, 가공, 재배포한다.
④ 개발 도구(API) 제공: 생성된 콘텐트로 공개하여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방된 개발도구를 제공한다. API는 XML, RDF, 웹 서비스 등 공개된 표준 스펙을 기반으로 개발되어 일반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