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릭터는 문화적 콘텐츠이며 이를 시각화하여 자국의 문화를 보여주고 그 문화를 전달하는 매개체적인 잠재력이 점점 커지는 영역이다. 캐릭터들을 살펴보면 고전에 나타난 인물들로 제작된 캐릭터를 많이 찾아 볼 수 있다. 고전은 하나의 국가 혹은 민족의 문화에서 그 원형을 찾아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고전신화소설 [서유기]를 모델로 하여 제작된 만화 한국의 [미스터 손(날아라! 슈퍼보드)], 중국의 [大鬧天宮 제천대성 손오공 (제천대성 손오공)], 일본의 [ぼくの孫悟空(나의 손오공)]에 등장하는 손오공캐릭터를 중심으로 한국 중국 일본 캐릭터디자인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한국은 퓨전 적이며 글로벌 적인 경향을 나타내고 있고, 반면 중국은 전통문화에 대한 부각에 치중하고 있으며, 일본은 디테일한 부분에 자신의 전통적인 문화요소를 부여하여 보다 대중적인 수용성을 추구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캐릭터디자인이 각 나라별로 문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캐릭터는 문화적 콘텐츠이며 이를 시각화하여 자국의 문화를 보여주고 그 문화를 전달하는 매개체적인 잠재력이 점점 커지는 영역이다. 캐릭터들을 살펴보면 고전에 나타난 인물들로 제작된 캐릭터를 많이 찾아 볼 수 있다. 고전은 하나의 국가 혹은 민족의 문화에서 그 원형을 찾아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고전신화소설 [서유기]를 모델로 하여 제작된 만화 한국의 [미스터 손(날아라! 슈퍼보드)], 중국의 [大鬧天宮 제천대성 손오공 (제천대성 손오공)], 일본의 [ぼくの孫悟空(나의 손오공)]에 등장하는 손오공캐릭터를 중심으로 한국 중국 일본 캐릭터디자인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한국은 퓨전 적이며 글로벌 적인 경향을 나타내고 있고, 반면 중국은 전통문화에 대한 부각에 치중하고 있으며, 일본은 디테일한 부분에 자신의 전통적인 문화요소를 부여하여 보다 대중적인 수용성을 추구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캐릭터디자인이 각 나라별로 문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e character design is part of a culture. That is, it is not just an object but it reflects the cultural tendency and context where it is visualized. It's potential as a cultural medium of communication become pervasive in the field. One of good sources of characters is the classics which represent...
The character design is part of a culture. That is, it is not just an object but it reflects the cultural tendency and context where it is visualized. It's potential as a cultural medium of communication become pervasive in the field. One of good sources of characters is the classics which represent the nation's culture and history. The topic of this presentation is to show how a character in the Buddhist story, the Monkey King, designed differently in different context. For the purpose, the animation on the Monkey King in China, Japan and Korea are reviewed and analyzed. The result shows that the same animation character has been designed in different way in different context and it reflects the cultural tendency of the country. For example, Koreans tend to emphasize the global feature of the character. In case of Chinese, however, the character designer emphasizes traditional value. Finally, the designer in Japan tries to put their cultural element in detailed part of the character that makes it appeal to the public.
The character design is part of a culture. That is, it is not just an object but it reflects the cultural tendency and context where it is visualized. It's potential as a cultural medium of communication become pervasive in the field. One of good sources of characters is the classics which represent the nation's culture and history. The topic of this presentation is to show how a character in the Buddhist story, the Monkey King, designed differently in different context. For the purpose, the animation on the Monkey King in China, Japan and Korea are reviewed and analyzed. The result shows that the same animation character has been designed in different way in different context and it reflects the cultural tendency of the country. For example, Koreans tend to emphasize the global feature of the character. In case of Chinese, however, the character designer emphasizes traditional value. Finally, the designer in Japan tries to put their cultural element in detailed part of the character that makes it appeal to the public.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서유기]를 원작으로 하는 한국의 [미스터 손(날아라! 슈퍼보드)], 중국의 [大 天宮제천대성 손오공 (제천대성 손오공)], 일본 [ぼくの 悟空(나의 손오공)]에 사용된 ‘손오공’캐릭터를 중심으로 한중일 3개국 사례를 비교 분석을 통하여 손오공캐릭터가 지니고 있는 특징을 살펴보고자한다.
. 고전문학들은 한 민족, 한 국가의 문화를 내포하고 있는 무궁한 문화적 콘텐츠이며 이를 시각 언어화하여 손쉽게 지역문화와 자국 문화 전달에 응용할 잠재력이 있는 영역이라고 생각하여 본 논문을 작성하게 되었다. 또한 각3국에서는 어떤 특징을 가지고 디자인을 전개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으로 향후 캐릭터디자인산업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는 바이다.
고전문학들은 한 민족, 한 국가의 문화를 내포하고 있는 무궁한 문화적 콘텐츠이며 이를 시각 언어화하여 손쉽게 지역문화와 자국 문화 전달에 응용할 잠재력이 있는 영역이라고 생각하여 본 논문을 작성하게 되었다. 또한 각3국에서는 어떤 특징을 가지고 디자인을 전개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으로 향후 캐릭터디자인산업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는 바이다.
한 · 중 · 일 3국이 손오공캐릭터의 형태와 손오공을 대표하는 아이템디자인 즉 머리에 금테[金 ], 무기인 여의봉[如意金 棒], 복장, 근두운[筋斗云] 디자인을 살펴보고, 3국 캐릭터디자인이 가각 어떤 특징과 경향들을 지니고 있는지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대상 데이터
본고에서는 동방문화권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중국고전신화소설 [서유기]를 선택하였다. [서유기]를 원작으로 하는 한국의 [미스터 손(날아라! 슈퍼보드)], 중국의 [大 天宮제천대성 손오공 (제천대성 손오공)], 일본 [ぼくの 悟空(나의 손오공)]에 사용된 ‘손오공’캐릭터를 중심으로 한중일 3개국 사례를 비교 분석을 통하여 손오공캐릭터가 지니고 있는 특징을 살펴보고자한다.
성능/효과
[서유기]고전 속에서 손오공이 지니고 있는 아이템, 즉 금테[金 ], 여의봉[如意金 棒], 근두운[筋斗云]을 현실에 존재하는 헬멧, 보드, 쌍절곤으로 디자인함으로서 보다 친근감과 익숙함을 연출할 수 있도록 디자인되어 있다. 또한 캐릭터 스타일상 만화형적인 3등신의 형태로 디자인함으로써 보다 쉽게 수용할 수 있는 스타일로 디자인 되어있다는 것을 분석해낼 수 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