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국내 농업은 많은 발전을 이루었지만 지구 온난화 등으로 발생하는 재난 재해 극복, FTA 등으로 인한 수입 농산물 극복, 미국 유럽 등의 선진국 중심의 과학화된 실용화 기술에 대한 대처 등 농업을 주체로 하는 다양한 산업에서 국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되어야 할 분야이다. 한편 국내 ICT 기술은 세계 최고 수준임으로 기존의 농업기술에 정보화기술, 자동제어 기술 등 IT 고유의 기술을 융합시켜 농업의 생산 유통 소비 전 과정에 걸쳐 생산성향상, 효율성 증대, 품질향상 등과 같은 고부가가치를 창출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 농업의 현황, 농업-ICT 융합 도입 및 기술 현황, 표준화 동향 등을 분석하여 우리나라가 선도할 농업-ICT 융합 기술 분야를 도출하고 향후 표준화 및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현재 국내 농업은 많은 발전을 이루었지만 지구 온난화 등으로 발생하는 재난 재해 극복, FTA 등으로 인한 수입 농산물 극복, 미국 유럽 등의 선진국 중심의 과학화된 실용화 기술에 대한 대처 등 농업을 주체로 하는 다양한 산업에서 국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되어야 할 분야이다. 한편 국내 ICT 기술은 세계 최고 수준임으로 기존의 농업기술에 정보화기술, 자동제어 기술 등 IT 고유의 기술을 융합시켜 농업의 생산 유통 소비 전 과정에 걸쳐 생산성향상, 효율성 증대, 품질향상 등과 같은 고부가가치를 창출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 농업의 현황, 농업-ICT 융합 도입 및 기술 현황, 표준화 동향 등을 분석하여 우리나라가 선도할 농업-ICT 융합 기술 분야를 도출하고 향후 표준화 및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Our country should continuously make efforts to secure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the current domestic agriculture in a variety of industries converged with agriculture in order to get over the disaster due to global warming, cope with imported produces caused by FTA and scientific impleme...
Our country should continuously make efforts to secure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the current domestic agriculture in a variety of industries converged with agriculture in order to get over the disaster due to global warming, cope with imported produces caused by FTA and scientific implementation technology provided by advanced countries like USA and European Union in spite of domestic agriculture advancement. Also, as domestic ICT technology is a world-class level, it is essential to make strategies of creating a high value such as the increase of productivity, efficiency and quality throughout the whole phase of production, circulation and consumption with the convergence of the existing agriculture technology and IT core technology including information management and automatic control.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standardization items which lead global standard and implementation direction on standardization through analysing the current situation of agriculture-ICT convergence in our country and technology/standardization trend.
Our country should continuously make efforts to secure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the current domestic agriculture in a variety of industries converged with agriculture in order to get over the disaster due to global warming, cope with imported produces caused by FTA and scientific implementation technology provided by advanced countries like USA and European Union in spite of domestic agriculture advancement. Also, as domestic ICT technology is a world-class level, it is essential to make strategies of creating a high value such as the increase of productivity, efficiency and quality throughout the whole phase of production, circulation and consumption with the convergence of the existing agriculture technology and IT core technology including information management and automatic control.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standardization items which lead global standard and implementation direction on standardization through analysing the current situation of agriculture-ICT convergence in our country and technology/standardization trend.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따라서, 본고는 제2장과 제3장에서 기존의 농업-ICT 융·복합 및 표준화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4장에서 향후 국내외 표준화 추진방향을 제시하여 조속한 국내 농업-ICT 융·복합 기술의 확산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워크 기술 및 표준화 동향 등을 분석하여 향후 표준모델 도입을 위한 표준화 추진방향을 제시하였다. 향후, 국내 많은 농가에서 농업-ICT 융·복합 관련 장비 및 서비스를 도입·활용할 것으로 기대됨으로, 지속적으로 호환성 확보를 위한 표준화 대상 항목을 도출하고, 산업계가 참여하는 가운데 이에 대한 체계적인 표준화 추진이 요구된다.
제안 방법
이를 기반으로 과 같은 SWOT 분석을 통하여 국내 기술·표준화 역량요인 및 국내외 시장·기술·표준화 환경요인을 고려한 표준화 추진방향 및 전략을 제시한다[7].
시설원예 및 식물공장 관련하여 USN 미들웨어 플랫폼 기술을 활용하여, 농업 융합 응용서비스에 적합한 플랫폼 기술 개발을 위해 2010년부터 시설원예작물의 최적 제어 및 예측 기술을 제공할 수 있는 생장관리 플랫폼 기술을 개발하였고[5], 2011년부터 식물공장의 주요 구성요소인 센서, 제어 및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 운영하고 작물의 생장 정보를 처리하는 컴포넌트 기반의 보급형 통합 환경 SW 플랫폼 원천기술 개발하고 있다. 또한, LED를 이용한 다단식 식물공장을 개발하였고, 2010년부터 농산물, 원예 등 다양한 부가가치 생장산업에 RFID/USN 기슬을 적용하여 생장 상태 및 환경 변화를 인지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 이용하여 최적의 생장환경을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하는 스마트생장환경 관리시스템을 개발하였다[1].
후속연구
시설원예 관리 기술은 센서와 네트워크를 통해 작물 생장·시설 환경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모니터링 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수집된 자료의 종합적인 분석을 통하여 작물의 품질 최적화를 위한 예측 정보를 제공하고, 각종 환기팬, 보조광원, 관수시설, 차단막 등의 시설 환경을 작물의 생장단계와 환경의 변화에 따라 유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각종 생장·생육 정보 및 환경 정보 분석을 통해 생장예측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4].
향후, 국내 많은 농가에서 농업-ICT 융·복합 관련 장비 및 서비스를 도입·활용할 것으로 기대됨으로, 지속적으로 호환성 확보를 위한 표준화 대상 항목을 도출하고, 산업계가 참여하는 가운데 이에 대한 체계적인 표준화 추진이 요구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업 IT융합기술은 어떤 목적을 지닌 기술인가?
농업 IT융합기술은 기존의 1차 산업 중심의 농업기술에 자동제어·센서·광원·RFID/USN·유무선통신 등의 부품 및 기반 기술, 생육제어·지식 미들웨어·유통·이력·인증 등의 소프트웨어 기술, 신재생 에너지·스마트 그리드·탄소교환 등의 에너지 지원 기술, 관광·교육·유통·레저 등의 서비스 기술 등 다양한 ICT 기술을 융합시켜 농업의 생산 유통 소비 전 과정에 걸쳐 생산성과 효율성 향상, 품질 향상 등과 같은 고부가가치 창출을 추구하고자 하는 기술이다[1].
농업-ICT 융·복합 기술을 작물 재배 형태에 따라 나누면 어떤 것들로 분류할 수 있는가?
농업-ICT 융·복합 기술은 작물의 재배 형태에 따라 노지형, 시설형(온실형) 및 식물공장 기술로 분류할 수 있다.
농업-ICT 융·복합 기술은 생산, 유통, 소비 단계에 따라 어떤 기술로 나누어지는가?
농업-ICT 융·복합 기술을 생산·유통·소비 단계별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생산 분야는 농업 생산 분야에 ICT 융·복합 신기술을 적용하여 정밀 농업을 통한 생산, 질병관리 및 에너지의 효율성 제고를 목적으로 원예·과채류(온실) 등의 재배 환경 제어관리와 농작물의 병해충 예찰, 지열히트펌프 등 대체에너지 활용 기술이다. 그리고 유통 분야에는 농식품 가공·유통 정보 및 물류체계 기반의 농식품 유통·가공 지능화 구현을 위하여 RFID기술 활용을 통한 농수산물 물류흐름 체계화 및 수·발주 시스템 등의 활용과 농식품 가공·유통 표준화 및 차세대 가공·유통기술의 결합이다. 마지막으로 소비 분야은 농식품 안전정보 체계 확보를 위하여 생산에서 소비에 이르는 단계별 이력관리 제공 및 생산·유통·소비 전 단계의 안전관리체계 구축이다. 상기 언급한 농업 IT융합 기술을 세부 중점기술로 분류하면 <표 1>과 같다[2][3].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