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혐기성세균이 분비하는 생리활성물질의 특성 및 구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tructure and Properties of Bioactive Compounds Selected from Anaerobic Bacteria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경북대학교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연구책임자 하지홍
참여연구자 이재근 , 박용복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1992-02
주관부처 과학기술부
사업 관리 기관 경북대학교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등록번호 TRKO200200015039
DB 구축일자 2013-04-18
키워드 항생물질.신물질 탐색.혐기성세균.Clostridfum fallax.KG-431A.KG-431B.Anaerobic bacteria.Clostridium fallax.Antibiotics.KG-431A and KG-431B.Indolepropionic acid.

초록

항생물질은 1930년대 penicillin이 처음 발견되어 인간에게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어 온 이후로 선진국들의 활발한 연구대상이 되어왔다. 그러나 최근 대두되기 시작한 물질특허 압력 들의 양향으로 국내에서도 신물질 관련연구의 필요성이 점차 중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1988년부터 혐기성 세균이 분비하는 항생물질의 탐색에 착수하였는데 1차 및 2차screening system으로부터 최종선별된 균배양액에서 항생물질을 순수분리한후 여러 측성을 알아보고 기존의 항생물질과의효능 및 활성을 비교, 검토하여 완전한 구조가

Abstract

We isolated 2,211 strains of anaerobic, spore-forming bacteria from vatious soil samples by the Hungate method. From these, KH-431 was finally selected by the antibiotic activity and low toxicity to mice. The strains KH-431 was identified to be a Clostridium fallax. After the determination of the o

목차 Contents

  • 서론...11
  • 실험재료 및 방법...15
  • 1. 균주 분리 및 선별...15
  • 1.1 균주 분리...15
  • 1.2 균주 선별...15
  • 1.3 급독성 조사...16
  • 2. 선별균주의 생리. 생화학적 특성 및 동정...17
  • 3. 항생물질 최적생산조건...18
  • 3.1 생산배지 최적화...18
  • 3.2 배양조건 최적화...19
  • 4. 항생물질의 추출 및 정제...19
  • 5. 항생물질의 생물학적 륵성...20
  • 5.1 항균 spectrum...20
  • 5.2 MIC...21
  • 5.3 항진균활성...21
  • 5.4 항암활성...21
  • 5.5 항생물질에 의한 시험균의 morphology 변화 조사...31
  • 5.6 Dose-response curve 작성...31
  • 6. 항생물질의 물리화학적 륜성...31
  • 6.1 용해도...31
  • 6.2 TLC Rf Value...32
  • 6.3 pH 및 온도에 대한 안정성...32
  • 6.4 TLC 발색시약에 대한 반응성...32
  • 6.5 물질의 결정상...32
  • 6.6 구조분석...34
  • 7. 고생산 변이주의 육종...34
  • 7.1 U7-Survival curve의 작성...34
  • 7.2 돌연변이 유발에 의한 고생산 변이주의 선별...35
  • 8. 유전공학적 연구체제 도입을 위한 기초연구...35
  • 결과 및 고찰...36
  • 1. 균주 분리 및 선별...36
  • 2. KH-431의 생리적. 생화학적 특성 및 동정...36
  • 3. 최적생산조건 결정...36
  • 3.1 생산배지 최적화...36
  • 3.2 배양조건 최적화...46
  • 3.3 Growth profile 및 최적 배양시간 결정...54
  • 4. 항생물질의 추출 및 정제...54
  • 5. KG-43IA 및 K7-43IB의 생물학적 특성...55
  • 5.2 MIC...58
  • 5.3 Dendroid test...58
  • 5.4 항암활성...58
  • 5.5 항생물질에 의한 시험균의 morphology 변화...61
  • 5.6 독성 실험...65
  • 5.7 Dose-response curve...65
  • 6. K7-43IA 및 77-43IB의 물리화학적 성상...65
  • 6.1 용해도...65
  • 6.2 TLC Rf value...65
  • 6.3 pH 및 온도에 대한 안정성...67
  • 6.4 TLC 발색시약에 대한 반응성...67
  • 6.5 물질의 결정상...69
  • 6.6 구조분석...69
  • 7. 고생산 변이주의 육종...78
  • 8. 유전공학적 연구체제 도입을 위한 기초연구...79
  • 참고 문헌...81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