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원도 홍천지역 백악기 풍암분지 퇴적층에 대한 퇴적학적, 구조지질학적 연구를 통한 퇴적분지 해석
Sedimentary basin analysis through sedimentological and structural geological studies on the Cretaceous sedimentary sequences of the Poongam Basic in Hongcheon, Kangwon-do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강원대학교
Kangwon National University
연구책임자 정대교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1998-04
주관부처 과학기술부
사업 관리 기관 강원대학교
Kangwon National University
등록번호 TRKO200200017766
DB 구축일자 2013-04-18
키워드 풍암분지.퇴적분지해석.fault margin sag.transpressional basin.지구조우세 퇴적상 모델.풍암단층대.선상지.호성환경.화산쇄설성 퇴적층.Poongam basin.sedimentary basin analysis.fault margin sag.transpressional basin.tetonic-controlled sedimentary facies model.Poonam fault zone.alluvial fan.lacustrine environment.volcaniclastic sediments.

초록

백악기 풍암퇴적분지는 강원도 홍천군과 횡성군 일대에 분포하며퇴적층은 역암, 사암, 이암과 화산 쇄설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공주, 음성, 부여등 다른 백악기 육성 분지(pull-apart)와는 달리 fault margin sag 또는 transpressional basin으로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분지내 퇴적층은 퇴적물 조직과 퇴적구조·층형을 고려하여 12개 퇴적상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각의 퇴적상은 약한 층리의 입자 지지 역암상(Gsc), 교란된기질 지지의 역암상(Gdm), 두꺼운 수평 층리의 역암상(Gh), 수평

Abstract

The Creataceous sedimentary sequence of the Poongam basinin mid Korea contains alluvial deposits of conglomerates, sandstones, mudstones,volcaniclastics, presumably formed in a strike-slip setting. The deposits can beclassified into twelve sedimentary facies based on rock type

목차 Contents

  • 1) 서론...7
  • 2) 연구방법 및 이론...9
  • 3) 결과...10
  • 1. 퇴적학적 연구...10
  • (1) 퇴적상 분석...10
  • (1)-1 역암상...10
  • (1)-1-1. 약한 층리의 입자 지지 역암상 (Gsc)...10
  • (1)-1-2. 교란된 기질 지지외 역암상 (Gdm)...13
  • (1)-1-3. 두꺼운 수평 층리의 역암상 (Gh)...13
  • (1)-2. 사암상...14
  • (1)-2-1. 수평 층리의 사암상 (Sh)...14
  • (1)-2-2. 평행사층리의 사암상 (Sp)...14
  • (1)-3. 이암상...15
  • (1)-3-1. 괴상의 이암상 (Mm)...15
  • (1)-3-2. 엽충리가 잘 밭달된 이암상 (Ml)...15
  • (1)-3-3. 석회질 단구를 포함하는 이암상 (Mc)...15
  • (1)-4. 화산쇄설암상...16
  • (1)-4-1. 점이층리의 조립의 응회암 또는 lapillistone상 (Vg)...16
  • (1)-4-2. 평행사층리의 조립의 응회암 또는 lapilliston상 (Vp)...16
  • (1)-4-3. 수평층리의 세립의 응회암 또는 lapillistone상 (Vh)...16
  • (1)-4-4. 성장화산력을 포함하는 응회암상 (Va)...17
  • (2) 퇴적상조합과 퇴적환경 해석...17
  • (2)-1. Type I 상조합...17
  • (2)-2. Type II 상조합...20
  • (2)-3. TyPe III 상조합...20
  • (2)-4. Type IV 상조합...20
  • 2. 구조지질학적 연구...20
  • 4) 고찰과 결론...21
  • 5) 참고 문헌...24
  • 연구수행관련 논문발표 목록서...27
  • 자체 평가서...29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