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건국대학교 KonKuk University |
연구책임자 |
이원자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1998-04 |
주관부처 |
과학기술부 |
연구관리전문기관 |
건국대학교 KonKuk University |
등록번호 |
TRKO200200020546 |
DB 구축일자 |
2013-04-18
|
키워드 |
생활환경온도.착의량.기초대사.한랭혈관반응.냉수침지.Clothing Weight.Thermal comfort.basal metabolism.indoor-temperature.clothing-micro-climate.finger-skin temperature.hunting reaction.
|
초록
▼
우리나라 사람의 현시점에서 생활환경온도와 착의량이 건강 유지및 증진 측면이나 에너지 절약 측면에서 적정한가를 알 목적으로 인체 체온기능의 산열측지표인 기초대사와 내한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를 규명하고자 한다. 지역은 두지역(서울, 목포)으로 각 지역에서 100명씩 총 200명을 측정대상자로 선정하여, 사계절을 측정하였다. 이들 측정대상자의 연령을 남녀별로 5개 집단으로 구분하여 (아동기, 청소년기, 청년기, 장년기, 노년기) 측정하였다.측정항목은 실내외 온도 습도, 착의량, 착의사항, 의복내기후, 평균피부온과
우리나라 사람의 현시점에서 생활환경온도와 착의량이 건강 유지및 증진 측면이나 에너지 절약 측면에서 적정한가를 알 목적으로 인체 체온기능의 산열측지표인 기초대사와 내한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를 규명하고자 한다. 지역은 두지역(서울, 목포)으로 각 지역에서 100명씩 총 200명을 측정대상자로 선정하여, 사계절을 측정하였다. 이들 측정대상자의 연령을 남녀별로 5개 집단으로 구분하여 (아동기, 청소년기, 청년기, 장년기, 노년기) 측정하였다.측정항목은 실내외 온도 습도, 착의량, 착의사항, 의복내기후, 평균피부온과 기초대사랑, 내한력은 냉수침지에 의한 한랭혈관 반응으로 하였다.이들 측정항목의 결과를 보면 각 항목 모두 계절 변화가 있음을 관찰하였다. 실내온도 습도의 계절변화를 보면 여름>가을>봄>겨울 순으로 계절변화가 뚜렷하였다(P<0.001).지역별, 주택유형별로 차이를 보면, 서울이 목포보다 계절변화가 더 뚜렷하다(P<0.05).실내 온도, 습도는 여름을 제외하고 계절차이가 크지 않았다. 지역별, 주택유형별의 차이를 보면 서울이 목포보다 계절변화가 컸으나, 유의한 차이가 적었다(P<.05). 주택유형별의차이를 보면 단독주택이 공동주택보다 계절변화가 컸다(P<.001).착의량은 겨울>봄>가을>여름 순으로 계절변화를 보였다. 서울이 목포보다 그 차가컸으며, 단독주택이 공동주택보다 계절변화가 컸으며 공동주택은 여름을 제외하고 단독주택보다 착의량이 적었다.기초대사량은 가을 즉 향한기인 11월에 증가하기 시작하다가 겨울(2월)에 더 증가하였으며 향난기인 봄인 4월 측정에서는 감소하기 시작하여 여름(7월말)에 더 감소하였다. 지역간의 차이를 보면 서울이 목포보다, 이러한 경향이 더 컸다. 단독주택에 사는 사람이 공동주택에 사는 사람보다 더 계절변화가 뚜렷하였다. 성별로 보면 남자가 여자보다 겨울에기초대사량의 증가율이 컸으며 여자는 여름에 감소하는 율이 적었다.냉수침지에 의한 한랭혈관반응 정도를 측정한 결과 지역별, 주택유형별에 따른 차이는크지 않았으나, 연령, 성별에 따라서 차이가 있음이 인정되었다. 항동상지수를 보면 오히려연령이 많을수록 항동상지수가 높았다.이상으로 현재 한국인의 인체 체온조절기능의 계절변화를 확인할 수 있으며, 서울에사는 사람이 목포에서 사는 사람보다 계절변화가 컸으며(P<0.001) 또한 단독주택에 사는 사람이 공동주택에 사는 사람보다 내한력이 더 강하다고 본다.
Abstract
▼
Korean people, in recent years, have been accustomed tokeeping themselves so warm in winter and so cool in summer thanks to thedevelopment of heating system and air-conditioners. It is true that this comfort hascontributed to improve efficiency in working places. However, it
Korean people, in recent years, have been accustomed tokeeping themselves so warm in winter and so cool in summer thanks to thedevelopment of heating system and air-conditioners. It is true that this comfort hascontributed to improve efficiency in working places. However, it has also broughtsome side effects such as weakened the function of body temperature regulation.Deciding the optimal conditions inside clothing and shelter is highly important inpromoting a healthy living environment and saving energy. The first step to reachthis goal would be to clarify basal metabolic and cold tolerance for Koreans.A sample shall be conducted in 2different regions: Seoul and Chun nam Province.Two hundred peoples by region, sex and age, will be randomly selected for the surveyin clothing weight, thermal sensation and thermal comfort tests on clothing wear, basalmetabolic rate vascular Hunting reaction and finger skin temperature in cold water,thermal environmental conditions, clothing microclimate and the subjective sensation.By knowing them by season, sexes and regions, we will be able to approach theoptimal temperature inside clothing, indoor temperature and the appropriate workingenvironment, therby suggesting the best living environment and ultimately promoting thehealth of the people.Compared basal metabolism rate by seasonal, relegion, housing were significantly infall, winter higher than in spring and summer, men were higher than women.Investigated correlation between hunting reaction and basal metabolism rate,hunting reaction had more much negative correlation with basal metabolism onNovember than that on April. Difference of basal metabolism on November and thaton April had negative correlation.These results suggest that cold resistance was stronger in Soul, housing man thanin Mok-Po, apart resistance women. In other words cold, cold resistance may weakif we live comfort environment continuously. Besides, It may be considered that livingenvironment is more important than age in human thermoregulation, especially in cold.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our health, we have need for active exposure tocold environment of our living environment.
목차 Contents
- 1. 서론...7
- 2. 연구방법 및 이론...11
- 3. 결과...15
- 4. 고찰...29
- 5. 결론...35
- 6. 인용문헌...37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