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물성평가 기술개발 연구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Materials Evaluation Techniques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표준과학연구원
Korea Research Institute of Standards and Science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1-11
등록번호 TRKO200200057043
DB 구축일자 2013-04-18

초록

Ⅰ. 제 목
물성평가 기술개발 연구
Ⅱ.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에서 수요 많은 각종 신소재의 특성평가 능력을 확충함으로써 대외지원을 통해 신소재의 개발과 실용화를 촉진하는 것이며 나아가 정밀분석과 표준화활동을 통해 국내 소재산업의 국제경쟁력을 확보케 하는데 목적이 있다.
제 2 장 물성측정법 표준화 연구
제2절 실하중방식 로크웰 경도표준기 개발
ㅇ 본 연구의 목적은 실하중 방식의 로크웰 경도표준기를 설계 제작하는 것이다. 경도 분야의 국가표준을 확립하고 다른

Abstract

Ⅰ. Title
Research for the Reinforcenemtof New Materials Evaluation Techniques
Ⅱ.objectives
Chapter 2 :
Section 2. Developmentof dead-weight type Rockwell standard hardness testing machine
ㅇ The purposeof this project is to develope deadweight type Rockwell standard hardness test

목차 Contents

    • 제 1장 개 괄
      제 2장 물성측정법 표준화 연구
        제 1절 서 론
        제2절 실하중 방식 로크웰 경도표준기 개발
          1. 서론
          2. 실하중 방식 경도표준기 기본 사양
          3. 실하중 방식 경도 표준기의 기본 설계
            가. 본체 설계
            나. 전자 제어부 설계
            4. 결론
        제3절 응력부식 시험기술 개선
          1. 서론
          2. 실험 및 data 분석 방법
          3. 실험 결과 및 고찰
            가. load-displacement curve
            나. fractography
            다. EN의 측정 결과
              (1). 390 °C에서 tempering한 시편의 EN 측정 결과
              (2). 610 °C에서 tempering한 시편의 EN 측정 결과
              (3). 520 °C에서 tempering한 시편의 EN 측정 결과.
              (4). Statistical parameter를 활용한 EN 측정 결과의 분석.
          4. 요약 및 결론
        제 4 절 고온 비열 측정기술 개발
          1. 서 론
          2. 비열 측정법
            가. 단열법(Adiabatic Calorimeter)
            나. 투하법(Drop Calorimeter)
            다.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라. 고속 통전가열법(Dynamic method)
            마. 레이저 플레시법(Laser Flash Method)
            바. AC Calorimeter
          3. DSC 원리
            가. 입력보상형 DSC
            나. 열유속형 DSC
            다. DSC에 의한 비열측정
              (1)시료쪽과 기준물질쪽 모두 빈 용기로 하여 홀더 위에 설치하고 온도
              (2) 비열측정을 하려는 물질을 시료용기에 넣고, 기준물질쪽의 용기는 빈용기로 하여 (1)과 같은 조건으로 스캔한다. 온도
              (3) 비열을 알고 있는 물질을 표준물질로서 시료용기에 넣고 기준물질쪽 용기는 빈용기로하여 (1) 및 (2)와 똑같은 조건으로 온도 스캔한다. 표준물질의 열용량을
              (4) 시료쪽의 상태가 (1) - (3)의 경우와 어떻든 다르기 때문에 등온기선 1 - 3은 전부 동일선상에 있다고는 한정 할 수 없다. 여기서 3개의 등온기선이 동일선상에 일치하도록 하면
              (5) 시료용기가 비어 있을 때 승온기선 1을 본 측정의 기선으로서, 승온구간
              (6) 측정에 사용한 시료의 무게를
          4. 비열측정 규격 및 해석법
        제 5 절 자기이방성 특성평가 기술개발
          1. 서 론
          2. 다층박막 및 CMR 층상체의 자기이방성 측정
            2.1 Torque and magnetization
              가 easy axis 방향과 일치하게 된다. 이 때 자기모멘트에 인가된 자기장에 의한 에너지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2.2 Fitting of torque and magnetization
            2.3 Torque and magnetization of a
            2.4 AMR (anisotropic magnetic resistance)의 두께 의존성
            3. 결 론
        제 6 절 시간분해 마이크로 광물성 측정기술 개발
          1. 분자성 전자소자의 여기상태 동역학 연구
            가. 서 론
            나. 시료준비 및 실험방법
            다. 결과 및 토의
              (1) 어레이 분자 크기에 따른 흡수 스펙트럼의 변화
              (2) 어레이 분자 크기에 따른 형광 및 인광 스펙트럼 변화
              (3) 어레이 분자 크기에 따른 triplet 흡수 스펙트럼의 변화
            라. 결 론
          2. 공초점 현미경 측정장치를 이용한 고분자 필름의 광특성 및 나노 환경 연구
            가. 서 론
            나. 실험 장치 구성
            다. 연구 결과 및 고찰
              (1) Thin MEH-PPV film에서의 charge injection mechanism 이해
              (2) 형광 염료 단분자를 이용한 고분자 필름의 나노환경 연구
            라. 결 론
          3. Micro-PL 측정 장치 구성 및 반도체 광전재료의 시간분해 광물성 연구
            가. 개 요
            나. micro-PL 측정 장치 구성
            다. GaN/AlGaN 다중 양자우물의 시간분해 광물성 연구
            라. 헥사고날 형태의 GaN 박막의 micro PL 측정 연구
            마. InGaAs 양자점의 시분해 광물성 연구
            바. 결 론
        제7절 APEC역내 소재평가기술 RRT를 위한 조사 연구
          1. 서론
          2. 설문조사 결과
          3. 싱가포르 PSB 방문조사
          4. 말레이시아 AMREC 및 SIRIM 방문 조사
          5. 타일랜드 MTEC 방문
          6. 결론
      제 3 장 조성분석법 표준화 연구
        제1절 서 론
        제 2 절 물질 표면의 전자적 여기 특성 연구
          1. 알칼리금속/Ge(111)-3x1 표면의 산화 연구
            가. 광전자분광법을 이용한 연구
            나. Auger 전자분광법을 이용한 연구
          3. Ba/Si(111) 표면의 전자구조 및 산화반응성 연구
          4. EELS를 이용한 표면 전자적 여기 연구
      제4 장 구조해석법 표준화 연구
        제1절 서 론
        제2절 XIEES법에 의한 극미세구조분석법 개발
          1. 서론
          2. XIEES 이론
          3. XIEES 장비 개발
            가. Monochromatization을 위한 에너지 선택 장치의 개발
            나. Optical Table 제작
            다. 정밀한 X-선 에너지를 얻기 위한 구동 mechanism의 개발 및 기기 제작
            라. Detecting 시스템 개발
            마. 진공중 작동하는 XIEES 장치
          4. 장비의 Set up 및 Alignment
            가. Beam path alignment
            나. 실제 X-ray beam 위치의 확인
            다. Drum turn scanning
            라. Bragg angle scanning
            마. Alignment at crystal short & long range
            바. Bragg Alignment and 2d recalculation
            사. Perpendicular movement alignment
            아. Alignment of  Aiming  and  SH Rail rotation 
          5. 실험 및 측정 결과
            가. Drum Turn
            나. Absorption Spectrum of Ni
          6. 결론
        제3절 박막 표면 및 성장 특성에 대한 이론 연구
          1. 클러스터 컴퓨터의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