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원자력 안전규제 기술개발;안전규제 체계개선 및 효율화 연구
Development of Nuclear Safety Regulatory Technology;Study on Streamlining Nuclear Regulatory System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원자력연구소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연구책임자 김효정
참여연구자 송인진 , 안형준 , 황선철 , 박영식 , 박창호 , 이동규 , 최영성 , 장군현 , 이제항 , 김상원 , 전경호 , 고재동 , 안상규 , 방영석 , 설광원 , 최호신 , 김창범 , 조두연 , 석태원 , 김복렬 , 최강렬 , 조종철 , 이창주 , 임장현 , 오규명 , 김위경 , 민복기 , 김홍기 , 정해동 , 강성식 , 양채용 , 박종석 , 이훈주 , 염덕선 , 김질중 , 심병섭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2-03
주관부처 과학기술부
사업 관리 기관 한국원자력연구소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등록번호 TRKO200300001118
DB 구축일자 2013-04-18
키워드 원자력 안전규제 체계.행정체계 모델.원자력법.분법화.안전규제기술요건.주기적안전성 평가.현장규제.원자력안전정보.국민의견.수렴제도.nuclear safety and regulatory administrative system.of administrative organizational system.Atomic Energy Act.Separation of theAtomic Energy Act.safety and regulatory technical requirements.periodic safety review (PSR).regulatory activities in situ..nuclearsafety information.public hearing system.

초록

세계화, 정보화, 지방화, 민주화 등 시대적 환경 및 전력산업 구조개편 등 여건 변화에 부응하는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안전규제 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원자력 안전규제 철학/원칙, 중장기 발전계획, 원자력 안전규제 행정체계 모델을 구축하였다 원자력법령 체계개편을 위한 원칙을 마련하고, 이에 따라 현행 원자력법을 원자력기본법, 원자력시설 및 핵물질규제법, 방사선방호법으로 분리하였다. 또한, 원자력기본법 및 원자력시설 및 핵물질규제법의 초안을 작성하였다 국내외 원자력 안전규제기술요건의 체계 분석을 통해서 우리나라 안전규제기술체계의 미비점을

Abstract

To establish a reasonable and efficient regulatory administrative system that will accommodate itself to new surroundings such as globalization, localization, well-informed society, democratization, restructuring of energy industry, and etc.,the regulatory philosophy and principle, the medium and lo

목차 Contents

  • 제 1 장. 서 론...26
  • 제 2 장. 원자력 안전규제 철학/원칙 구축 및 발전방향 수립...42
  • 제 1 절. 국내ㆍ외 정책동향 평가...44
  • 제 2 절. 사회과학적 측면에서의 규제 개념 및 규제 환경 변화...54
  • 제 3 절. 원자력 안전규제 행정체계 분석 및 모델 정립...81
  • 제 4 절. 원자력 안전규제 중장기 발전방향(시안) 수립...120
  • 제 3 장. 원자력법 분법화 체계 및 구성 요소 구축...130
  • 제 1 절. 원자력법령 체계개선의 필요성 및 국내ㆍ외 원자력관련 법령체계 현황 분석...132
  • 제 2 절. 원자력법 체계의 개선요인 및 체계개선 방향...141
  • 제 3 절. 원자력법규의 현안개선 및 합리화 방안...167
  • 제 4 장. 원자력 안전규제기술요건의 제도화 방안 설정...218
  • 제 1 절. 국내ㆍ외 안전규제기술요건 체계 현황 분석...220
  • 제 2 절. 안전규제기술요건 체계 개선 방향...240
  • 제 3 절. 안전규제기술요건 체계 구축 및 제도화 방안...243
  • 제 5 장. 가동원전 주기적 안전성 평가 제도화 방안 수립...284
  • 제 1 절. 배경 및 필요성...286
  • 제 2 절. 주기적안전성평가 추진방향...299
  • 제 3 절. 주기적안전성평가 법제화 방안...349
  • 제 4 절. 유사제도와의 연계성 분석...361
  • 제 5 절. 주기적안전성평가제도의 시행...364
  • 제 6 장. 주기적안전성평가와 계속운전의 연계방안...372
  • 제 1 절. 가동원전 계속운전의 필요성 검토...374
  • 제 2 절. 연장운전 관련 국외 원전 현황...378
  • 제 3 절. 우리나라 가동원전의 계속운전 제도화 검토...389
  • 제 4 절. 계속운전 제도화 기본방향 및 모델 설정...395
  • 제 7 장. 원자력 안전규제제도 정책 현안 평가 및 제도화 방안 수립...404
  • 제 1 절. 주민의견 수렴제도 분석...406
  • 제 2 절. 정보공개 제도 분석 및 발전방향...429
  • 제 3 절. 현장중심의 안전규제 활성화 방안 수립...437
  • 제 8 장. 결 론...472
  • 참고문헌...492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