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원자력 안전규제 거버넌스에 대한 국민 수용성 증진과 언론주도층에 대한 공정한 여론 형성 방안 연구
Study on Building Fair Public Opinion and Understanding about The Nuclear Safety regulations governance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양대학교
HanYang University
연구책임자 김경민
참여연구자 이민화 , 한은아 , 조영길
보고서유형단계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7-10
과제시작연도 2016
주관부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Ministry of Science and ICT
등록번호 TRKO201900027195
과제고유번호 1711045302
사업명 원자력연구기반확충사업
DB 구축일자 2020-09-19
키워드 원자력 안전규제.원자력 대중수용.공정한 여론형성.원자력 지식확산.원자력 안전정보.

초록

1. 연구개발의목표
원자력 안전규제 거버넌스에 대한 국민 수용성 증진과 언론주도층에 대한 공정한 여론 형성 방안 연구
2. 연구내용 및 결과
○ 안전규제 거버넌스 체계 개선 방안 연구
- 미주, 유럽, 일본 등의 규제 거버넌스 현황 조사
○ 안전규제 소통 관련 콘텐츠 및 환경 분석
- 대중매체 및 소셜미디어의 원자력 및 방사선 용어 빅데이터 분석
- 원자력 전문용어 순화 및 안전규제 소통 기법과 환경 개선 연구
○ 국내·외 언론 및 오피니언 리더 대상 안전규제 지식 확산
- 원자력 안

Abstract

IV. Results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of overseas safety regulatory governance and the field of nuclear safety regulation in Korea, it is confirmed that the domestic safety regulation system h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system and technical aspects compared to developed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 출 문 ... 2
  • 보고서 요약서 ... 4
  • 요 약 문 ... 5
  • SUMMARY ... 7
  • 목차 ... 10
  • 제 1 장 연구개발 과제의 개요 ... 13
  • 제 1 절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 13
  •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 13
  • 2. 연구개발의 범위 및 내용 ... 15
  • 제 2 장 국내·외 언론인 초청 포럼 개최를 통한 원자력 안전수용성 증진 방안연구 ... 16
  • 제 1 절 원자력 선진화포럼 개요 ... 16
  • 제 2 절 원자력선진화포럼 현황 ... 18
  • 제 3 장 해외 원자력 안전규제 거버넌스 및 법제현황 ... 54
  • 제 1 절 미국의 원자력규제위원회 현황 ... 54
  • 1. 미국의 원자력규제위원회(Nuclear Regulatory Commission, NRC) 개요 ... 54
  • 2. NRC의 커뮤니케이션 정책 ... 56
  • 3. 평상시 커뮤니케이션 ... 56
  • 4. 비상시 커뮤니케이션 ... 58
  • 5. 기타 활동 ... 59
  • 제 2 절 미국의 원자력안전 정보공개제도 운영 현황 ... 61
  • 1.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NRC)의 정보공개에 관한 규정 ... 61
  • 2. 원자력규제위원회(NRC) 시민에 대한 정보공개 정책 ... 61
  • 3. 원자력규제위원회(NRC) 의견수렴 제도 ... 64
  • 제 3 절 일본의 원자력안전위원회 설립과 현황 ... 70
  • 1. 원자력안전규제 조직개혁을 위한 기본방침의 결정(2011.8.15) ... 70
  • 2. 원자력규제위원회 설치방안의 확정 (2012.6.20) ... 70
  • 3. 원자력조직 제도 개혁 법안의 각의 의결(2012. 1.31) ... 71
  • 4. 원자력규제위원회 출범(2012. 9.19. 출범) ... 72
  • 제 4 절 일본의 원자력안전 정보공개제도 운영 현황7) ... 73
  • 1. 원자력규제위원회의 운영 원칙 ... 73
  • 2. 원자력규제위원회의 정보공개 기준 ... 74
  • 제 5 절 프랑스의 원자력안전위원회 현황 ... 78
  • 1. 프랑스의 원자력안전위원회(Autorité de sûreté nucléaire, ASN) ... 78
  • 2. ASN의 주요 역할 ... 78
  • 3. 국민들의 신뢰 확보를 위한 ASN의 대국민 홍보활동 ... 79
  • 4.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ASN의 대응과 향후 원전 건설 계획 ... 80
  • 제 6 절 프랑스의 원자력안전 정보공개제도 운영 현황 ... 81
  • 1. 프랑스의 원자력 관련법 ... 81
  • 2. 원자력 투명성 및 안보에 관한 법 ... 81
  • 제 7 절 캐나다의 원자력안전위원회 현황 ... 93
  • 1. 캐나다의 원자력안전위원회(Canadian Nuclear Safety Commission, CNSC) ... 93
  • 2. CNSC의 커뮤니케이션 정책 ... 93
  • 3. 평상시 커뮤니케이션 ... 94
  • 4. 비상시 커뮤니케이션 ... 95
  • 5. 그 밖의 활동 ... 96
  • 제 4 장 안전규제 거버넌스 체계 개선 방안 연구 ... 103
  • 제 1 절 국내 원자력 안전규제 기관의 소통 현황 ... 103
  • 1. 원자력안전위원회(NSSC) ... 103
  • 2. 원자력안전기술원(KINS) ... 104
  • 3. 원자력통제기술원(KINAC) ... 105
  • 제 2 절 국내 안전규제 거버넌스 체계의 구성 ... 107
  • 1. 원전입지 지역별 안전규제 소통 활동 ... 107
  • 2. 원자력 안전규제 분야별 거버넌스 현황 ... 107
  • 3. 최근 원자력 안전규제 이슈 현황 ... 111
  • 제 3 절 원자력 안전규제 소통 개선 방안 제안 ... 114
  • 1. 해외 원자력 안전규제 커뮤니케이션의 특성 ... 114
  • 2. 국내 원자력 안전규제 커뮤니케이션의 특성 ... 114
  • 3. 원자력 안전규제 정책 소통을 위한 제언 ... 115
  • 제 5 장 안전규제 소통 관련 콘텐츠 및 환경 분석 ... 118
  • 제 1 절 새로운 미디어 환경과 변화 ... 118
  • 1. 뉴미디어 환경의 두 축: 스마트와 소셜 ... 118
  • 2. 뉴미디어 환경의 중요 개념들 ... 124
  • 제 2 절 소셜미디어를 통한 위험 커뮤니케이션 ... 130
  • 1. 소셜미디어 활용의 필요성과 문제점 ... 130
  • 2. 소셜미디어 이용에 따른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변화 ... 133
  • 3. 소셜미디어를 통한 위기 커뮤니케이션 관련 사례와 원자력 분야 적용례 ... 135
  • 제 3 절 안전관리에서 소셜미디어 활용의 미래 ... 142
  • 제 6 장 목표 달성도 ... 145
  • 제 1 절 연구목표 및 달성도 ... 145
  • 1. 종합 성과 ... 145
  • 2. 목표 달성도 ... 146
  • 제 7 장 연구 결과의 활용 계획 ... 147
  • 참고문헌 ... 148
  • 끝페이지 ... 150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