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철도안전성능평가기술개발사업 -1차년도 연구보고서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철도기술연구원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연구책임자 홍용기
참여연구자 왕종배 , 이기원 , 이덕희 , 최경진 , 최은수 , 김원경 , 박옥정 , 왕종배 , 정병현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2-12
과제시작연도 2002
주관부처 국무조정실
사업 관리 기관 국무조정실
등록번호 TRKO200300003167
과제고유번호 1090001154
사업명 한국철도기술연구원
DB 구축일자 2013-04-18
키워드 Railway System safety.Accident database.Risk assessment.RISK Analysis.Safety management program.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선진국 수준의 철도안전 확보를 위한 사고위험 분석 및 안전평가 기술개발이 수행되었다. 주요내용으로써 우선 철도사고 위험정의 및 분류체계 구축분야에서 궤도/전력/차량/화재분야 위험분석 및 분류체계 연구가 수행되었다. 또한 철도 증대사고 위험평가 모델 및 평가기술 개발에서 시스템 위험도 평가 및 안전관리기술, 궤도분야 사고위험평가 기초연구, 전력분야 안전평가 기술, 열차충돌 및 탈선예방 안전기준, 그리고 철도 소재화재 특성 평가기술이 연구되었다. 또한 철도안전평가 프로그램 개발 및 제도화 연구가 수행되었다. 우선 안전평가

Abstract

In this study, R&D on accident risk analysis and safety assessment technology are performed to attain a world-class railway safety level. First, definition of railway hazard and standard classification system are studied on track, electric power, rolling stock and fire part. Next, risk assessment mo

목차 Contents

  • 제1부 철도사고방지 및 안전확보를 위한 핵심기술개발...46
  • 제 1 장 서 론...47
  • 1.1 연구의 배경...47
  • 1.2 연구의 필요성...47
  • 1.3 연구의 목적 및 추진 내용...54
  • 제 2 장 철도사고 위험정의 및 분류체계 기술개발...55
  • 2.1 철도시스템 운명단계별 사고위험정의 및 표준분류체계개발 연구...55
  • 2.1.1 철도사고의 특성...55
  • 2.1.2 국내철도 사고발생 현황 및 원인분석...55
  • 2.1.3 철도사고의 구분과 원인분류 현황 분석...57
  • 2.1.4 철도사고 표준 분류체계 구축을 위한 기본방안...60
  • 제 3 장 철도중대사고 위험평가모델 및 평가기술개발 연구...63
  • 3.1 국내외 철도안전관리현황...63
  • 3.1.1 철도시스템 분야별 안전관리/위험관리 현황...63
  • 3.2 철도 중대사고 위험평가 모델 및 평가기술 개발...103
  • 3.2.1 철도안전관리의 질적 개선과 안전목표 개발의 필요성...103
  • 3.2.2 철도의 위험도 정의와 안전관리 기본개념...105
  • 3.2.3 철도시스템 위험도 평가 절차...106
  • 3.2.4 위험기준 설정과 조치사항...112
  • 3.2.5 위험분석 기법의 종류와 특징...112
  • 3.2.6 위험도 평가 사례 분석(Case Study)...113
  • 제 4 장 철도시스템 위험도평가 및 안전관리기술개발...117
  • 4.1 시스템 분야별 위험분석(원인-결과 시퀀스) 분류...117
  • 4.1.1 궤도시설분야 위험분석의 분류...117
  • 4.1.2 전철전력분야 위험분석의 분류...125
  • 4.1.3 차량화재분야 위험분석의 분류...133
  • 4.2 궤도분야 사고위험도 평가를 위한 기초연구...136
  • 4.2.1 크리프 역학...136
  • 4.2.2 윤중/횡압 추정식 개발을 위한 시뮬레이션...158
  • 4.3 전력분야 안전성 평가 기술 개발...195
  • 4.3.1 전차선로 설계단계 안전기준 검토 및 안전요건 개발...195
  • 4.3.2 팬터그래프/가선 인터페이스 최적화 방안 연구...211
  • 4.4 차량분야 열차 충돌 및 탈선 예방 안전기준 개발...215
  • 4.4.1 탈선계수 적용 기준 설계 및 시험 기준...215
  • 4.5 철도소재 화재특성 평가기술 개발...247
  • 4.5.1 국내 차량재료 사용현황 및 평가기법...247
  • 4.5.2 국외 차량재료 사용현황 및 평가기법...250
  • 4.5.3 소재별 화염특성 평가...258
  • 제 5 장 결론 및 향후추진 계획...265
  • 5.1 결 론...265
  • 5.2 향후 추진계획...267
  • 제2부 철도 종합안전성능평가 기술개발...271
  • 제 1 장 서 론...273
  • 1.1 연구의 목적 및 추진내용...273
  • 제 2 장 철도 안전평가 대상 및 적용범위 분석...275
  • 2.1 기술요소별 안전위협요소 분석 및 인터페이스 안전평가 적용범위 분석...275
  • 2.1.1 철도시스템 차원의 문제점 및 위험요소...275
  • 2.1.2 시스템 설계/제작 단계의 차량ㆍ궤도특성 안전확보 핵심요소...276
  • 2.1.3 시스템 설계/제작 단계의 차량/기반시설 인터페이스 안전확보대상...276
  • 2.1.4 인적오류 측면의 문제점 및 위험요소...277
  • 2.1.5 철도화재 대응 절차별 안전관리 요소...278
  • 2.1.6 위험물 운송 안전관리 대상 분석...278
  • 2.2 철도운영단계별 위험도 저감을 위한 안전관리 프로그램 개발 연구...279
  • 2.2.1 시스템 안전 프로그램의 개발 및 도입 배경...279
  • 2.2.2 철도 시스템 안전 프로그램 구축 방안...287
  • 제 3 장 위험 분석모델의 실정과 분석기법의 적용...299
  • 3.1 위험의 정의와 분석과정...299
  • 3.1.1 Risk 분석과 관련한 용어 정의...299
  • 3.1.2 위험분석과정...303
  • 3.2 위험 규명 (Hazard Identification) 및 위험분석...306
  • 3.2.1 위험 규명...306
  • 3.2.2 위험수준 (Hazard Level)...309
  • 3.2.3 Hazard Casual Analysis...311
  • 3.2.4 Risk Assessment and Acceptance Analysis...313
  • 3.2.5 위험도 저감 (Risk Reduction)...315
  • 3.3 시스템 표현 모델과 모델의 유형...316
  • 3.3.1 시스템 표현 모델...316
  • 3.3.2 분석 모델의 유형...316
  • 3.4 Limitations and Criticisms of Hazard Analysis...318
  • 3.5 철도위험도 평가체계 및 평가 방안...319
  • 3.5.1 영국 철도 리스크 평가 시스템...320
  • 3.5.2 영국철도 기반구조 시스템 및 장비에 대한 리스크 평가 모형...321
  • 3.5.3 영국철도 PLC 제어기반 구조에 의한 잠재사고 위험도평가...323
  • 3.5.4 런던지하철 안전품질 환경국에서 수행한 지하철기반시설에 의한 잠재사고 위험성 평가...344
  • 3.5.5 철도 시스템에서의 잠재사고 리스크 평가 현황 및 개선 방향...346
  • 제 4 장 철도안전제도개선을 위한 안전요구/기술기준개발...359
  • 4.1 철도 안전요구사항 개발 및 안전원칙 기본방향 설정...359
  • 4.1.1 철도 안전규정 및 안전기준 제정 방향...359
  • 4.1.2 철도시스템 안전위험요소를 고려한 안전원칙 수립...359
  • 4.1.3 해외 철도 안전규정 및 기술기준 체계 분석...361
  • 4.1.4 국내 원자력 시스템 안전규정 및 기술기준 체계 분석...363
  • 4.2 철도 안전기술기준 체계 및 상호 연관성 분석...367
  • 4.2.1 철도 안전규정 및 기술기준 구축 방안...367
  • 4.3 국제공인 시험ㆍ인증평가를 위한 국제 표준(ISO)의 시험규격 및 절차서 개발...369
  • 4.3.1 도시철도차량의 성능시험 규격 및 절차서 개발...369
  • 4.3.2 성능시험의 범위...370
  • 4.3.3 성능시험의 세부내용...371
  • 4.3.4 성능시험 절차서 구성 및 작성방법...373
  • 제 5 장 철도안전성능평가체계 및 시험환경구축방안 수립...375
  • 5.1 철도사고조사 및 안전평가전문기관 제도화 체계수립연구...375
  • 5.1.1 철도안전전문기관 제도화 체계...375
  • 5.1.2 철도사고조사 전문기관 지정 기본원칙 및 개선방안...381
  • 5.2 철도사고자료 D/B 구축 및 정보연계 프로그램 개발 연구...383
  • 5.2.1 자료정보 분류 및 코드화에 의한 D./B 구조 설계 연구...383
  • 5.3 철도사고 분류를 위한 DB 구조 분석 및 설계 제안...388
  • 5.3.1 요구사항...388
  • 5.4 사고 정보 D/B 알고리즘 및 운용 S/W 개발 연구...394
  • 5.4.1 제1-정규화...394
  • 5.4.2 제2-정규화...398
  • 5.4.3 테이블 구성...400
  • 5.4.4 자료 입력 화면...401
  • 5.4.5 자료 출력 화면...405
  • 5.5 철도 사고보고 및 위험관리 정보처리 기술개발 연구...406
  • 5.5.1 철도사고보고의 종류 및 내용...406
  • 5.5.2 철도 안전 D/B를 적용한 안전관리지원시스템 구축 방안...430
  • 5.6 철도 안전검증을 위한 시험선 구축 연구...438
  • 5.6.1 개 요...438
  • 5.6.2 시험선 입지조건 및 시험내용...439
  • 5.6.3 시험선 조사 내용...440
  • 5.6.4 시험선 구축 검토내용 및 건의사항...442
  • 5.6.5 외국 시험선 구축 현황...443
  • 5.6.6 시험선 활용계획...452
  • 제 6 장 결론 및 향후 추진계획...453
  • 참고문헌...455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