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石材·骨材資源 賦存調査 및 品質管理技術 硏究;骨材篇
Resources Evaluation and Quality Management of Industrial Stones and Natural Aggregates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연구책임자 金周龍
참여연구자 윤현수 , 홍세선 , 김대업 , 이한영 , 송교영 , 이병태 , 박석환 , 이경미 , 김정호 , 송윤호 , 이명종 , 조성준 , 김중렬 , 김유성 , 현혜자 , 이성곤 , 김주용 , 양동윤 , 민충기 , 남욱현 , 이상규 , 황세호 , 황학수 , 박인화 , 신현모 , 고인세 , 이현철 , 김진관 , 김희정 , 박덕원 , 임순복 , 이창범 , 김용욱 , 고상모 , 이진영 , 민건홍 , 박영수 , 김원식 , 김정기 , 이호영 , 최헌수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2-12
주관부처 산업자원부
사업 관리 기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등록번호 TRKO200300003328
DB 구축일자 2013-04-18

초록

골재자원 부존 조사에 대한 그간 연구경과와 실적을 보면 1980년대 말에서 1990년대 초에 전국 골재수요가 급증하여 골재 공급부족에 따른 사회적 물의를 경험하였던 정부는 1992년도부터 새롭게 골재채취법을 제정하여 골재수요의 안정적 공급을 확보하기 위한 합리적 방안을 모색하면서 골재 부존 조사가 우선적으로 시작되었다. 그 일환으로 통상산업부에서는 국내 골재산업육성을 위하여 전국적으로 골재자원기초조사를 위한 제 1차 5개년 계획을 수립하였으며, 1997년도까지 제 1차 5개년 골재조사를 완료하였다. 지난 제 1차 5개년간 골계 부존

Abstract

The necessity of aggregate resources in Korea has been increased with a rapid economic growth since the 1980s. Construction activities have been increased drastically for last two decades. Such economic activities are much concentrated at big cities in Korea, which have been already overpopulated an

목차 Contents

  • 第 1 長 序 言...57
  • 1-1. 硏究 槪要...59
  • 1-2. 骨材의 定義 및 分類...68
  • 1.2-1. 骨材의 正義...68
  • 1.2-2. 骨材의 分類...69
  • 1-3. 調査內容...73
  • 1.3-1. 육상골재 부존조사...73
  • 1.3-2. 산림골재 부존조사...74
  • 1.3-3. 바다골재 부존조사...75
  • 1-4. 骨材의 物性試驗...75
  • 1.4-1. 細骨材의 物性試驗 內容 및 目標...76
  • 1.4-2. 組骨材의 物性試驗 內容 및 目標...79
  • 1-5. 골계 부존량 확보현황 및 개발환경 조성...81
  • 第 2 章 骨材開發 需給現況 分析...87
  • 2-1. 骨材需要·供給 推移分析(1998年度 以前)...89
  • 2-2. 최근 건설경기와 골재수급 동향분석...102
  • 2.2-1. 건설경기 추이분석...102
  • 2.2-2. 건설투자, 경기 및 건자재 수급동향...105
  • 2.2-3. 골재 허가공급 대비 채취실적...107
  • 2-3. 전국 골계허가 및 채취 실적...109
  • 2-4. 骨材需給 展望分析...115
  • 2.4-1. 골재수급 기본계획...115
  • 2.4-2. 2003년도 골재수급 전망 분석...117
  • 2.4-3. 전국 권역별 골재채취 및 공급 유통구조...119
  • 2.4.3-1. 전국 골재유통권역...119
  • 2.4.3-2. 경기-수도권(서울·인천 포함)...119
  • 2.4.3-3. 강원권(윈주·강릉·춘천 포함)...121
  • 2.4.3-4. 충북권(청주·충주 포함)...122
  • 2.4.3-5. 충남권(대전 포함)...123
  • 2.4.3-6. 전북권(전주 포함)...125
  • 2.4.3-7. 전남권(광주·목포 포함)...125
  • 2.4.3-8. 경북권(대구·안동 포함)...126
  • 2.4.3-9. 경남권(부산·울산 진주 포함)...127
  • 2.4.3-10. 제주권(제주시 포함)...128
  • 第 3 章 陸上骨材 賦存調査...129
  • 3-1. 序 言...131
  • 3.1-1. 육상골재 자원의 정의...134
  • 3.1-2. 육상골재의 입도별 분류...136
  • 3.1-3. 형성시기별 육상골재 분류...139
  • 3-2. 陸上骨材 調査地域 選定...141
  • 3-3. 陸上骨材 調査內容...156
  • 3.3-1. 基礎現況調査...156
  • 3.3-2. 第4紀 地質調査...185
  • 3.3-3. 人工衛星映像分析...187
  • 3.3-4. 試錐調査...195
  • 3.3-5. 골재자원 부존량 평가를 위한 물리탐사...222
  • 3.3-6. 測量調査...231
  • 3.3-7. 육상골재의 물성특성...237
  • 3.3.7-1. 골재의 물성 및 품질기준...237
  • 3.3.7-2. 육상골재 시료채취 위치...238
  • 3.3.7-3. 시험 방법 및 결과...239
  • 3.3.7-4. 시추공별 세골재 물성 시험결과...256
  • 3-4. 陸上骨材 賦存特性 評價...273
  • 3.4-1. 序 言...273
  • 3.4-2. 주요 수계 유역별 육상골재 부존 특성...279
  • 3.4.2-1. 남한강 유입 수계 주변의 육상 골재 부존 특성...279
  • 3.4.2-2. 금강유입 수계 주변의 육상골재 부존 특성...314
  • 3-5. 육상골재 부존 특성 평가...375
  • 3.5-1. 서언...375
  • 3.5.1-1. 행정단위별 육상골재 부존특성...375
  • 3.5.1-2. 대수계별 육상골재 부존특성...383
  • 3.5.1-3. 하천관리 체계별 육상골재 부존특성...385
  • 3.5.1-4. 지표지질 환경별 부존특성...405
  • 3.5.1-5. 지형요소별 부존특성...407
  • 3.5.1-6. 소권역별 부존특성...410
  • 3.5-2. 육상골재 부존특성 변수...417
  • 3.5.2-1. 통계적 유의도를 고려한 부존특성 변수 선정...417
  • 3.5.2-2. 부? 개발가능성 평가...449
  • 3-6. 陸上骨材 賦存資源 綜合評價...455
  • 3.6-1. 권역별 골재수급 동향...455
  • 3.6-2. 육상골재 부존 조사내용 및 범위...458
  • 3.6-3. 육상골재 부존특성...461
  • 3.6-4. 육상골재 품질 특성...471
  • 3.6-5. 육상골재 부존 특성 모델링 및 개발 잠재성 평가...489
  • 참고문헌...491
  • 부록-A. 충북권 주요 육상골재 부존지점 측량자료....499
  • 부록-B. 충북권 육상골재 시험시추공별 입도분석자료....569
  • 부록-C. 충북권 육상골재 지점별 부존특성자료....635
  • 부록-D. 충북권 주요 육상골재 부존지점 시험시추자료....779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