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기능 개선 관련 기능성평가체계 구축
Establishment of Functionality Ealuation System for Liver Function Improvement of Heath Functional Food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덕성여자대학교
Duksung Women University
연구책임자 정기화
참여연구자 윤유식 , 최선미 , 문진석 , 박성진 , 송낙근 , 김영미 , 승금란 , 김선자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3-11
과제시작연도 2003
주관부처 식품의약품안전청
사업 관리 기관 식품의약품안전청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등록번호 TRKO200400000546
과제고유번호 1470001982
사업명 식품의약품안전성관리
DB 구축일자 2013-04-18
키워드 간기능 개선.동물시험.인체적용시험.기능성평가체계.건강기능식품.Liver function improvement.establishment of functionality evaluation system.heath functional food.Health and Functional Food.in vivo.

초록

간기능 개선 관련 평가체계의 구축을 위한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근거를 마련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험방법과 평가기준을 제시하기 위하여 본 과제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간기능개선과 평가에 관한 국내외 논문을 조사하였고 간기능 개선 관련 기능성을 표방하는 국내외 제품을 조사하여 형태, 표방효능, 원료, in vivo?in vitro 시험 실시 및 인체실험 실시 유무 등을 분석하였다. 간기능 개선과 관련한 건강기능식품의 평가에 적절한 대표적인 in vivo 시험법과 in vitro 시험법을 제시하고 관련제품 평가를 위해 이들 시험들을 어떻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objective rational basis and suggest guideline for evaluation system in liver function improvement. So we investigated domestic and foreign papers on improvement and evaluation of liver function, searched domestic and foreign functional foods which have heal

목차 Contents

  • 용역연구개발사업최종보고서...1
  • 표지...2
  • 제출문...3
  • 연구사업 최종보고서 요약문...4
  • Project Summary...5
  • 목차...6
  • 제1장 서론...7
  • I. 연구 개발의 목적...7
  • II. 연구개발의 필요성...7
  • III. 연구개발의 범위...8
  •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9
  • 제3장 연구개발수행내용 및 결과...16
  • I. 간 기능 개선의 의미...16
  • II. 간기능개선작용 평가를 위한 in vivo 시험법...16
  • III. C.M. 추출물에 대한 간기능 개선평가...18
  • 제4장 연구개발 목표달성도 및 대외기여도...74
  • I. 연구개발목표 달성도...74
  • II. 대외기여도...74
  • 제5장 연구개발결과 활용성과 및 계획...76
  • I. 활용성과...76
  • II. 활용계획...76
  • 제6장 기타중요변경 사항...77
  • 제7장 참고문헌...78
  • 제 1 세부과제. 간기능 개선 관련 동물시험 기능성평가체계 구축...86
  • 목차...87
  • 제1장 서론...88
  • I. 연구 개발의 목적...88
  • II. 연구개발의 필요성...89
  • III. 연구개발의 범위...89
  •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90
  •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91
  • I. 간 기능 개선의 의미...91
  • II. 간기능개선작용 평가를 위한 in vivo 시험법...92
  • III. C.M. 추출물에 대한 간기능 개선평가...94
  • IV. in vitro 시험법...105
  • V. 실제 적용시 가능한 protocol 예...113
  • 제4장 연구개발목표달성도 및 대외기여도...124
  • I. 연구개발목표 달성도...124
  • II. 대외기여도...125
  •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성과 및 계획...125
  • I. 활용성과...126
  • II. 활용계획...126
  • 제6장 기타 중요변경사항...127
  • 제7장 참고문헌...128
  • 제 2 세부과제. 간기능 개선 관련 인체적용시험 기능성평가체계 구축...131
  • 목차...132
  • 제1장 서론...133
  •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134
  • 제1절 간기능 개선 관련 제품 현황...134
  • 제2절 간기능 개선 관련 인체적용시험 관련 논문 현황...141
  •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146
  • 제1절 연구내용...146
  • 제2절 연구방법...146
  • 제3절 연구결과...148
  • 1. 건강기능식품과 관련된 간기능 개선의 정의...148
  • 2. 간기능 관련 인체적용시험의 Biomarker...149
  • 3. 간기능 관련 기타 평가 지표...178
  • 4. 인체 적용 표준 시험법 및 시험계획서(안) 예시...204
  • 5. 예비 연구 결과...226
  • 6. 기능성 표시사항 및 일반원칙 제시...231
  • 제4장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및 대외기여도...232
  • 1. 기대효과...232
  •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성과 및 계획...233
  • 가. 계량적 성과...233
  • 나. 성과내용기술...233
  • 다. 활용계획...233
  • 제6장 기타 중요변경사항...234
  • 제7장 참고문헌...235
  • 총괄 연구과제 요약...241
  • 세부 연구과제 요약...243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