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품첨가물 안전성 재평가 연구
Re-evaluation of Food Additives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서울대학교
Seoul National University
연구책임자 권훈정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7-11
과제시작연도 2007
주관부처 식품의약품안전청
사업 관리 기관 식품의약품안전청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등록번호 TRKO200800006309
과제고유번호 1475003119
사업명 식품규격및안전관리
DB 구축일자 2013-04-18
키워드 식품첨가물.안전성.Food additives.Safety.

초록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식품첨가물공전에 수재되어 있는 품목에 대해 미국, 일본, 중국, EU, 호주, WHO/FAO의 첨가물 지정현황을 조사하여 비교, 제시하였다. 또한, 2003년에서 2005년까지 3년간의 우리나라 첨가물 생산실적과 수입실적 통계를 이용하여 유통량을 조사하여 사용실태를 파악하였고, 식품에 함유되어 수입되는 첨가물품목에 대해 수입식품에 대한 시장조사를 통해 보정하였다. 우리나라에서만 사용하는 품목은 총 600품목 중 11품목이었으며, 이들 중 유통 실적이 없는 7품목을 지정취소가 가능한 품목으로 분류하여 제안하였

Abstract

Individual food additive items listed in the Korean Food Additive Codes were compared to those on the lists of USA, Japan, China, European Union, Austraila & New Zealand, as well as JECFA. The producation and import statistics from 2003 to 2005 were obtained to get an estimation of the use of the in

목차 Contents

  • 표지 ...1
  • 용역연구사업 연구결과보고서 ...2
  • 제출문 ...3
  • 목차 ...4
  • I. 연구개발결과 요약문 ...6
  • II. 총괄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10
  • 제 1 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10
  • 1.1 총괄연구개발과제의 목표...10
  • 1.1.1 최종 연구 목표...10
  • 1.1.2 연구내용...10
  • 1.1.3 연구방법 (계획서)...10
  • 1.2 총괄연구개발과제의 목표달성도...11
  • 1.3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11
  • 제 2 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13
  • 제 3 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결과...15
  • 3.1 세계의 식품첨가물 규제...15
  • 3.2 한국 식품 첨가물에 대한 제외국/기관의 지정상황...16
  • 3.3 각국 식품첨가물 지정 현황...73
  • 3.3.1 JECFA...73
  • 3.3.2 일본...75
  • 3.3.3 중국...76
  • 3.3.4 EU...77
  • 3.3.5 호주 및 뉴질랜드...78
  • 3.3.6 미국...80
  • 3.4 각국의 첨가물 지정 취소/금지 현황...86
  • 3.4.1 일본...86
  • 3.4.2 EU...89
  • 3.4.3 미국...89
  • 3.5 우리나라 식품첨가물 유통 현황...91
  • 제 4 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142
  • 4.1 지정취소 가능 품목(안)...142
  • 4.2 심층 안전성 재평가 우선순위 목록(안)...147
  • 4.3 일부 품목의 안전성 자료 요약...152
  • 제 5 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160
  • 5.1 활용성과...160
  • 5.2 활용계획...160
  • 제 6 장 기타 중요변경사항...161
  • 제 7 장 참고문헌...161
  • 부록...166
  • [부록1] 약어 일람...167
  • [부록2] JECFA Additive List...169
  • [부록3] 일본의 기존첨가물 목록...188
  • [부록4] 일본의 지정첨가물 목록...218
  • [부록5] 중국첨가물 목록...233
  • [부록6] 중국에서 지정 검토중인 첨가물...246
  • [부록7] EU 식품첨가물 목록...250
  • [부록8] 호주.뉴질랜드의 식품첨가물 목록...262
  • [부록9] 미국 식품첨가물(EAFUS) list...271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