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구 백신 항원 발현 및 전달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충남대학교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연구책임자 김철중
참여연구자 신광순 , 김현수 , 김은 , 후시린 , 유리운 , 신선아 , 유정 , 이준한 , 오미정 , 안태환 , 김수미 , 황인욱 , 서승희
보고서유형2단계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2-11
과제시작연도 2002
주관부처 과학기술부
사업 관리 기관 한국과학재단
Korea Science and Engineering Foundtion
등록번호 TRKO200800067294
과제고유번호 1350016412
사업명 국가지정연구실사업
DB 구축일자 2013-04-18
키워드 경구백신.바이러스 유사입자.다가표면발현.항원유전자전달.점막면역유도.Oral vaccine.virus-like particle.multiple surface expression.gene transfer.mucosal immunity.

초록

신규 표면 발현계를 확립하고 병원체 항원 발현기술을 확립하였다. 표면 발현계로 그람음성 및 양성세균에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Bacillus subtilis에서 r-PGA synthetase를 구성하는 pgsBCA motif를 개발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B형 감염바이러스 S유전자, 로타바이러스의 VP6, PED, TGE 바이러스의 N protein 유전자를 발현하여 표면 발현을 확인하였다. 또한 동물실험을 통해 경구 및 비강 등 점막 투여 후 장내 항체 형성능을 확인하였다. 항원 표면발현 유익세균의 경구투여를 통해 질병예방을 위한

Abstract

We established a new surface display system for the antigen presentation. For the surface display in both Gram negative and positive bacteria, r-PGA synthetase from Bacilus subtilis was cloned and pgs BCA motif was identified. The HBsAg, VP6 of rotavirus and N protein genes of TGEV and PEDV were clo

목차 Contents

  • 표지...1
  • 제출문...2
  • 보고서 초록...3
  • 요약문...4
  • SUMMARY...9
  • CONTENTS...10
  •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11
  • 제1절 연구개발의 개요...11
  • 제2절 연구개발의 최종 목표...12
  • 제3절 연구개발의 필요성...13
  • 1. 연구개발의 경제${\cdot}$사회${\cdot}$기술적 중요성...13
  •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16
  • 제1절 국외의 기술 동향 및 수준...16
  • 1. 표면발현기술이용...16
  • 2. 점막면역계...16
  • 3. 점막항원 전달계...16
  • 제2절 국내의 기술 동향 및 수준...17
  •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18
  • 제1절 신규 세포표면 발현계 확립 및 항원 발현기술개발...18
  • 1, 빙핵활성단백질(INP)을 이용한 세포표면 발현 시스템의 최적화...18
  • 2. 신규 표면발현 motif의 발견 및 표면 발현 백터 제조...28
  • 제2절 다가항원 발현 및 전달 체계 개발...38
  • 1. 알파바이러스를 이용한 3종 이상의 다가항원 발현 체계 구축...38
  • 제3절 원형 바이러스 유사입자 발현 체계 구축...43
  • 1. 알파 바이러스계 발현체계를 이용한 HIV 바이러스 유사입자 발현...43
  • 2. Yeast에서의 바이러스 항원 발현 및 유사입자 제조...58
  •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67
  • 제1절 계획대비 목표 달성도...67
  • 1. 1차년도...67
  • 2. 2차년도...67
  •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69
  • 1. 신규표면 발현 벡터의 경구백신 활용성...69
  • 2. 다가항원 및 단백질 발현체계의 활용성...69
  • 3. 원형 바이러스 유사입자 발현...70
  •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71
  • 제7장 참고문헌...72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