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R&D과제 평가 개선 방안
Improvement of National R&D Project Evaluation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연구재단
연구책임자 황준영
참여연구자 김현태 , 허정은 , 한화미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9-07
과제시작연도 2009
주관부처 교육과학기술부
사업 관리 기관 교육과학기술부
등록번호 TRKO201000002472
과제고유번호 1345112064
사업명 과학기술자문연구조사비
DB 구축일자 2013-04-18
키워드 연구개발.평가.R&D.Evaluation.

초록

본 연구는 “평가제도를 개선하여 연구성과를 중심으로 한 질적평가와 연구실패를 허용하는 환경이 필요하다”라는 국가교육과학기술자문회의 민경찬위원의 문제제기에서 시작되었다. 연구팀은 우리나라 평가제도에 대한 문제점을 먼저 파악하고, 그것으로부터 평가제도 개선을 위한 단기 실천계획을 도출하는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우리나라 과제평가의 문제점으로는 첫째, 연구실패를 용인할 수 있는 사회 인식이 부족하다. 둘째, 연구성과의 양적 팽창 대비 질적 향상이 저조하다. 셋째, 일률적인 결과평가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넷째, PM의 수가

Abstract

This study originated from the proposal of Dr. Kyung-Chan Min, a member of the Presidential Advisory Council on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Dr. Min mentioned the need to "improve the country’s research evaluation system and develop an environment that is supportive of performance-based qualit

목차 Contents

  • 표지 ...1
  • 제출문 ...3
  • 차례 ...5
  • 표차례 ...8
  • 그림차례 ...9
  • 요약문 ...11
  • Summary ...13
  • Ⅰ. 서 론 ...17
  •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9
  • 2. 연구 목표 및 내용 ...23
  • 3. 연구 추진체계 및 방법 ...24
  • Ⅱ. 평가의 개요 ...27
  • 1. 평가의 개념 및 방법 ...29
  • 가. 평가의 개념 ...29
  • 나. 평가의 방법 및 특징 ...30
  • 2. 동료평가(Peer Review) ...32
  • 가. 동료평가의 개념과 기능 ...32
  • 나. 동료평가의 유형 ...33
  • 다. 동료평가의 인식 ...35
  • 라. 동료평가의 문제점 ...35
  • 3. 정량평가 ...37
  • 가. 정량평가의 시작 ...37
  • 나. 정량평가의 유용성 ...37
  • 다. 주요 계량지표 ...38
  • 라. SCI 지표를 활용한 국내.외 연구개발 과제평가 사례 ...42
  • Ⅲ. 해외 과제평가제도 ...51
  • 1. 미국 및 캐나다 ...53
  • 가. 미국 과학재단(NSF) ...53
  • 나. 미국 국립보건원(NIH) ...73
  • 다. 미국 에너지성(DOE) ...91
  • 라. 캐나다 과학공학연구회(NSERC) ...93
  • 2. 일본 ...106
  • 가. 학술진흥회(JSPS) ...106
  • 나. 과학기술진흥기구(JST) ...110
  • 3. 유럽 ...118
  • 가. 독일 연구협회(DFG) ...118
  • 나. 영국 공학 및 자연과학 연구회(EPSRC) ...126
  • Ⅳ. 우리나라 과제평가 현황 및 문제점 ...135
  • 1. 과제평가 현황 및 비교 ...137
  • 가. 과제평가 현황 ...137
  • 나. 평가제도 비교 분석 ...147
  • 2. 우리나라 과제평가의 문제점 ...168
  • 가. 연구실패를 용인할 수 있는 사회 인식 부재 ...168
  • 나. 연구성과의 양적 팽창 대비 질적 향상 저조 ...169
  • 다. 일률적인 결과평가 제도 운영 ...170
  • 라. PM의 절대적 부족 ...171
  • 마. 평가자와 피평가자의 학연지연 연결고리 존재 ...173
  • Ⅴ. 평가제도 개선을 위한 실천계획 ...175
  • 1. 연구실패를 용인하는 시범사업 운영 ...177
  • 2. 연구성과 중심의 질적평가 강화 ...183
  • 3. 제도개선을 통한 연구관리 선진화 ...190
  • 4. PM(Program Manager) 역할강화 ...194
  • Ⅵ. 결론 ...201
  • 별 첨 ...205
  • 국가R&D과제 평가제도 현황 및 개선안(초안)...207
  • 참고문헌 ...245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