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에 의한 수자원 영향평가 체계 구축
Technology for Climate Change Impact Assessment on Water Resources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세종대학교
Sejone university
연구책임자 배덕효
참여연구자 정일원 , 김진훈 , 김광천 , 윤성심 , 이동희 , 구보영 , 박신우 , 전태현
보고서유형2단계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7-03
과제시작연도 2006
주관부처 과학기술부
사업 관리 기관 한국과학재단
Korea Science and Engineering Foundtion
등록번호 TRKO201000012617
과제고유번호 1350021928
사업명 21세기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
DB 구축일자 2015-01-08
키워드 수자원영향평가.기후변화 시나리오.시공간 변화도 분석.장기유출분석.융설모형.저수지 운영.사회경제적 영향.Water resources impact assessment.Climate change scenario.Space-time variability analysis.Long-term runoff analysis.Snowmelt model.Reservoir Operation.Socioeconomic impacts.

초록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수자원영향평가 체계를 구축하고 유역별 영향평가를 수행함으로써 국가수자원장기종합계획에 활용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신뢰성 있는 지역스케일의 기후 및 수문시나리오를 생산할 수 있는 요소기술들을 개발하고, 기후변화 수자원 영향평가 체계를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온실가스 배출시나리오별 전구기후모델(GCM)의 불확실성을 평가하고, ECHO-G A2/B2 시나리오와 RegCM3 둥지격자시스템을 이용하여 1971-2080(110)년 기간에 대

Abstract

${\circ}$ 1st year
- Survey on the development and the application of climate change scenario for impact assessment studies.
- Analysis of the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of climatic data in the Han and Nakdong river basins.
- Collection and interpolation of hydrology data f

목차 Contents

  • 표지 ...1
  • 제출문 ...3
  • 보고서 초록 ...4
  • 요약문 ...5
  • SUMMARY ...13
  • 목차 ...21
  •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45
  •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49
  • 제3장 연구 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 ...59
  • 제1절 수자원 영향평가를 위한 한반도 기후변화 시나리오 구축 ...59
  • 1.1 기후변화 시나리오 개발 및 적용에 대한 선행연구 조사 ...59
  • 1. IPCC에서 제시한 영향평가를 위한 시나리오 이용에 대한 지침 소개 ...59
  • 2. 기후변화 시나리오 종류 및 선택 ...60
  • 3. 영향평가를 위한 기후변화 시나리오 적용 ...62
  • 4. 소결론 ...63
  • 1.2 전구모델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불확실성 평가 ...64
  • 1. 자료 ...64
  • 2. 멀티모델 앙상블을 이용한 동아시아 기후변화 전망 및 불확실성평가 ...67
  • 3. 소결론 ...85
  • 1.3 시나리오 생산을 위한 지역기후모델 구축 ...86
  • 1. RegCM3 one-way double-nested system 구축 ...86
  • 2. RegCM3 one-way double-nested system 검증 ...88
  • 3. ECHO-G 시나리오 자료의 경계조건 사용을 위한 인터페이스 구축 ...97
  • 4. 소결론 ...99
  • 1.4 지역기후변화 시나리오 생산 및 분석 ...100
  • 1. 기준(1971-2000) 시나리오 생산 및 분석 ...100
  • 2. 미래(2001-2080) 시나리오 생산 및 분석 ...120
  • 3. 미래수문변화 및 극한현상 분석 ...137
  • 4. 새로운 대류모수화 방안에 대한 시나리오 재생산 및 분석 ...149
  • 제2절 관측자료에 의한 기후변화 수자원 영향의 통계적 평가 ...168
  • 2.1 서 론 ...168
  •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68
  • 2. 연구목표 ...168
  • 2.2 관측자료의 개요 ...169
  • 1. 기상자료 ...169
  • 2. 유역수문자료 ...171
  • 3. 댐 수문관측자료 ...172
  • 4. 원격측정자료 ...173
  • 5. 측우기 강수량자료 ...177
  • 6. 기상지수 ...178
  • 7. 가뭄지수 ...179
  • 8. 토양수분자료 ...180
  • 2.3 통계적 분석방법 ...181
  • 1. 경향성분석 ...181
  • 2. 비모수적 경향성 검정방법 ...181
  • 3. 경험적 직교함수 분석 ...184
  • 4. Wavelet 분석 ...185
  • 5. Multi-channel Singular Spectrum Analysis (MSSA) ...186
  • 6. Mann-Whitney Pettitt Test ...187
  • 2.4 분석결과 ...189
  • 1. 지상관측자료 분석 ...189
  • 2. 장기 강수자료 분석 ...224
  • 3. 유역 수문자료 분석 ...229
  • 4. 댐수문자료 분석 ...233
  • 5. 원격측정자료 분석 ...234
  • 6. 경험적 직교함수 분석 결과 ...237
  • 7. Wavelet 분석 결과 ...239
  • 8. 기후변화에 의한 기온, 강수량의 상관특성분석 ...244
  • 9. 변화특성분석 ...257
  • 10. 토양수분자료의 변화도 분석 및 식생지수 변화도의 상관성 분석 ...260
  • 2.5 GCM 자료의 분석 ...263
  • 1. 자료의 개요 ...263
  • 2. A2 시나리오 자료분석 ...263
  • 3. 관측자료와 기후예측모형자료를 이용한 유역 기후변화도 분석 ...267
  • 2.6 결 론 ...276
  • 제3절 장기유출분석 체계 구축 및 수자원 영향 평가 ...280
  • 3.1 기후변화 수자원 영향평가를 위한 장기유출분석 체계 구축 ...280
  • 1. 수자원 영향평가 모델 검토 ...280
  • 2. PRMS(Precipitation Runoff Modeling System) 모형 ...294
  • 3. PRMS 모형의 불확실성 분석 ...312
  • 4. 미계측유역의 매개변수 추정 ...319
  • 3.2 5대강수계 장기유출해석 및 경향성 분석 ...325
  • 1. 영향평가를 위한 유역구분 ...325
  • 2. 연평균강수량과 유출고 ...327
  • 3. 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한 변동성 분석 ...328
  • 4. Mann-Kendall test를 이용한 변동성 분석 ...332
  • 3.3 기후변화에 따른 수자원 영향평가 ...340
  • 1. 수자원 영향평가 사례 조사 ...340
  • 2. 국내 실정에 적합한 평가방법 구축 ...349
  • 3. LARS-WG의 적용성 분석 ...353
  • 4. A2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기후변화 영향평가 ...360
  • 5. A2/B2 시나리오에 따른 영향평가 및 비교분석 ...378
  • 6. 결론 및 향후과제 ...389
  • 제4절 융설 모의 기법 정립을 위한 조사ㆍ분석 ...391
  • 1.1 융설 모의 기법 정립을 위한 조사 및 분석 ...391
  • 1. 융설의 개념 파악 및 수리학적 거동 ...391
  • 2. 강수-유출모형의 융설 모의 방법 및 연산과정 ...394
  • 3. 융설 모형의 입력자료 ...400
  • 4. 국내 융설 모형의 선정 ...402
  • 1.2 시범유역의 융설모형 구축 및 융설영향평가 ...408
  • 1. RS 및 GIS를 이용한 적설분포면적 및 적설심 자료 구축 ...408
  • 2. 융설모형의 입력자료 및 매개변수 계산 ...414
  • 3. 융설매개변수 평가를 위한 시범유역의 융설모형 적용 ...418
  • 1.3 국내 5대강 유역의 융설모형 매개변수 구축 및 분석 ...422
  • 1. 한강유역의 융설 매개변수 구축 및 영향 평가 ...422
  • 2. 낙동강유역의 융설 매개변수 구축 및 영향 평가 ...436
  • 3. 금강유역의 융설 매개변수 구축 및 영향 평가 ...448
  • 4. 영산강유역의 융설 매개변수 구축 및 영향 평가 ...455
  • 5. 섬진강유역의 융설 매개변수 구축 및 영향 평가 ...460
  • 6. 국내 5대 유역의 융설영향인자 산정 ...470
  • 제5절 유역의 다중 저수지 시스템 최적 운영 기법의 개발 ...473
  • 5.1 서 론 ...473
  • 5.2 Fuzzy DP를 이용한 다목적 저수지 모의 운영 ...474
  • 1. Fuzzy 이론 ...474
  • 2. 문제구성과 해법 ...478
  • 3. Fuzzy 모형 적용 ...484
  • 4. Membership 함수의 구성 ...489
  • 5. Fuzzy 모형 적용결과 ...493
  • 6. 결 론 ...500
  • 5.3 HEC-5를 이용한 한강유역 저수지 시스템 모의 운영 ...501
  • 1. HEC-5 소개 ...501
  • 2. 모형구축 ...503
  • 3. 적용결과 ...530
  • 4. 결 론 ...543
  • 제6절 기변화에 따른 수자원의 사회경제적 영향평가 ...544
  • 6.1 물이용과 사회경제적 상관관계분석 ...544
  • 1. 기후변화의 영향평가를 위한 수문경제모형의 수집 비교분석 ...544
  • 2. 수자원 이용의 지역별, 부문별 사회경제적 여건의 경험적 상관관계 고찰 ...544
  • 3. 수질변화와 토지이용변화의 상관관계 분석 ...549
  • 6.2 극한적 수문상황의 시계열적 분석 및 사회경제적 상관관계 ...555
  • 1. 홍수재해의 원인 및 사회경제적 영향에 대한 문헌조사 ...555
  • 2. 홍수의 시계열적 분석 ...556
  • 3. 홍수재해의 원인분석 ...559
  • 4. 기후변화와 홍수재해 ...563
  • 6.3 기후변화와 인구 및 산업성장에 따른 권역별 수자원 취약성 분석 ...570
  • 1. 물부족 지수의 개발 및 미래 물수요 예측 ...570
  • 2. 기후시나리오에 따른 권역별 유출량 변화 ...572
  • 3. 기후변화와 인구 및 산업성장에 따른 물부족지수 변동분석 ...573
  • 6.4 공간균형모델을 이용한 수자원의 경제적 영향평가 ...575
  • 1. 수문경제 모델의 역사 ...575
  • 2. 공간균형모델의 이론적 기반 ...576
  • 3. 공간균형모델의 사례연구 및 국내 적용가능성 ...581
  •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의 기여도 ...585
  • 제5장 연구개발결과 활용계획 ...589
  •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591
  • 제7장 참고문헌 ...593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